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894

고령 지산동고분군 발굴조사 성과 상보 고령 지산동고분군 재난방지시스템 구축 부지 내 발굴성과가 20일 발표됐다. 고령군이 대동문화재연구원에 의뢰한 구체적인 발굴성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원 문화재 발굴조사 학술자문회의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경북 고령군 대가야읍 지산리 산23-1번지 일원 282㎡를 조사 대상으로 삼은 이번 조사는 "사적 제79호 고령 지산동고분군의 정비에 앞서 탐방로 및 CCTV 전선매립구간에 정밀발굴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유구의 성격과 구조 및 조성시기 등을 밝혀서 학술적 의미를 구명하고, 향후 사업 추진과 관련하여 유적의 보존․보호대책을 수립하고자 함"을 표방하며 2019년 2월 17일에 시작했다. 이번 조사는 관람로를 따라 2개 구역으로 나누어 조사를 진행했으니, 조사단에서는 북편을 Ⅰ구역, 남편을 Ⅱ구역이라 명명했다. 이.. 2019. 3. 20.
고령 지산동 고분군 탐방로 발굴조사 성과 매장문화재 전문조사기관인 (재)대동문화재연구원(원장 조영현)이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으로 신청한 ‘가야고분군’ 중 하나인 경북 고령 지산동 고분군 내 탐방로 조성 예정지를 발굴조사한 성과를 20일 공개했으니, 그에 대해서는 아래 우리 공장 기사를 참고하라. "가야 건국설화" 그림 새긴 대가야 토제방울 발견고령 지산동 고분군 5세기 후반 아이 무덤서 출토남성 성기·거북 등껍데기·관 쓴 남자·춤추는 여자 등 표현 이번 조사 결과 5세기 말부터 6세기 초 사이에 조성된 대가야 시대 소형 석곽묘 10기와 석실묘 1기를 확인했다 했거니와, 개중 한 곳인 제5-1호 석곽묘에서 수습한 토제土製방울 1점에서는 "가야 시조가 탄생하는 장면을 형상화한 것으로 추정되는 그림 6종"을 새겼음을 확인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 2019. 3. 20.
“일찍 죽지마라, 너만 손해다” 이런 비스무리한 말을 중국사상사 전공 故 김충렬金忠烈 선생이 한 적이 있다. 그의 이야기인즉슨, 마왕퇴馬王堆 백서帛書니, 곽점초간郭店楚簡 같은 신출토 문물을 나보다 일찍 죽은 사람은 못 보았으니, 나는야 행복한 사람이라는 것이었다. 한데....상서尙書, 일명 서경書經이라는 이름으로 유통하는 동아시아 지식인 사회의 절대 윤리헌장 현존본이 몽땅 가짜임을 증명함으로써 동아시아 전체 지식인 사회를 멘붕에 빠뜨린 염약거(閻若璩, 1636~1704)도 비슷한 말을 했다. “배움은 끝이 없으니 사람이 더욱이 일찍 죽어서는 안 된다.”그의 《잠구차기潛丘劄記》에 나온다. 2019. 3. 20.
A Well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A Well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668~935 AD) has Unearthed near Anapji Pond(안압지) Gyeongju, Korea Taken December 12, 2008 안압지 인근에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발굴한 통일신라시대 우물이다.촬영시점은 2008년 12월 12일이다. 2019. 3. 20.
청자오리형연적, Duck-shaped Celadon Water Dropper 간송미술관 소장 청자오리형연적[靑磁鴨形硯滴]이다. 그 간략한 영문 표기와 개요는 아래와 같다. Duck-shaped Celadon Water Dropper12세기, 높이 8.1 cm, 국보 제74호12th Century, Height 8.1cm, National Treasure No. 74Housed at Kansong Museum(澗松美術館), Seoul 그에 대한 간송미술관이 제시하는 한국어 설명은 다음과 같다. 매끄럽지 못한 조사와 같은 극히 일부분만 삭제하는 등의 손질을 아주 약간 거쳤다. 고려인들이 애호하던 연못을 헤엄치는 오리 모습을 형상화한 연적이다. 균형 잡힌 비례의 통통한 몸매를 하며, 두 발은 몸통 밑으로 감춘 오리가 꼬인 연꽃 줄기를 입에 물었다. 오리 등에 있는 연잎 부분으로 물을 .. 2019. 3. 20.
보湺에 대한 반감과 이명박에 대한 증오는 구별해야 한다 보(湺)란 무엇인가?댐DAM이다. 2천만 수도권 젖줄인 한강은 그 자체로는 결코 젖줄일 수 없으니, 팔당댐이라는 보를 막아서야 비로소 젖줄이다. 한반도는 보 없이는 농사는 단 한 군데도 지을 수 없다. 농사는 보가 이룩한 위대한 성취다. 보가 있어야 또랑을 내며, 또랑이 있어야 사람이 마실 물을 길어오며, 농작물이 목을 축인다. 보 없는 곳이 없다. 한반도는 단군조선 이래, 아니 단군 이전 이 땅에 사람이 살기 시작하면서 보와 역사를 같이했다. 인류 문명은 물과의 쟁투였으며, 그 쟁투는 언제나 보와 함께였다. 보가 없어야 물이 맑아진다는 주장은 물이 없어야 인간이 산다고 주장과 같다. 보가 없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는 텃밭 한번 제대로 가꿔보지 않은 사람들이다. 단 한 번이라도 농사다운 농사라곤 지어보지.. 2019. 3.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