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080

100년 만에 신발과 양말만 발견된 에베레스트 등반 실종자 2024년 9월, 지미 친Jimmy Chin이 이끄는 내셔널 지오그래픽 팀은 에베레스트산 중부 롱북 빙하Central Rongbuk Glacier에서 놀라운 발견을 했다."A.C. 어바인Irvine"이라는 이름을 새긴 부츠와 양말을 발견했는데, 이는 영국 등반가 앤드류 "샌디" 어바인 Andrew ""Sandy"" Irvine 소유였다고 추정한다.조지 맬러리George Mallory와 함께 어바인은 1924년 에베레스트 정상 등정을 목표로 한 역사적인 탐험 도중 실종되었다.이 발견은 그들의 운명을 둘러싼 오랜 수수께끼와 실종 전 정상 등정에 성공했는지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이 유물들은 1999년 맬러리 유해가 발굴된 곳보다 낮은 고도에서 발견되었다.중국 티베트 등산 협회는 추가 조사를 .. 2025. 6. 3.
그리 많이 죽는다는 산을 왜 갈까? 에베레스트의 경우 에베레스트 산에서 시신이 발견된 지점을 표시한 지도랜다. 좀 기분이 묘하다. 20세기 초 등반가들이 처음 에베레스트 산 정상 등정을 시도한 이후 2024년 기준, 330명 이상이 에베레스트 산에서 사망한 것으로 집계된다.사망 원인은 눈사태, 낙상, 노숙, 고산병, 탈진 등이 거론된다.특히 산소 농도가 매우 낮은 "죽음의 지대Death Zone"(해발 8,000미터 이상)에서는 시신 수습이 매우 어렵고 위험하기 때문에 많은 시신이 산에 그대로 남아 있다.이러한 위험을 무릅쓰고서도 에베레스트는 계속 등반객을 끌어들인다.무엇을 위해 갈까?산이 있으므로?산촌에서 태어나고 그곳에서 자라며 산과 함께 생활한 내가 처음 등산 문화라는 존재를 접했을 적에는 저들이 왜 산으로 가는지를 이해할 수 없었다. 왜?나한테 산은.. 2025. 6. 3.
3천년 전까지만 해도 유럽인 대다수는 흑인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선사 시대 유럽인들은 약 3,000년 전 철기 시대까지만 해도 검은 피부에 검은 머리카락, 검은 눈이었다고 한다. 과학자들은 피부와 머리카락, 그리고 눈을 더 밝게 보이게 하는 유전자가 약 1만 4천 년 전, 구석기 시대 후기, 즉 "고석기 시대Old Stone Age"가 되어서야만 초기 유럽인들 사이에서 나타났다는 것을 발견했다.하지만 이탈리아 페라라 대학교 유전학자이자 연구 수석 저자인 실비아 기로토Silvia Ghirotto는 이러한 밝은 특징은 비교적 최근까지만 산발적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밝은 피부는 유럽인들에게 진화적 이점을 제공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유럽의 약한 햇빛에서 건강한 뼈, 치아, 근육에 필요한 비타민 D를 더 많이 합성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그러나 파란색이.. 2025. 6. 3.
[독설고고학] 필연하는 고고과학화, 그 다음 꼴불견은? 적어도 학문에서는 국경이 없어진 마당에 갈라파고스 군도처럼 혼자서 세계 고고학 흐름에 낙오한 대한민국이지만, 결국 시간문제일 뿐, 고고학의 과학화는 거부할 수 없는 대세다. 지금이야 짐짓 아무렇지 않는 듯, 그게 무에 대수냐 하겠지만 지들도 인간인 이상, 세계 고고학 흐름과 전연 동떨어져 낙오자 신세 면치 못하는 그네들 스스로가 얼마나 쪽팔린지는 모를 리 없다고 본다. 그래서 각종 부업 전선에 뛰어들어 엉뚱한 짓거리 매달려 무슨 위원이니 무슨 연구용역이니 해서 그런 삶을 살아가는가 하면, 지들이 언제부터 세계유산했다고 짐짓 세계유산 전문가 다 된양 거덜먹하기 시작했더라만, 집에서 새는 바가지 밖에 나간다 해서 안 새겠는가?이쪽도 안 되는 놈들이 무슨 연구용역이며, 무슨 자문이며, 무슨 세계유산 전문가란 .. 2025. 6. 3.
작대기만 꽂아도 흥행 대박 치는 고흐 대전시립미술관 '고흐展' 관람객 16만 돌파… 최다 관람 기록 송고 2025년06월03일 14시05분 반 고흐 특별기획전, 수도권 외 지역 최초 개최…22일까지 운영 대전시립미술관 '고흐展' 관람객 16만 돌파… 최다 관람 기록 | 연합뉴스(대전=연합뉴스) 강수환 기자 = 대전시립미술관의 반 고흐 특별기획전이 누적 관람객 16만 명을 돌파하며 대전 미술 전시 역사상 최다 관람 기록...www.yna.co.kr 한국미술 소비경향 중 하나를 두고 지나친 인상파 혹닉주의를 거론하지만, 천만에!저쪽 유럽 미국이라 해서 예외는 아니어서 그쪽에서 인상파라면 사족을 못 쓴다. 특히 고흐!이 친구는 고흐 작품이라 해서 그가 먹다 버린 바나나, 혹은 그가 짚고 다닌 지팡이라 해서 하나만 걸어놔도 몇 십만을 너끈히 불러.. 2025. 6. 3.
덫으로 때려잡은 매머드, 구석기인들의 놀라운 사냥 실력 Woolly Mammoth Skeletons Discovered Inside 15,000-Year-Old Human-Built Traps in Mexico덧에 걸린 1만5천년 전 멕시코 털매머드 유골멕시코 고고학자들이 놀라운 발견을 했다. 바로 1만 5천 년 전 인공 덫에 걸린 상태로 사망한 털매머드Woolly Mammoth가, 한 마리도 아니고 십여 마리가 떼거리로 유골 상태로 발견됐다.초기 사냥꾼들이 정성껏 만든 이 고대 덫은 인류 조상들이 빙하기 시대에 이 거대한 동물을 포획하고 사냥하는 데 사용한 정교한 전략을 보여준다.이 발견은 초기 인류의 독창성과 생존 전략을 밝혀줄 뿐만 아니라, 선사 시대 인류와 지금은 멸종된 털매머드 사이의 극적인 상호작용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기도 하다.그래 저들.. 2025. 6.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