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9000

조선시대 육조 중 주지육림 꽃보직은 예조 꽃 보직 기준은 그때나 지금이나 간단해서하는 일은 없고 누리는 권리는 많은 자리다.흔히 기자를 일러 "기사만 쓰지 않으면 이보다 더 좋은 직업 없다" 하거니와 이를 참조하면 좋다. 조선시대 중앙정부 조직은 위로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세 정승이 있고 그 아래 육조가 배치되었으니 세 정승 중에서도 영의정은 말이 좋아 일인지하 만인지상이지 꿔다본 보릿자루였다. 좌의정과 우의정이 육조 중 세 부서를 농가서 먹었으나, 이것도 실상 일 터지면 육조 판서는 임금과 직거래 하고, 또 그 판서라는 사람들도 다 한 가닥씩 왕과 연줄이 있어 정승 눈치도 안 봤다. 그렇다면 이호예병형공 6조 중 꽃 보직 부서는 어디였을까?조선 중기 때 문신 박동량朴東亮(1569~1635)이라는 사람이 엮은 야담 플러스 사화집인 기재잡기寄齋雜.. 2025. 2. 16.
실시간 초고속 정보통신망이 작동한 한양과 북경 계속 인용하는 조선 중기 윤국형尹國馨(1543∼1611) 찬 갑진만록甲辰漫錄에 보이는 일화 한 토막이다. 조금 길지만, 내 이야기 전개를 위해서는 위선 전문을 훑어야 한다. 한국고전번역원 번역 서비스를 조금 손질한다. ○ 임인년 한여름에 내가 황강黃崗으로 부모님을 뵈러 갔을 적에 성영成泳 영공令公이 북경北京에 (사신으로) 갔다가 돌아왔다. 만나 이야기하던 중에 그가 말하기를, “조정(명 나라 조정)에 있을 적에 새로 간행한 조선시선朝鮮詩選을 보았는데, 바로 오명제吳明濟가 편찬한 것이었소. 그 안에는 영공께서 오명제와 작별하며 지은 율시 한 수가 있었소.”라고 했다. 가만 생각하니 내가 무술년 서울에 있을 때 어느 (명나라 파병) 장군 막하幕下인지는 모르나, 오명제라고 하는 사람이 있었는데, 문장에 능한.. 2025. 2. 16.
라스코 동굴과 그 벽화 그 유명한 라스코 동굴 Lascaux Cave과 그 벽화다.이 동굴 벽화는 볼수록 부럽고, 볼수록 경이스럽기만 하다.구석기시대에 저런 회화작품을, 것도 동굴 비름빡도 아니요 천장에다 남기다니? 같은 구석기라는데 대체 왜 이리 다른가?나는 이 문제도 구석기학도들이 천착해야고 본다.저짝은 왜 저리 이른바 예술품에 목을 매다시피 했는데 이쪽은 왜 이 모양인가?인도네시아에서도 구석기 벽화나왔다매?더 오래됐다매?한데 한반도는 대체 왜 이 모양인가?각설하고 라스코 동굴은 프랑스 남서부에 위치한 구석기 유적으로, 도르도뉴Dordogne 지역 몽티냑Montignac 마을 근처에 위치해 있으며, 선사시대 동굴 예술의 가장 유명한 사례를 보고한다.거의 600점에 달하는 그림(대부분 동물 그림)이 동굴 벽 내부를 놀라운 구.. 2025. 2. 16.
신이 된 소들 소 Cattle 는 일부 종교와 신화에서 존재감이 두드러진다.이처럼 전 세계의 수많은 민족은 한때 황소를 신성한 것으로 기렸고 지금도 그렇게 간주하는 문화권이 많다.수메르 종교 Sumerian religion 에서 마르둑 Marduk 은 "우투 Utu 의 황소"다. 힌두교에서 시바 Shiva 신이 타고 다니는 동물이 황소 난디 Nandi 다.신성한 황소는 황소자리 Taurus 에서 살아남았다.메소포타미아에서처럼 달이든 인도에서처럼 태양이든 황소는 뉴에이지 New Age 문화에서 현대적 언급뿐만 아니라 다양한 다른 문화적, 종교적 화신 incarnations의 주제다.오록스 Aurochs 라는 지금은 멸종한 소는 프랑스 라스코 Lascaux 와 리베르농 Livernon 에서 발견된 것과 같은 많은 구석기 .. 2025. 2. 16.
