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1694 부여륭(扶餘隆) 백제 무령왕을 성과 이름을 다 일컬어 이리 말하기도 한다. 삼국사기 권 제26(백제본기 제4) 무령왕 : 21년(521) 겨울 11월에 사신을 양나라에 보내 조공했다. 이보다 앞서 고구려에게 격파당하여 쇠약해진지가 여러 해였다. 이때에 이르러 표를 올려 “여러 차례 고구려를 깨뜨려 비로소 우호를 통하였으며 다시 강한 나라가 되었다”고 일컬었다. 12월에 고조(高祖)가 조서를 내려 왕을 책봉하며 말했다. “행도독백제제군사(行都督百濟諸軍事) 진동대장군(鎭東大將軍) 백제왕(百濟王) 여륭(餘隆)은 해외에서 번방(藩方)을 지키고 멀리서 공물[貢職]을 보내 그 정성이 이르니 짐은 가상히 여기는도다. 마땅히 옛 법을 좇아 이 영예로운 책명(冊命)을 주니 사지절(使持節) 도독백제제군사(都督百濟諸軍事) 영동대장군(寧東大.. 2018. 3. 5. 부여융(扶餘隆) ☞부여륭(扶餘隆) 2018. 3. 5. 고로(高老) 무령왕 7년(507), 백제 한성을 공격한 고구려 장수. 高가 고구려 왕족 성씨일 가능성이 있다. 삼국사기 권 제26(백제본기 제4) 무령왕 : 7년(507) 겨울 10월에 고구려 장수 고로(高老)가 말갈과 함께 한성(漢城)을 공격하고자 해서 횡악(橫岳) 아래로 진군해 주둔했다. 왕이 군사를 보내 싸워 이를 물리쳤다. 2018. 3. 5. 해명(解明) 삼국사기 권 제26(백제본기 제4) 무령왕 : 원년(501) 봄 정월에 좌평 백가(苩加)가 가림성(加林城)을 근거로 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왕은 군사를 거느리고 우두성(牛頭城)에 이르러 한솔(扞率) 해명(解明)에게 명해 토벌케 했다. 백가가 나와 항복하자 왕은 그의 목을 베어 백강(白江)에 던져버렸다. 2018. 3. 5. 백가(苩加) 백제인. ?~501. 동성왕 8년(486)에 위사좌평에 임명됐다가 동왕 23년(501)에 가림성으로 지키라는 왕명을 받았지만, 이에 불만을 품고 그해 겨울 사비 서쪽 벌판으로 사냥나간 동성왕을 자객을 시켜 사망에 이르게 했다. 뒤이어 즉위한 무령왕에게 토벌돼 주살됐다. '苩'이 성인지 여부는 확인할 길이 없다. 삼국사기 권 제26(백제본기 제4) 동성왕 : 8년(486) 봄 2월에 백가(苩加)를 위사좌평(衛士佐平)으로 삼았다. 3월에 사신을 남제에 보내 조공했다. 23년(501)…8월에 가림성(加林城)을 쌓고 위사좌평(衛士佐平) 백가(苩加)에게 지키게 했다. 겨울 10월에 왕이 사비(泗)의 동쪽 벌판에서 사냥했다. 11월에 웅천(熊川)의 북쪽 벌판에서 사냥했고, 또 사비 서쪽 벌판에서 사냥하다가 큰 눈에.. 2018. 3. 5. 동성왕(東城王) 백제 제24대 왕. 태어난 해는 알 수 없으며, 501년 시해됐다. 재위기간은 479~501년. 이름은 모대(牟大) 혹은 마모(摩牟)·마제(麻帝)·말다(末多) 등이 있고, 간혹 여대(餘大)라 하지만, 이는 '부여대'의 줄임이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제22대 문주왕(文周王) 아우 좌평(佐平) 곤지(昆支)의 둘째아들이라 하나, 계보에 의심이 많다. 