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808 그땐 다 그랬다 vs. 김원룡만 그랬다 세계 고고학상 유례없는 졸속발굴의 대표본 무령왕릉 발굴조사를 옹호하거나 혹은 동정의 눈으로 바라보는 사람들은 이리 말한다. 그때는 다 그랬다. 그게 우리의 수준이었다. 고 말이다. 이 유례없는 도발굴 총감독 김원룡은 내 머리가 돌았다느니 환장했다 하면서 그나마 이 졸속발굴이 곧이어 전개된 경주 발굴에서는 교훈으로 작동했다고 자위한 바 있다. 앞 사진은 황남대총 남분 발굴 현장이다. 아마 1974년 무렵일 것이요 무령왕릉 도굴로부터는 불과 3년이 지난 뒤다. 그때는 다 그러했는가? 그게 우리 수준이었는가? 얼토당토 않은 소리다. 김원룡만 그러했고 김원룡만 그런 수준이었다. 유감스럽게도 삼불은 고고학도, 발굴도 모르는 까막눈이었다. 김원룡의 수준을 일반화할 수는 없다. 봐라..동시기에 일어난 발굴인데 천마총.. 2019. 5. 19. 납딱이 빼빼로 약사여래 휴일이라 집구석 틀어박히니 애꿎은 ocn 붙잡고 아이언맨이랑 놀다가 자빠다 일나다를 반복하게 되거니와 이래선 아니되겠다 싶어 기차표 끊어 천안아산에 내렸다. 뭐 그렇다 해서 특별히 갈 곳을 정한 것은 아니로대 내리면서 퍼뜩 생각한 곳이 아산 읍내동 당간지주와 그에서 대략 2킬로미터 지점에 위치하는 같은 아산 평촌리 석조약사여래입상 납딱이 부처님이었다. 당간지주 거쳐 납딱이 부처님을 찾아갔다. 문화재 지정명칭은 아산 평촌리 석조약사여래입상 牙山坪村里石造藥師如來立像 Stone Standing Bhaisajyaguru Buddha in Pyeongchon-ri, Asan 보물 제536호라, 아산시 송악면 평촌리 산1-1에 소재한다. 인근엔 요새 용담사라는 절이 있어 대웅전과 요사채가 있기는 한데 인기척은 없고.. 2019. 5. 18. Jusanji Reservoir in Cheongsong Located in Juwangsan National Park, Jusanji is a small reservoir. It is a man-made pond that was dug out in August 1720 and completed in October of the next year. The pond has been used as a source of water for agricultural use as well as for drinking. Even though it is small in size, about 100 meters long, 50 meters wide and 7 to 8 meters deep, the pond has never dried up from any drought. 靑松 注.. 2019. 5. 18. 보리밭 바라보며 뽕나무 숲에서 듣는 오디새 울음 한시, 계절의 노래(36)시골길을 가며[村行] [당(唐)] 이중(李中) / 김영문 選譯評 눈길 끝까지 푸르른보리밭 가지런하고들판 연못 넓은 물에온갖 오리 내려 앉네햇볕이 따뜻하여뽕나무 숲 우거진 곳한가하게 홀로 서서오디새 울음 듣네極目靑靑壟麥齊, 野塘波闊下鳧鷖. 陽烏景暖林桑密, 獨立閑聽戴勝啼. (2018.05.20.)망종芒種까지 얼마 남지 않았으므로 한창 보리가 여물 때다. 보리밭 녹색 물결이 서서히 황금색으로 바뀐다. 지금은 남도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보리밭을 찾아보기 힘들지만 7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전국 방방곡곡에 보리밭이 지천이었다. 또 봄 가을에 누에를 먹여 고치를 치는 양잠업이 농촌의 중요한 일이라 집 근처나 밭둑에 뽕나무를 많이 심었다.뽕나무 열매를 오디라고 한다. 처음에는 초록색이다가 빨간.. 2019. 5. 18. [전시예고] 야수파전 <혁명, 그 위대한 고통> 야수파 입체파 중고교 미술수업에서 미술사조 변화라 해서 주입했거니와 그 와중에 마티스와 피카소를 알았으되 특히 후자는 아흔 넘어서인가 새장개 가서 자식을 두었단 말을 듣고는 아 정력이 센 양반인가 했더랬다. 모네인지 마네인지 벤또 까먹는 그림과 귀때기 짤랐다는 고흐 남태평양 갔다는 고갱 등등이 아른아른 어쩌다 야수파 화가들이 대거 서울행을 결행한다 하거니와 코바나콘텐츠라는 기획사인가 갤러리와 연합뉴스가 짝짜꿍해서 조만간 세종문화회관에서 상다리 부러지게 차린다 하니 그때 자세한 소식 전하기로 하고 다만 오늘은 그런 자리가 조만간 있다는 맛배기 소식으로 갈음하고저 한다. 2019. 5. 18. 아버지, 고향, 사랑 아버지는 죽어야 애틋하고 고향은 떠나야 그리우며 사랑은 헤어져야 절절한 법이다. 2019. 5. 18. 이전 1 ··· 2981 2982 2983 2984 2985 2986 2987 ··· 346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