학문은, 전문가는 So what에 답해야 한다 앞서 신동훈 교수께서 상식에 겸허해야 하는 전문가를 말하면서 "사실 전문가에게 가장 무서운 질문은 해당 분야의 전문가로부터 나오지는 않는다"고 갈파했거니와 비슷한 맥락, 혹은 같은 맥락에서 나는 이른바 전문가 집단을 향해, 내가 말하는 이 집단은 주로 고고학에 집중했거니와 그들을 향해 저 대답에 답할 수 있어야 한다는 말을 주구장창했다. 비단 고고학만이 아니라, 학문 전 분야를 막론하고 지금 이 순간에도 무수한 논문이 쏟아져 나오고, 저 방구석, 카페 구석, 연구실 구석에서 이것이 내 연구라고 독자를 향해 발신하만, 유감스럽게도 내가 보건대, 도대체 이걸 이것이 왜 연구인가 하는 반론을 제기하는 글이 천지라이는 간단히 말해 저 평범하지만, 어쩌면 가장 묵직한 물음, 곧 So what을 답변하지 못하기 때.. 2025. 2. 16.
눈 온 뒤 파주 장릉 Jangreung, tomb of King Injo and his wife of the Joseon dynasty(1392~1910) 파주 장릉이다.  어찌한 인연이었는지 자세한 기억은 없지만, 천지사방 싸돌아다니던 그 무렵이라11년 전 오늘인 2013년 2월 16일, 나는 저곳을 찾았다. 직전 제법 많은 눈이 온 듯 수북한 상태다. 이젠 그런 열정도 많이 사그라들고 말았다. 아니다 정확히는 더한 새로움을 찾아나섰다 하는 편이 나을 법하다. 2025. 2. 16.
공작동남비孔雀東南飛, 동남쪽을 나는 새? 후한 말기 문단을 주름잡은 채옹蔡邕(133~192)한테는 채염 蔡琰이라는 딸이 있었으니, 그가 겪은 간난은 참말로 극악무도하기 짝이 없으니 이 이야기는 훗날 혹 다른 기회를 엿보기로 하고, 이 딸 역시 아버지에 견줄 만한 뛰어난 시인이기도 했으니 그가 지었다고는 하나, 그 작자가 정확히 누구인지는 논란이 많은 공작동남비孔雀東南飛라는 유명한 시가 있으니, 본래 이 시는 제목이 없지마는 그 첫 구를 따라서 이리 이름한다. 그 첫 대목은 이렇다.   孔雀東南飛       五里一徘徊 5리마다 한번씩 서성이네   十三能織素 열셋에 비단짤 줄 알았고十四學裁衣 열넷엔 옷 만들기 배웠네 내가 늘 의심하는 대목은 저 첫 구절 공작동남비孔雀東南飛라 이는 공작孔雀이라는 동남쪽을 날아간다[飛]는 뜻이거니와문제는 이에서 말하는.. 2025. 2. 16.
상식에 겸허해야 하는 전문가 전문가는 쉽게 볼 수 없다. 어떤 분야이건 자기 일을 삼십년씩 하는 사람들이라면, 그가 진지하게 자신의 일에 몸바쳐 몰두했다면 삼십년 후에는 그가 도달한 지점은 쉽게 볼 수 없다. 어쨌건 우리나라도 해방 이후 칠십년이 넘었고 또 해당 분야 수준도 많이 높아졌기 때문에 해당 분야의 전문가라고 한다면귀기울여 들어야 할 부분이 분명히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자기 일을 삼십년씩 진지하게 한 사람들이라면상식에 준하여 하는 비판이 얼마나 아픈 것인가 하는 부분을 잘 알 것이다. 사실 전문가에게 가장 무서운 질문은 해당 분야의 전문가로부터 나오지는 않는다. 나올 질문이 뻔하기 때문이다. 필자도 논문을 투고하면 제대로 된 심사자가 심사평을 낸다면 그 심사평의 80-90프로는 그 내용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 2025. 2. 16.
