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자 세계유산에까지 오른 아라가야 시대 왕릉급 무덤 밀집 지역인 함안 말이산고분군을 함안군에서 계속 발굴조사를 벌이는 모양이라
최근 조사에서는 5세기 무렵 아라가야와 신라가 밀접히 교류했음을 보여주는 중요 유물을 수습하는 개가를 올렸다고 함안군이 공개했다.
특히 신라에서는 왕묘급 무덤에서 출토하는 삼누환도대도三累環頭大刀라는 쇠칼이 아라가야 권역에서는 처음으로 확인됐다 한다.
재단법인 경남연구원에 의뢰한 이번 ‘함안 말이산고분군 말산리 437번지 일원 발굴조사’는 국가유산청 국가유산 보수정비사업 일환이라 하니 조사비는 국민과 도민, 그리고 군민 세금에서 댔음을 알겠다.
조사 대상지는 말이산고분군 중에서도 이 공동묘지가 처음으로 등장하는 시점으로 간주하는 중심 구역 동구릉 북쪽이며, 이에서는 일찍이 90년대에 말갑옷을 출토한 마갑총이 있었다.
결국 조사 지역은 마갑총 인접 지점이라 조사 이전에 이미 주목받는 곳이었다.
조사 결과, 널무덤(木棺墓) 6기와 덧널무덤(木槨墓) 18기가 새롭게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말이산고분군 조성 초기 무덤 형식 변화와 공간 구성 방식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확보됐다고 조사단과 군은 말했다.

출토 유물로는 ▲화염형투창고배(火焰形透窓高杯) ▲목짧은항아리 ▲말갖춤(馬具) ▲덩이쇠(鐵鋌) ▲쇠화살촉(鐵鏃) ▲미늘쇠(有刺利器) ▲금제 귀걸이(金製耳飾) 등 아라가야 시대를 대표하는 유물들이 확인됐다고.
특히 16호 덧널무덤(木槨墓)에서는 삼누환두대도(三累環頭大刀)가 느닷없이 튀어나왔다.
"이 유물은 지금까지 신라 왕묘급 무덤에서만 출토되던 위세품威勢品으로, 아라가야 역사권에서는 처음으로 발견된 사례다. 이는 5세기 전반 아라가야와 신라 간 교류 관계를 밝히는 데 매우 중요한 연구 자료다."고 군은 밝혔다
조사단은 “이번 발굴은 아라가야 왕도 함안의 위상을 규명하는 데 중요한 학술 성과”라며 “특히 삼누환두대도 출토는 아라가야와 신라의 교류 관계와 매장 절차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했다”고 평가했다.

좀 더 자세한 자료는 확보 뒤에 소개토록 하겠다.
함안 말이산 고분군 진입로에서 찾은 4~5세기 무덤
함안 말이산 고분군 진입로에서 찾은 4~5세기 무덤
아라가야 시대 왕릉을 포함한 지배계층 묘지임이 확실한 경남 함안 말이산고분군에서 4세기 말 혹은 5세기 초 무렵에 만들었다고 생각하는 무덤임이 확실한 흔적 하나가 새로 발견되고, 그에서
historylibrary.net
함안고등학교 부지서 아라가야 시대 소 모양 뿔잔 출토
함안고등학교 부지서 아라가야 시대 소 모양 뿔잔 출토
말이산고분군과 함안고등학교 위치 상관관계는 이렇다. 이 고분 북쪽 지금의 함안 읍내에 함안고등학교가 있다. 이 학교가 개축공사를 예정하고서는 문화재가 지하에 있을 가능성이 있다 해서
historylibrary.net
'NEWS & THES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일 보르숨 근처에서 로마 은화 보물 발굴 (0) | 2025.10.16 |
---|---|
화석 이빨 분석 통한 동물의 멸종과 생존 이야기 (0) | 2025.10.16 |
패한 로마 반란병은 무자비하게 우물로 던져버렸다 (0) | 2025.10.16 |
아드리아해 주변 선사 시대 대규모 사냥 네트워크 구조물 발견 (0) | 2025.10.15 |
앙소문화 대규모 정착지 섬서성에서 발굴 (0) | 2025.10.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