삼국사기 권 제26(백제본기 제4) 동성왕본기 : 동성왕(東城王)은 이름은 모대(牟大)이며 문주왕 동생인 곤지(昆支) 아들이다. 담력이 남보다 뛰어나고 활을 잘 쏘아 백발백중이었다. 삼근왕이 죽자 왕위에 올랐다. 4년(482) 봄 정월에 진로(眞老)를 병관좌평(兵官佐平)으로 삼고 중앙과 지방[內外]의 군사 업무[兵馬事]를 아울러 맡겼다. 가을 9월에 말갈(靺鞨)이 .. 2018. 3. 5. 비타(毗陁) 백제 동성왕 20년에 쌓은 사정성 초대 성주로 당시 관위는 한솔이었다. 삼국사기 권 제26(백제본기 제4) 동성왕본기 : 20년(498)…가을 7월에 사정성(沙井城)을 쌓아 한솔(扞率) 비타(毗陁)에게 지키게 했다. 2018. 3. 5. 우영(優永) 무령왕 원년, 고구려 수곡성을 공격한 백제 달솔이다. 삼국사기 권 제26(백제본기 제4) 무령왕 : 원년(501) 겨울 11월에 달솔(達率) 우영(優永)을 보내 군사 5천 명을 거느리고 고구려의 수곡성(水谷城)을 습격했다. 2018. 3. 5. 무녕왕(武寧王) '武寧王'을 '무녕왕'으로 읽어도 하등 상관이 없으나, 관례로 '무령왕'으로 읽으니 이를 따른다. ☞무령왕(武寧王) 2018. 3. 5. 김유신론(4) 전쟁은 영웅을 부르는 법 김유신이 신라의 미래 동량으로 두각을 드러나기 시작할 무렵, 한반도는 시종 전운이 감도는 데서 한 발 더 나아가 단 한 해도 전쟁이 없는 시대로 돌입했다. 삼국사기 신라 진평왕본기에서 그 흔적을 추려보면, 38년(616) 겨울 10월, 백제가 모산성(母山城)을 쳤는가 하면, 40년(618)에는 북한산주 군주 변품邊品이 가잠성을 되찾고자 병사를 일으켜 백제와 싸웠지만 패배하고 해론奚論이 전사했다.45년(623) 겨울 10월에는 백제가 늑노현勒弩縣을 습격하더니 이듬해 46년(624) 겨울 10월에는 백제가 군사를 일으켜 속함速含ㆍ앵잠櫻岑ㆍ기잠歧暫ㆍ봉잠烽岑ㆍ기현旗縣ㆍ혈책穴柵 여섯 성을 포위한 결과 세 성이 함락되고 급찬 눌최訥催가 전사하는 대패를 기록했다. 시종 백제 공세에 시달린 신라는 47년(625) 겨.. 2018. 3. 4. 김유신론(3) 불루칩에 투자하는 미실 정치는 바터 (진평왕 엄마인) 만호태후 뜻을 알고는 미리 물러난 미실. 그리하여 자기 아들 보종을 내리고, 그 자리에 만호태후가 점 찍은 15살 꼬맹이 유신을 풍월주에 앉힌 미실한테 만호 역시 무엇인가 보답을 해야 했다. 역시 정치는 주고받기라, 노회한 정치가 만호는 또 다른 노회한 정치가 미실을 보답할 방법을 생각한다. 미실로서도 그 제안을 거절할 이유가 없었다. 만호가 내민 선물이 블루칩이고 가상화폐였기 때문이다. 11세 풍월주가 하종夏宗이다. 갑신년(564)에 태어났으니, 아버지가 세종世宗이요, 어머니가 바로 미실美室이다.화랑세기 하종공 전에 의하면 15살에 화랑에 들어간 그는 역사를 사다함 형인 토함한테서 배우고, 노래는 이화공에게 배웠으며, 검술은 문노에게 터득했으며, 춤은 미실 동생인 미생美生.. 2018. 3. 4. 김유신론(2) 외할머니 만호태후의 절대 비호 김유신이 금관가야 왕가의 정통 후손임은 널리 알려졌거니와, 그의 증조부가 바로 금관가야를 통째로 들어 신라로 귀부한 구형왕이라, 그의 세 아들 중 김무력이 아비와 더불어 투항하매, 진흥은 사도부인과의 사이에서 난 적통 공주 아양을 배필로 주니, 이 사이에서 난 아들이 바로 김서현이다. 