내재적 발전론이 제자리를 맴도는 이유 필자가 대학 다닐 무렵 화두는 한국근대사의 내재적 발전론이었다. 광작, 자본주의의 맹아, 화폐경제 등 내재적 발전론을 뒷받침하는 많은 이론들이 이 시기에 양산되어 나왔다. 그런데-. 지금 그 시절부터 무려 40년이 지났는데 여전히 제자리를 맴돌고 있고 때로는 이 이야기가 정말 사실을 반영한 것인가 하는 의문이 꼬리에 꼬리를 문다. 왜 그럴까. 사실에 대한 검토가 제대로 수행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일본의 경우 에도시대의 모습과 한말 조선의 모습은 엄청난 차이가 있다. 여기 김 단장께서도 쓰셨지만 필자 역시 소위 내재적 발전론의 화폐경제와 자본주의 맹아론은 아직도 확신하기 어렵다. 좀 더 냉정하게 처음으로 다시 돌아가야 할 때다. 언젠가 썼지만, 이제는 한국인이 바보라고 보는 사람들은 전 세계에 없다. 좀 .. 2025. 2. 16.
개돼지 득시글하는 한국사회 당쟁이란 무엇인가? 편가르기다. 내 편은 모든 게 옳고 넘의 편은 모든 게 다 틀리다. 이것이 조선시대 사색당파론의 핵심이다. 당쟁망국론이 식민사관이라 해서 그 극복을 주장한다며, 미국에서 굴러먹다 들어온 미국 어느 학자가 그것은 현대의 정당정치와 비슷하다 주장하니, 그에서 비로소 숨통을 마련했다고 흥분한 이 땅의 역사학자들이 그래 정당정치! 라고 하면서 환호했지만저 당쟁망국론은 총독부 어용학자들의 전매특허도 아니요 신채호니 박은식이니 하는 독립투사들도 이구동성으로 지적하던 병폐였다. 애초 정치권 일부만의 문제였던 이 당쟁론, 곧 편가르기가 더욱 심각했던 이유는 그것이 이내 사회 곳곳에 파고들었었다는 것이니 내가 늘상 말하듯이 요새 한국정치판 꼬라지랑 하등 다를 바 없어 권력을 잡고자 하는 넘들은 물론이.. 2025. 2. 15.
무덤 속 탈것은 모두가 상여! 트라키아 전차의 경우 이게 아마 2017년에 공식 발표가 된 발굴성과일 텐데 이르기를 The recent discovery of a 2,000-year-old Thracian chariot in Bulgaria, complete with the skeletons of the horses that once drew it, provides an illuminating insight into the customs and societal structures of the Thracian culture. The inclusion of chariots in Thracian burials is a testament to their advanced equestrian skills and the significance of these vehi.. 2025. 2. 15.
변변찮은 점포 하나 없다 비판하며 사치를 경멸하는 조선 사대부 조선이 왜 상업이 발달할 수 없었는가? 곧, 때려죽어도 자본주의는 맹아도 틔울 수 없는 암흑 사회였는가 하는 해답은 실은 앞서 길게 인용한 윤국형 증언을 통해 고스란히 확인하는데 상업이란 무엇인가?결국 흥청망청 쓰야 하며, 결국은 소비와 사치 없이는 성립할 수 없다. 각종 판서까지 고루 역임한 조선 중기 전형하는 조선 사대부 윤국형尹國馨(1543∼1611)은 동시대 중국에서는 방방 곡곡 없는 점포가 없고 주식酒食과 거마車馬 같은 물품이 구비되지 않음이 없는데 견주어"우리 나라 백성들은 모두 가난하여 저자나 행상 이외에는 사고 파는 것이 무슨 일인지도 모르고, 오직 농사로 생활을 꾸려갈 뿐이다"고 한탄했지만막상 그러한 자신도 임진왜란과 그에 따른 명나라 군대의 대규모 참전이 야기한 조선 사회상이 급속도로 .. 2025. 2. 15.
조선에 비로소 상업을 부른 전쟁, 임진왜란의 경우 나는 언제나 역사를 보는 관점에 돈을 개입해야 한다고 말한다. 모든 게 돈이다. 돈에서 시작해 돈으로 끝난다. 앞서 두어 번 인용한 윤국형尹國馨 갑진만록甲辰漫錄에 증언이다.계속 상기하지만 윤국형은 생몰년이 1543∼1611년임을 주시해야 한다. 임진왜란 한복판을 고스란히 겪은 사람인 까닭이다. ○ 중국은 방방 곡곡에는 모두 점포가 있어 주식酒食과 거마車馬 등의 물품이 구비되지 않은 것이 없다. 비록 천리 먼 길을 가는 사람일지라도 은자 한 주머니만 차고 있으면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구하지 못할 것이 없으므로 그 제도가 매우 편리하다. 우리 나라 백성들은 모두 가난하여 저자나 행상 이외에는 사고 파는 것이 무슨 일인지도 모르고, 오직 농사로 생활을 꾸려갈 뿐이다. 호남과 영남의 대로에 주점이 있기는 하.. 2025. 2. 15.
