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1022

일본 여행 붐: 그 문화에 관심있는 분들께 드리는 조언 요즘 일본 여행 붐이라 그 문화에 관심있는 분도 많으리라 본다. 가서 무엇을 느끼는가 무엇을 배워오는가는 전적으로 그 개인의 몫이고, 몇 가지만 조언을 드리자면-. 1. 일본의 박물관 유적 등에 적어 놓은 이야기 중 팩트만 적어 놓은 경우는 거의 믿어도 좋지만, 유적에 대한 평가는 액면 그대로 믿으면 안 되는 경우가 많다. 일본의 경우도 국뽕이 만만치 않은 나라라 뻥튀기가 중국 못지 않다. 대략 에도시대 이전의 역사는 국뽕이 상당히 많이 들어간 경우가 많다고 본다. 2. 일본의 유적 복원은 정도가 우리보다 더 심하다. 원형 복원이라고 하지만 근거가 있는 한에서는 최대한 폼나게 복원한다는 말이다. 한국 같으면 흙으로 덮고 잔디로 포장한 후 놔둘 유적에 일본은 같은 자리에 천수각을 올린다. 경주 황룡사는 일.. 2024. 7. 20.
[막말인물전-1] 사무라이 축에도 못 낀 잡병 출신 오키타 소지 간략히 일본사의 막말-메이지초 족적을 남긴 인물들의 신상을 리뷰한다. 이 친구들 인생이야 인터넷 찾아보면 다 나오니 여기 자세히 쓸 생각은 없고 출신 신분만 리뷰하도록 하겠다. 오키타 소지[沖田総司, 1842?~ 1868. 7.19], 요즘 젊은 친구들 보는 애니메이션에도 많이 나오던데 신센구미라는 막부측 막말 무력집단에서 가장 검술실력이 좋았다는 사람이다. 메이지유신이 일어나기 전 폐병으로 죽었다. 신센구미 관련한 영화나 애니에서 미소년으로 나오며 기침하며 객혈하지만 칼만 휘두르면 적이 쓰러지는 컨셉으로 나온다. 오키타 소지의 집안은 잡병 출신이다. 에도막부시기에는 사무라이도 여러 등급이 있는데 크게 보아 대략 말타고 달리는 제대로 된 사무라이와 그 뒤를 뛰어서 쫒아가는 잡병으로 나뉘어진다고 보면 된다.. 2024. 7. 20.
사이고 다카모리의 경천애인 그리고 세한도 메이지유신의 소위 유신삼걸이라는 인물 중에 사이고 다카모리라는 사람이 있다. 이 사람이 남긴 유묵 중에 경천애인이라 쓴 것이 유독 유명한데 이 자는 어렸을 때부터 유학에 단련된 사람으로 그 인품에 대해 높이 평가하는 여론이 일본에는 있다. 특히 그가 선동한 소위 서남전쟁은 전통적 사무라이 계층의 복고취향으로 이 경천애인이라는 유묵은 여기저기 사이고와 관련된 유적지라면 많이 새기고 복사하고 해서 전시해 놓았다. 경천애인이라는 문구는 사실 유학자라면 다 아는 이야기라 새로울 것이 없다. 유학의 axiom이라 할 것이다. 경천애인이라고 쓴 저 붓글씨도 필자는 이에 대한 조예가 없어 모르겠지만 저 글씨의 가치는 붓글씨의 예술적 각도에서 조망된 것만은 아닐 것이다. 사이고라는 사람의 인생이 있고 그 인생 아래에서.. 2024. 7. 20.
네 신선이 쳐다보 안 보고 제껬다는 울진 월송정越松亭 월송정越松亭 Wolsongjeong 동해를 조망하는 누정 울진 월송정은 관동팔경의 하나로 조선시대 강원도 관찰사 박원종이 연산군 때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하지만 고려말 안축의 취운정기 (1331)에 고려 충선앙 4년(1312) 이미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휠씬 이전에 세워졌음을 알 수 있다. 본래 월송정은 1980년에 새로 세운 지금의 월송정 남서쪽 약 450m 지점에 있었다. 본래의 정자는 없어졌다. 흔히 달과 소나무라 해서 月松이라 알기 쉬우나 이짝은 달을 싫어한듯 소나무를 뛰어넘어 놀기를 좋아한듯 넘을 월 솔 송을 써서 越松이다. 그 이름 유래는 이곡의 동유기. (1349)에 처음으로 나오는데, "소나무 만 그루 가운데에 월송정 이 있는데. 사선四仙이 유람하다가 우연히 이곳을 들리지 않고 지나갔기 때.. 2024. 7. 20.
