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181

공주 수촌리 고분 back to 2003 excavation of suchonri tumuli, gongju, korea dec. 10th, 2003 공주 수촌리 유적 Historic SiteAncient Tombs in Suchon-ri, Gongju 공주 수촌리 고분군 ( 公州 水村里 古墳群 ) Classification Historic Site Name of Cultural Properties Ancient Tombs in Suchon-ri, Gongju Quantity 179,402㎡ Designated Date 2005.03.03 Age Bronze Age - Unified Silla Address 201, Suchon-ri, Uidang-myeon, Gongju, Chungcheongnam-do The tombs in Suchon.. 2025. 3. 30.
천년 왕릉을 지키고 선 돌 사람 Stone figure from the Tomb of King Heungdeok(興德王) of Sill\a Kingdom, Gyeongju King Heungdeok is as follows from wikipedia(http://en.wikipedia.org/wiki/Heungdeok_of_Silla)Heungdeok of Silla (777 - 836) (r. 826–836) was the 42nd ruler of the Korean kingdom of Silla. He was the younger brother of King Heondeok. He was married to Queen Jeongmok, the daughter of King Soseong. Upon rising to the thron.. 2025. 3. 30.
백제의 벽옹연辟雍硯, 중국의 벽옹연 That reminds me of Kentucky fried chickens. Inkstone, 6th or 7th century CE, baekje dynasty period, excavated from a detached palace site, buyeo, chungceongnamdo province, korea, housed at the national museum of buyeo저렇게 생긴 벼루를 중국에서는 벽옹辟雍이라는 원형 건축물 기둥처럼 생겼다 해서 벽옹연辟雍硯이라 부르기도 하는 것으로 안다. 백제 마지막 고도 부여에서 출토한 백제시대 벼루인데 지금은 국립부여박물관이 소장한다. 참고 삼아 저렇게 생겨 먹은 다른 지역 벼루를 보건대 중국 천진박물관天津博物馆 소장 당대唐代 백유벽옹연白釉辟雍砚.. 2025. 3. 30.
풍납토성 back to 2008 과거사 정리 차원에서 하나씩 보이는 것들을 족친다.서울 풍납토성 미래마을지구 발굴현장이다.당시 국립문화재연구소(현 국립문화유산원)이 조사했으니 2008년 11월 27일, 그 공개현장이다. 저기선 한신대박물관이 조사한 경당지구까지 그대로 이어지는 길쭉이 일렬 형태 초대형 한성백제시대 창고 건물터인데 개중 한 지점이라, 사진에서 보듯이 대옹 3개가 박힌 채 나왔다. 저 중 하나에서 동진시대 사발인가? 잔인가가 1점이 튀어나왔다. Pungnaptoseong Fortification, Seoul, Korea. 2008.11.27 2025. 3. 30.
쌍둥이라서 같이 묻혔나? 최초의 구석기 일란성 쌍둥이 이야기 The bodies of two infant males who were covered in red ochre and buried under a mammoth bone in present day Austria. They are the oldest known identical twins, dating back 31,000 years. 2005년 오스트리아 크렘스-바흐트베르크 Krems-Wachtberg에서 후기 구석기 시대 문화층 Upper Paleolithic occupation layer 을 발굴하는 동안 발견된 붉은 황토 red ochre로 덮고 매머드 어깨뼈로 두른 타원형 무덤 출현 두 유아 남성 시신은 3만1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가장 오래된 일란성 쌍둥이다. 붉은 황토로 덮는 일은 당시 .. 2025. 3. 30.
3D 스캔 미라가 살려낸 람세스 2세 꼭 이게 아니더라도 저 람세스 2세 할배 얼굴은 많다.미라가 아주 잘 남았기 때문이다.한데 이참에 좀 더 과학을 가미해서 절 할배 얼굴을 복원했으니 저 모습이랜다.세배 드리면 용돈 좀 찔러줄 듯한 인자한 할배 같지만 글쎄다.저 할배 음흄하기가 고구려 장수왕 뺨친다.저 람세스2세 얼굴은 저 모습을 왔다갔다할 수밖에 없으니, 워낙 왕위에 오래있다가 아주 늙어서 죽었기 때문이며, 그 모습이 남았기 때문이다. 암튼 저 할배 권력, 정복, 신성한 통치의 상징처럼 통용했다.이집트 전사 왕이자 제국과 사원을 건설한 사람이었고 살아있는 신으로 군림했다. 법의학 전문가와 현대 얼굴 재구성 기술 덕분에 저런 모습으로 환생했다.미라화한 두개골을 자세히 스캔하고 이를 바탕으로 저와 같이 재구성했다.깊숙이 들어간 눈, 튼튼한 .. 2025. 3.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