야요이인 논쟁에 한국 학자들이 참여해야 일본의 야요이인 논쟁에는 한국 쪽 학자들 참여가 필요하다. 결국 한국 쪽 이야기가 없으면 야요이시대에 대한 논의는 반쪼가리가 될 수밖에 없다. 야요이인이 한반도에서 갔네 안갔네 아무리 떠들어 봐야한반도를 모르면 전부 공염불이기 때문이다. 한국 사람을 모르는데 여기서 일본으로 갔는지 안 갔는지 어떻게 증명하겠는가? 결국 야요이인 논쟁은 한국 학자들이 대거 참여해야 하는 주제다. 야요이인 논쟁은 일본사이기도 하고 한국사이기도 하고 그렇다. 우리가 외면해서는 안 되는 주제다. 2025. 2. 15.
일본에서 조몬 농경론 밑밥을 까는 이유 일본에서 나오는 주장 중에 조몬 농경론이라는 게 있다. 조몬시대, 흔히 생각하듯이 수렵채집만 한 것이 아니라 원시적이긴 하지만 초보적 농경이 있었다는 것으로 잡곡이나 도작 농경 같은 것은 아닐지라도 팥이라던가 녹두 등 쉬운 작물 재배는 있었다는 것인데, 이런 작물도 아마도 한반도에서 들어온 것일 것이다, 라는 전제를 깔기는 한다. 일본에서는 왜 이렇게 조몬농경론縄文農耕論에 집착하는 것일까? 필자가 보기엔 우리나라에서 신석기시대 농경론을 입증하기 위해 애쓰는 정도보다일본에서 조몬 농경론을 입증하고자 하는 시도가 훨씬 집요한 것 같다. 글쎄-. 필자가 보기엔 일본에서도 조몬시대 초보적 농경이 있었다는 주장이 사실이더라도 이게 뭐 대단한 농경이 아니라는 것은 그쪽도 잘 안다고 본다. 문제는 이러한 초보적 .. 2025. 2. 15.
통나무를 깐 10년 전 백제도로 이 유적은 나도 실견했다고 기억하는데 혹 다른 데랑 혼동했는지는 모르겠다. 2014년 6월 20일 배병선 선생이 탑재한 사진인데 당시 배 선생 설명은 이랬다.  부여 쌍북리 근생시설 신축을 위한 금강문화재연구원 발굴조사시 발견된 백제 도로유적이다.저습지인 지반 상태를 고려하여 통나무를 깔고 그 위에 점토와 모래를 번갈아서 15cm 정도 깔고 다졌다.도로유구 윗층에서는 수레자국이 남아있었다.나주 오량동 유적에서도 이와 비슷한 토목 구조가 발견되었다. 물론 11년 가까이나 지났으니 당연히 발굴보고서는 나와 있을 테고, 저 통나무들은 어찌 되었는지 모르겠다. 그러고 진짜 도로였을까? 아님 다른 기능이었을까?각중에 궁금해진다. 2025. 2. 14.
갱지의 추억 요즘은 종이가 너무 흔해서 젊은 세대는 잘 모르겠지만 필자 세대만 해도 갱지更紙의 시대였다갱지는 한 마디로 재생지다. 종이가 모자라다 보니 한 번 쓴 종이를 풀어 다시 종이로 떠서 만드는 것이다. 그러니 색깔이 노르스름 거무튀튀하다. 필자가 국민학교 다닐 적에 이 갱지를 학교 앞 문방구에서 낱장으로 팔았다. 필자는 어릴 때 만화그리기를 좋아해서 종이를 사다 그림 그리는 게 낙이었는데 문방구에 가서 갱지를 돈이 있으면 열 장인가 사다가 그렸다. 종이 열장 주세요 하면문방구 아저씨가 솜씨 좋게 갱지를 쫙 벌려 열장을 세서 팔았다. 그 당시에는 달력 종이도 그냥 버리는 법이 없었다. 일력은 화장지로 썼고 월력 종이는 A4크기로 잘라 연습장으로 썼다. 이 귀한 종이의 기억이 우리는 점점 사라진다. 그러다 보니,.. 2025. 2. 14.
