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과학에서 코프럴라이트coprolite라 일컬는 동물 똥덩이를 우리 학계에서는 분석糞石이라는 말로 흔히 옮기거나 쓴다. 말 그대로 똥덩이, 곧 대변大便을 말한다.
이런 배설물이 시대를 거슬러 인류 출현 이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면 마치 화석처럼 변했다 해서 포설라이즈드 피시스 fossilized feces 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
이 똥덩이란 무엇이고 왜 중요하며 실제 그 분석이 적용된 두어 사례로 우리가 그간 소개한 것들을 한 자리 모아봤다.
1. 개설 : 분석이란 무엇이며 왜 중요한가?
화석화한 대변, 왜 중요한가?
https://historylibrary.net/entry/%ED%99%94%EC%84%9D%ED%99%94%ED%95%9C-%EB%8C%80%EB%B3%80
화석화한 대변, 왜 중요한가?
화석화한 대변을 일본에서는 분석糞石이라 부른다. 한국 학계에서도 이를 받아서 똑같이 부르는지 아닌지는 모르겠다. (편집자주 : 한국고고학 또한 이를 수입해 그리 부른다.)영어로는 코프럴
historylibrary.net
[독설고고학] 박박 문지르는 세척, 그리고 똥덩이
https://historylibrary.net/entry/4-157
[독설고고학] 박박 문지르는 세척, 그리고 똥덩이
앞서 신동훈 교수께서 분석, 곧 똥덩이 이야기를 하신지라 이 문제를 포함한 한국 고고학 발굴 심각성을 짚기로 한다.간단히 말해 분석이 나오지 않은 것이 아니라(물론 창녕 비봉리 유적 같은
historylibrary.net
2. 사례
화석화한 대변이 선사 시대 세계를 분자적 세부 묘사로 안내한다
https://historylibrary.net/entry/%ED%99%94%EC%84%9D%ED%99%94%ED%95%9C-%EB%8C%80%EB%B3%80
화석화한 대변, 왜 중요한가?
화석화한 대변을 일본에서는 분석糞石이라 부른다. 한국 학계에서도 이를 받아서 똑같이 부르는지 아닌지는 모르겠다. (편집자주 : 한국고고학 또한 이를 수입해 그리 부른다.)영어로는 코프럴
historylibrary.net
창녕 비봉리 유적이 똥덩어리를 출토한 그날
https://historylibrary.net/entry/1-51
창녕 비봉리 유적이 똥덩어리를 출토한 그날
(편집자주) 코프럴라이트coprolite, 곧 분석糞石 똥덩이 대변 이야기 나온 김에 한국 고고학에서는 그 신기원을 이룩한 데가 창녕 비봉리 유적이라, 당시 이 소식을 전한 2005년 내 기사를 전재한다.
historylibrary.net
태국 똥이 폭로한 공룡 기생충
미라 연구를 개척한 일등 공신은 이집트 미라지만, 그 명성과 달리 실상 그 미라가 알려주는 정보는 많지 않다. 무엇보다 이집트 미라는 내장과 골수를 다 발라내서 만든 건어물이라 남은 건 피
historylibrary.net
느닷없이 패망한 야요이 마을
https://historylibrary.net/entry/%E3%85%87-867604
느닷없이 패망한 야요이 마을
아오야카미지치, 곧 청곡상사지青谷上寺地 Aoyakamijichi Site 유적은 일본국 돗토리현鳥取県 돗토리시鳥取市 아오야초青谷町 아오야青谷에 있는 조몬 시대縄文時代 말기 이래 헤이안시대에 걸치
historylibrary.net
'역사문화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All about 매독 (2) | 2025.09.19 |
---|---|
청동이 부족한 시대 청동검을 본뜬 덴마크 돌칼 (2) | 2025.09.19 |
중국 거울, 그 화려한 여정 (0) | 2025.09.18 |
고구려를 개구리로 만든 이덕무 (0) | 2025.09.18 |
[새한미디어](1) 호환마마, 그리고 영원한 제국 (0) | 2025.09.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