사고 팔던 사무라이 일본은 웬만하면 자기쪽 누가 될 만한 소리는 잘들 안하다 보니 막말 유신기의 일본의 정황에 대해 굉장히 과장하고 미화한 경향이 있다. 우선 막말이 되면 각 번마다 재정 상태가 안좋아져 중-하급 사무라이, 성을 쓰고 칼 두 자루 차는 자격 정도는 돈 받고 팔았다. 따라서 좀 먹고사는 농민이나 상인은 이 권리를 사서 사무라이가 되는 경우가 있었으니, 잘 아는 사카모토 료마坂本龍馬 집안이 이런 경우다. 이 집안 본가는 상인인데 무사가 되었다, 이렇게 두리 뭉실하게 적어놨는데 돈주고 샀을 것이다.에도시대 후반으로 오면 사무라이 신분은 돈주고 사고 팔았기 때문이다. 이렇게 공식적으로 하지 않더라도 좀 먹고 사는 농민들 중에는 격검 도장도 나가고, 칼도 차면서 사무라이 흉내내는 사람이 많았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 2024. 7. 20.
개나 소나 떠들던 근왕양이勤王攘夷 메이지유신 전야에 근왕양이勤王攘夷[존왕양이尊王攘夷라고도 한다]는 하나의 유행이었다. 시바료타료司馬遼太郎[1923~1996] 소설을 보면 근왕양이의 열풍에 들뜬 젊은이들이 너도 나도 탈번脫藩하여 쿄토로 상경하는 모습을 자못 감동스런 필체로 묘사하는데 이와는 다른 장면을 전하는 책도 있다. 근왕양이는 그냥 구실이고 사실 실상은 막말幕末이 되면 하층 사무라이들은 녹봉으로 도저히 연명할 수 없는 상황이 되어 먹고 살 수가 없어 탈번하는 자가 수두룩했다는 말이다. 이렇게 탈번한 이들은 우리나라 70년대 무작정 상경하듯이 쿄토로 향하고 이들이 모여 근왕양이를 부르짖으며 나대기 시작하니 치안이 불안해져 동원된 무력조직이 바로 신센구미新選組다. 웃기는 건 이렇게 동원된 신센구미도 탈번 낭인 浪人부랑자 조직이었다는 점이.. 2024. 7. 20.
메이지유신은 누가 감행했는가 메이지유신에 대한 각종 사설 영화를 보다 보면 무슨 일본의 사무라이가 들고 일어나 메이지유신을 성공시킨 것처럼 해놓은 이야기가 많은데 사실을 이야기 하자면 막번체제를 지탱한 시스템 구성원이었던 제대로 된 사무라이들은 메이지유신 때 쳐맞고 쫒겨다니기 바빴다. 메이지유신 주체는 입에 풀칠하기도 빠듯했던 하급무사와 먹고 살만해서 칼 두 개 차고 사무라이 흉내내던 부농 자제들로 이들이 막번체제를 타도하고 신일본을 세웠다. 이 메이지유신 주체는 한국으로 보자면 중인과 잔반계급이다. 동학혁명에 많은 중인, 잔반계급이 참여했는데 이들이 만약 일본에서 태어났다면 메이지유신에 참여했을 것이다. 막번체제하에서 양성된 제대로 된 사무라이 태반은 메이지유신 하에서는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했다. 조선왕조가 오백년을 심혈을 기울.. 2024. 7. 20.
나폴레옹이 뽑아간 브란덴부르크 마차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문 Brandenburg Gate 콰드리가Quadriga 동상이다. 1788년과 1791년 사이에 지은 브란덴부르크 문은 베를린 최초의 그리스 부흥 건물이었다. 1793년, 이 문은 요한 고트프리트 샤도프 Johann Gottfried Schadow가 디자인한 콰드리가 동상을 장식함으로써 화룡점정했다. 하지만 이런 포지셔닝이 또 다른 분쟁을 불렀다. 1806년, 나폴레옹이 베를린을 점령했다. 이 야심만만한 프랑스 황제는 전쟁 전리품이자 승리의 징표로 콰드리가를 파리로 이송한다. 반달리즘 느낌도 살짝 나지만 그냥 약탈이고 쟁취다. 콰드리가Quadriga란 네 마리 말이 끄는 마차다. 2024. 7. 20.