따라서 부계로 보면 김유신은 금관가야만이 아니라, 진흥왕의 증손이었다. 그렇다면 김유신의 혈통은 이것으로 끝인가? 이것만이 그의 벼락출세를 보장하는가? 이에서 우리가 쳐다보아야 할 곳이 바로 그의 모계 혈통이니, 그의 어머니는 만명萬明이었으니, 실은 그의 출세를 보장한 것은 바로 이 모계였다. 삼국사기 김유신 열전 上에서는 만명을 일러 "갈문왕葛文王 입종立宗의 아들인 숙흘종肅訖宗의 딸"이라 했거니와, 이리 되면 골 때리.. 2018. 3. 4. 김유신론(1) 15세 벼락스타 항용 김유신 가문을 논할 때, 단재 신채호 이래 협작설 혹은 공작설이 대세이거니와, 이를 간단히 정리하면, 음험취한한 김유신은 본디 금관가야 혈통인 까닭에 엄격한 골품제 사회인 신라에서는 출세에 한계가 있음을 알고는, 그것을 혼인을 통해 돌파하려 했으니, 그런 일환으로 교묘한 공작으로 자기 누이동생과 떠오르는 신라 본래의 청춘스타 김춘추를 결혼시킴으로써, 이를 발판으로 출세가도를 달리게 되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공작설이 지닌 결정적인 하자가 한둘이 아님은 내가 여러 번 지적했고, 근자에 이런 내 주장과 흐름을 같이하는 글도 나오기 시작했으니, 그런 기존 논의에서 거의 다뤄지지 않았거나, 혹은 아예 누락한 중대한 사건 하나를 논하려 한다. 신라에 이른바 화랑도라는 독특한 군사 혹은 종교 결사체가 .. 2018. 3. 4. 현여(玄如) 신라 말기 승려다. 헌강왕 9년(883), 보문사에 대덕으로 주석하면서, 그 옛날 김유신이 건립한 석탑을 수리하는 일을 주관했다. 기타 행적은 확인되지 않는다. 중화 3년명 금동 사리기기(仲和三年銘金銅舍利器記·883년·신라 헌강왕 9년·당 희종(僖宗) 중화 3년) : 무릇 성인의 자취와 행인(行人)의 묘취(妙趣)를 좇아 영탑(靈塔)을 세우는 것은 명왕(明王)이라면 보통 행하는 일이다. 옛날에 유신(裕神) 각간이 세상에 나서 대업(大業)을 이루어 나라의 보배가 되었기에 삼가 이 대석탑을 만들었다. 중화(仲和) 3년(883)에 다시 중수하고자 하여……보문사(普門寺) 현여(玄如) 대덕이 무구정광경에 의거해 작은탑 77기를 만들고 진언(眞言) 77벌을 써서 대탑에 봉안했다. 그리고 집집마다 신묘한 보배를 갖고 .. 2018. 3. 4. 유신(裕神) ☞김유신(金裕神) ☞김유신(金庾信) 2018. 3. 4. 김유신(金裕神) 신라 하대 금석문인 중화 3년명 금동 사리기기(仲和三年銘金銅舍利器記)에 등장하는 표기로 김유신(金庾信)을 말한다. 발음이 같은 '裕神'이라 쓴 까닭은 피휘(避諱) 때문이다. 이 무렵 김유신은 이미 흥무대왕으로 추봉된 까닭에 이름을 함부로 부를 수는 없어, 같은 발음 한자 중에서도 그 신성성을 발휘할 글자만을 골라 '裕神'이라 쓴 것이다. 중화 3년명 금동 사리기기(仲和三年銘金銅舍利器記·883년·신라 헌강왕 9년·당 희종(僖宗) 중화 3년) : 무릇 성인의 자취와 행인(行人)의 묘취(妙趣)를 좇아 영탑(靈塔)을 세우는 것은 명왕(明王)이라면 보통 행하는 일이다. 옛날에 유신(裕神) 각간이 세상에 나서 대업(大業)을 이루어 나라의 보배가 되었기에 삼가 이 대석탑을 만들었다. 중화(仲和) 3년(883)에 다시.. 2018. 3. 4. 