거침없는 중국 수중고고학 질주, 쇄빙 조사선도 출범 국립해양문화유산연구소 정용화 선생 전언이라, 그와 관련 보도를 종합하면 이렇다. 중국이 새 수중고고학 전용 조사선 탐색3호探索三号라 인수했다고 한다. 관련 소식은 이미 지난해 타전된 적이 있으니, 그 진전한 소식인 셈이다. ***중국 광저우조선소인터내셔널Guangzhou Shipyard International (GSI)이 중국과학원Chinese Academy of Sciences(CAS)에 신형 쇄빙고고학 연구선 icebreaking archaeological research ship인 Tansuo San(탐색3호探索三号, "Exploration No 3")를 인도했다.이 해양조사 전용 선박은 GSI가 건조한 것으로 여름철에는 심지어 극지에서도 글로벌 심해 탐사 deep-sea exploration 및.. 2025. 2. 14.
[경기도] 2025년도 학예연구직 공무원 채용 공고 2025년도 경기도 학예연구직 공무원 채용 공고가 올라왔습니다.인원은 총 9명으로 작년보다 채용 인원이 늘어났습니다.  지역은 경기도 2, 용인시 1, 화성시 2, 포천시 3, 양평군 1인데, 포천시는 시립박물관 건립 추진 중이라 3명이나 채용하는 것으로 보이고, 용인시는 작년까지 제가 있다가 나온 자리의 후임으로 채용 예정입니다.  시험과목은 문화사, 한국문화사, 박물관학입니다.  이미 떠나온 사람이 이야기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겠습니까마는, 아무래도 용인시는 제가 있었던 곳이라 마음이 좀 더 쓰이긴 하네요. 시험 준비하는 모든 분께 좋은 결과 있길 바랍니다.자세한 시험정보와 일정은 경기도 시험정보 사이트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경기도청 - 변화의 중심 기회의 경기변화의 중심, 기회의 경기도의 주요.. 2025. 2. 14.
대가리 셋인 히드라가 끄는 에트루리아 저승 마차 Three Headed Lernaean Hydra; wall painting from an Etruscan Tomb (4th Century BC), at necropolis of Pianacce, Italy.머리 세 개인 레르나 히드라 Lernaean Hydra 벽화다.이탈리아 피아나체Pianacce 묘지에 있는 한 에트루리아 무덤(기원전 4세기)을 장식한다.지옥 마차의 무덤 Tomb of Infernal Chariot이라 일컫는 이 무덤은 내부 벽면을 아름답게 채색한 에트루리아 무덤 중 하나로 꼽히며, 에트루리아 전역에서 유례가 없는 화려한 장례의식을 보여주는 건축물이다.이 무덤은 2003년 발견됐다 하는데, 그 내력은 좀 더 자료를 뒤져봐야겠다. 이 무덤은 두 마리 사자와 두 마리의 그리폰grypho.. 2025. 2. 14.
최종산물로서의 필사본 우리의 경우에도 유난히 아름답다고 절찬받는 필사본이 있다. 필자가 보기에 의궤 같은 것이 그렇다. 외교적 문제로 의궤가 이슈가 될 때마다 항상 같이 나오는 이야기는 아름다운 책이란 것이다. 왜 그럴까. 필사본이 최종본이었기 때문이 아닐까. 필사본이 판각이나 활자인쇄를 위한 매뉴스크립트인 경우에는그 필사본에 공을 들일 이유가 없다. 요즘이야 워드프로세서가 있어 다르지만필자가 학생 때에도 원고지에 글을 쓰는 경우가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다. 필자 기억에 워드가 본격적으로 학생들 사이에서 퍼져나간 것이 대략 80년대 후반 연간이었는데 이전에는 종이에 글을 썼다. 물론 이걸 남에게 읽히는 최종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손으로 정성스럽게 정서했을 것이다.  그렇지 않을때 원고지 악필의 전설은 그렇게 생겨나는 것이다.. 2025. 2.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