이순신 수책거적도守柵拒敵圖를 다시 보며 일전에 소개한 적 있는 이순신의 북방 전투를 그린 수책거적도守柵拒敵圖다. 이 수책거적도를 다시 보면, 이 그림 주인공은 여진족도, 이를 방어하는 조선군도 아니고바로 뒤편에서 오돌오돌 떨고 있는 조선의 농부다. 성채 바깥에 펼쳐진 밭인지 논인지 이는 보는 시각에 따라 병사에게 식량을 공급하는 둔전일 수도 있겠지만 병사가 이 농민을 보호하기 위해 파견되었다고도 볼 수 있다. 구한말에는 심지어는 이런 군대의 보호없이도 농민들이 두만강을 넘어 청의 봉금封禁 지역으로 몰래 들어가 농사를 지었다. 농부는 땅을 갈아 먹고 살 수 있다면 어디든 간다. 고려시대 후기 오면서 이 땅에서 마침내 혼합농경이 안정적으로 경영되기 시작했다는 것이고, 그 결과가 북방 사민의 성공인데, 여기서 병사의 전투와 정치적 포석은사실 이 북.. 2024. 7. 19.
빚, 갚아야 하는 나와의 약속 이걸 꼭 계산적이라 할 수는 없으리라 본다. 사람이 살며 어찌 혼자 힘으로 살아갈 수만 있으며, 그래서 필연으로 신세를 지게 되니, 이 신세에 말미암은 무형의 유산을 빚이라 한다. 내 아무리 내 잘난 맛에 산다한들 어찌 혼자서 예까지 왔겠으며, 무수한 관계로 특징짖는 네트워크에서 내가 때로 무엇을 해준 것이 있겠듯이 내가 신세 진 사람이 어찌 한둘이리오?그렇다 해서 내가 신세 진 그 무수한 사람을 어찌 다 기억하겠는가마는 그래도 적어도 내가 기억하는 만큼은 그에 대한 나름의 갚음은 있어야 한다는 의무는 언제나 안고 간다. 이걸 나는 나와의 약속이라 부른다. 그것이 꼭 유형일 수만은 없겠지만, 무형이라 하면 너무 막연해져서 주어진 자리에서 나한테 허여된 능력 안에서는 그런대로 내가 진 신세는 되도록 갚으려.. 2024. 7. 19.
저 무덤 이름은 경주찰보리총塚 메타세콰이어인지 뭔지 접때 듣기는 했지만 까먹은 저 나무가 어찌하여 저기 저런 양태로 자라게 되었는지는 모르겠다. 경주시에선 생뚱 맞다 해서 한 때는 제거해 버려야지 않는가 하는 논의가 없지는 않았다 기억하지만 그러게 간단히 내치기엔 이젠 놓쳐버리고 말았으니 시시각각 저 떼거리 나무가 뿜어내는 풍광이 만만치 아니해서 잎이 지금처럼 무성하면 무성한 대로 또 왁싱하면 왁싱 상태로 또 비가 오면 비가 오는 대로 눈이 오면 눈이 오는 대로 각양각색하는 풍광이 묘하기 짝이 없다. 오늘은 저 가랭이 사이로 기어들어가 봤다. 다섯그룬지 여섯그루가 옹기종기 올말졸망이라 저 나무가 묘한 것은 저 나무가 있음으로써 그렇지 아니했으면 그저그런 흔하디흔한 신라무덤에 지나지 않았을 저 씁쓸한 무덤들이 더욱 빛나게 하는 코러스가.. 2024. 7. 19.
잘만든 짜가가 초래하는 문제들 이 모습 보고선 예가 불국사로 알고 가시는 분이 의외로 많다. 진짜 불국사를 마주하고선 예도 똑같은 다보탑 석가탑 있네 하는 분도 있다면 믿기는가? 너무 그럴듯하게 만들어도 문제다. 저 모조품 역사도 제대로 정리해야 하는데 경주박물관에서 제대로 정리한 자료가 있는지 모르겠다. 저 분들 경주관광종합개발계획 직접 자손이다. 그 와중에 등장한 것이며 하도 잘만들어서 진짜가 없어지더라도 저 짜가만 살아남으면 진짜를 복원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다. 2024. 7. 19.