굴정차(屈丁次) 진흥왕 시대 비석 중 하나인 북한산비에 왕을 따라 북한산을 순수한 신라 관료 중 한 명이다. 이때 관위는 나말(奈末)이었다. 다른 행적은 파악되지 않는다. 북한산 비봉 신라 진흥왕 순수비(北漢山碑峰新羅眞興王巡狩碑·568년·진흥왕 29 이후) : 진흥태왕(眞興太王)과 뭇 신하들이 ▨▨을 순수(巡狩)할 때 기록하다. (왕을 수행한 신하들로는) …내부지(內夫智) 일척간(一尺干)과 사탁(沙喙) 무력지(另力智) 잡간(迊干)과 남천군주(南川軍主) 사탁(沙喙) … 부지(夫智) 급간(及干)과 미지(未智) 대나▨(大奈▨)와 ▨▨▨ 사탁(沙喙) 굴정차(屈丁次) 나▨(奈▨)다. 2018. 3. 4. 미지(未智) 신라 진흥왕 시대 금석문인 북한산비에 대나마로 등장한다. 같은 진흥왕 시대 다른 금석문들인 마운령비나 황초령비에 왕을 수행한 관료 중 한 명으로, 이때 관위 역시 대나마이나 표기가 '未知(미지)'로 약간 다르지만, 이 무렵 신라에서는 '知'와 '智'는 항용 혼용하므로 같은 인물임에는 틀림없다. 북한산 비봉 신라 진흥왕 순수비(北漢山碑峰新羅眞興王巡狩碑·568년·진흥왕 29 이후) : 진흥태왕(眞興太王)과 뭇 신하들이 ▨▨을 순수(巡狩)할 때 기록하다. (왕을 수행한 신하들로는) …내부지(內夫智) 일척간(一尺干)과 사탁(沙喙) 무력지(另力智) 잡간(迊干)과 남천군주(南川軍主) 사탁(沙喙) … 부지(夫智) 급간(及干)과 미지(未智) 대나▨(大奈▨)와 ▨▨▨ 사탁(沙喙) 굴정차(屈丁次) 나▨(奈▨)다. cf. .. 2018. 3. 4. 복동지(服冬知) 황초령비에 등장하는 신라시대 관료다. 같은 해 세운 마운령비에서는 '服冬智(복동지)'라고 보이니, 같은 인물이다. 이를 통해 이 무렵 신라에서는 적어도 발음으로는 '知'와 '智'가 통했음을 추측한다. 같은 진흥왕 시대 금석문으로 561년 건립한 창녕비에 사척간(沙尺干)이자 군주(軍主)로 나오는 '복등지(福登知)'와 같은 인물일 가능성도 있다. 이들은 나아가 진평왕 부인 김씨 마야부인(摩耶夫人) 아버지인 갈문왕 '복승(福勝)'과도 활동연대가 대략 겹치는 것으로 보아 동일인물일 가능성도 있다. 황초령신라진흥왕순수비(黃草嶺新羅眞興王巡守碑. 568년. 진흥왕 29) : …8월21일 계미(癸未)에 진흥태왕(眞興太王)이 관경(管境)을 ▨▨하고 돌에 새겨 기록한다. …이에 무자년(戊子年) 가을 8월에 관경(管境)을 .. 2018. 3. 4. 마질지(麻叱智)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昌寧新羅眞興王拓境碑·561년, 진흥왕22) : 신사년(辛巳年) 2월 1일에 세웠다.…이때 (수행한 이로)…촌주(村主) 망총지(奀聰智) 술간(述干)과 마질지(麻叱智) 술간(述干)이 있다. 2018. 3. 3. 망총지(奀聰智)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昌寧新羅眞興王拓境碑·561년, 진흥왕22) : 신사년(辛巳年) 2월 1일에 세웠다.…이때 (수행한 이로)…촌주(村主) 망총지(奀聰智) 술간(述干)과 마질지(麻叱智) 술간(述干)이 있다. 2018. 3. 3. 이전 1 ··· 1000 1001 1002 1003 1004 1005 1006 ··· 103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