신라통일 이후 북벌은 혼합농경 북상의 역사 앞에서 우리나라 잡곡과 도작은 기원을 달리하여 요서에서 남만주를 거쳐 들어온 잡곡과 산동반도에서 바다를 건너 들어온 도작이 만나서 도작과 잡곡이 어우러진 혼합농경이 성립된 곳은 아마도 평양과 황해도 일대 서북지역일 것이라 하였다. 이 혼합농경이 더욱 남하하여 이루어진 판도가 세형동검문화와 얼추 맞아 떨어지지 않을까 한다. 따지고 보면 대략 고려의 천리장성 정도가 바로 혼합농경의 북방경계였을 것이라 보는데, 윤관정벌과 공민왕의 북벌, 세종대의 북벌 등은 모두 바로 이러한 혼합농경의 북벌과 궤를 같이 하지 않을까. 따지고 보면 윤관북벌 이후 우리나라 함경도 지역의 식민은 농업 기술 혁신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다. 왜냐? 아래 지도를 보면 알수 있다. 삼국시대-고분시대 도작이 도달할 수 있는 위도는 북위 40도.. 2024. 7. 19.
[보스니아 내전] (7) 나는 엄마의 자식이다 내 삶은 어머니에게 해를 끼친 사람의 이름으로 얼룩져 있습니다. 나에게는 내가 전혀 본 적도 없는 악마의 낙인이 새겨졌고, 이제는 그가 누구인지도 알고 싶지 않습니다. 나는 잘못한 것이 없지만 세상으로부터 손가락질 당해야 했습니다. 나는 치욕의 짐을 짊어지고 살았지만, 아직도 내 출생이 왜 그렇게 수치스러운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나는 거울 앞에서 자신들을 비춰볼 용기조차 없는 세상 사람들이 지운 짐을 짊어지고 살아야만 했습니다. 내가 태어나기 전에 누군가의 악마 같은 행위로 인해 나는 ‘누군가의 새끼’라는 꼬리표를 달고 살아야만 했습니다. 나는 악마의 자식이 아니라 어머니의 자식입니다. 나는 증오의 자식이 아니라 어머니와 양아버지, 가족의 사랑을 받으며 자란 자식입니다. 나는 부끄러움의 자식이 아니라.. 2024. 7. 19.
공민왕과 세종대의 북벌 주황색 부분이 공민왕이 수복한 지역이며 나머지 지역이 세종대에 완료한 북방영토 사민지역이다. 이 시기가 14세기 후반-15세기 중반에 걸친 시기인데 이 짧은 기간 동안 엄청난 영토가 한국사에 추가되었다. 저 지역에서 안정적으로 혼합농경이 시도되지 않았다면 이 북벌은 실패했을 것이다.  *** previous article ***  2천년 지중해 해저를 지킨 스핑크스 2024. 7. 19.
2천년 지중해 해저를 지킨 스핑크스 지중해로 침몰한 나일삼각주 인근 고대 이집트 도시 헤라클레이온Heracleion은 여러 번 다뤘다.이 장면도 개중 하나라 저 스핑크스 조각 Sphinx statue 은 저 상태로 1999년 발견됐다.한때 고대 도시 헤라클레이온을 증언한 분이렸다. ​저 분은 신이시라 물속에 들어가서 2천 년을 계셔도 익사를 모른다.들어갈 때 그 모습 그대로 계시다가 나오시어 지금은 알렉산드리아Alexandria 해양박물관 Maritime Museum을 정좌해 계신다. *** related articles *** 바다로 침몰한 나일강 어구 고대도시 헤라클레이온에서 찾은 고대 선박 바다에서 건져올린 토니스-헤라클레이온 Thonis-Heracleion 2024. 7. 19.
무신정권과 원 간섭기에 무슨 일이 있었는가 흔히 윤관 북벌과 공민왕-세종의 북벌은 엄청난 차이가 있을 것 같지만 자잘한 전략을 빼고 크게 보면 결국 농민의 식민을 바탕으로 항구적인 점령 전략을 구사한다는 점에서 동일하다고 본다. 그런데-. 왜 윤관북벌은 실패하고 공민왕-세종이 북벌은 성공하였는가. 필자는 이 두 북벌의 사이기에 농업기술의 혁신이 있었을 것이라 본다. 구체적으로는 무신정권과 원간섭기. 이 시기에 뭔가 농업기술 관련하여 혁신이 있었다고 본다는 뜻이다. 윤관 때는 실패한 북방 지역의 농사가 공민왕 이후에는 안정적으로 가능할 정도로 성장하게 되었으리라 본다는 뜻이다. 요는 농민이 현지에 착근할 수 있느냐 없느냐가 결국 승패를 갈랐으리라 보는데 이 사이기에 무슨 일인가 농업기술 측면에서 혁신적 변화가 있었을 것이다. 2024. 7. 19.
[보스니아 내전] (6) 우리집 정원의 보석함 탱크와 장갑차, 트럭이 우리 마을을 처음 지나갔을 때를 기억합니다. 아직 어렸던 우리는 누구인지도 모르고 그들에게 손을 흔들었습니다. 나중에 아버지로부터 그들이 크닌에서 니슈까지 처음 진격하는 세르비아군 부대 중 일부였다는 것을 들었습니다. 호송대는 종종 우리 마을을 지나갔고, 군인들은 때로 손을 흔들며 사탕을 던져주기도 했습니다. 이것이 내가 기억하는 그들의 모습입니다. 하지만 이후에 상황이 바뀌었습니다. 두려움이 퍼져 나갔습니다. 호송대가 나타나면 어린 우리는 집안으로 뛰어 들어갔고, 십 대들은 그들을 향해 돌을 던져 분란을 일으키곤 했습니다. 어느 날 돌 세례를 받은 호송대가 멈춰 섰고, 소총을 든 남자들이 쫓아왔습니다. 그들은 범인이 우리 집에서 나왔다고 생각하고 우리 집 정원으로 들이닥쳤습니다... 2024. 7. 19.
[보스니아 내전] (5) 전쟁이 키운 바지 전쟁이 막 시작되었을 무렵 어머니와 나 그리고 내 형제들은 조부모님과 함께 살기 위해 투즐라로 이사했습니다.우리는 1994년까지 그곳에 머물렀습니다.  그 당시 나는 예닐곱 살이었고, 몸이 너무 빨리 자라 전쟁 전에 입던 옷이 갑자기 모두 작아졌습니다. 그러자 이웃의 세카 아주머니가 담요 쪼가리를 바지에 덧대어 길게 만들어 주셨습니다.  지금 그 바지를 보면, 그 어려운 시기에 세카 아주머니가 급하게 만든 담요로 내 바지를 멋지게 만들어 주려고 노력하셨는지 알 수 있습니다.  세카 아주머니, 감사합니다. 다미르, 1987년생 *** previous article *** [보스니아 내전] (4) 사과 드실래요? 2024. 7. 19.
[동부 터키 여행] (19) 콤마게네 왕국 여성들을 위한 무덤 카라쿠시 고분군 Karakuş Tumulus Karakuş Tumulus · Karşıyaka, 4025. Sk. No:17, 02402 Bağözü/Kâhta/Adıyaman, 튀르키예★★★★★ · 관광 명소www.google.com     카라쿠시 고분군 Karakuş Tumulus 저 카라쿠시는 Karakush라 로마나이즈하기도 하는 곳으로, 기원전 30~20년 콤마게네 Commagene 왕조 미트리다테스Mithridates 2세 명령에 따라 만든 이시아스 왕비와 안티오키아Antiochis 공주, 그리고 아카Aka 1세를 위한 무덤hierothesion이다.간단히 말해 무덤과 침전寢殿이 세트하는 장송 공간이다. 저들이 누구이며 어떤 관계인지는 아래 소개하는 비문에 보인다.오늘날 튀르키예 아디야만Adiyaman 주 카흐타Kâhta 구역 추쿠르타.. 2024. 7. 19.
[동부 터키 여행] (18) 세베루스 다리 Severan Bridge, 로마의 동방 진출 교두보 위치는 아래 Cendere Bridge · 02400 Burmapınar Köyü/Kahta/Kâhta/Adıyaman, 튀르키예★★★★★ · 다리www.google.com 첸데레 다리 Cendere Bridge[센데레 브리지라고도 읽어도 틀리다 할 수는 없다.] 라고도 한다. 서기 3세기 초, 셉티미우스 세베루스(Septimius Severus)가 파르티아를 패퇴하고 나서 메소포타미아가 로마 제국에 편입된 후 이 다리가 건설되었다. 이런 새로운 영토 편입으로 기존 상류 유프라테스 방어선이 쓸모없게 되었고 그 결과 지역이 재편성되었다. 서기 203~204년 파르티아와의 일전을 준비하고자 고대 도시 사모사타Samosata(오늘날 삼사트Samsat)에 주둔한 로마 제16군단 플라비아 피르마Flavia Fir.. 2024. 7.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