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7645 도침(道琛) 백제가 멸망하자, 무왕의 조카 복신을 도와 백제부흥운동을 주도한 승려. 주류성을 근거지로 삼아 반란을 일으키고 왜국에 볼모로 간 부여풍을 맞아 왕으로 삼았다. 부흥운동이 기세를 올리자 스스로 영군장군(領軍將軍)이라 일컬었다. 하지만 이런 행동이 복신의 의심을 샀는지, 그에게 죽임을 당했다. 삼국사기 권 제28(백제본기 제6) 백제부흥운동 : 무왕(武王)의 조카 복신(福信)이 일찍이 군사를 거느렸는데 이때 승려 도침(道琛)과 함께 주류성(周留城)에 근거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그리고] 일찍이 왜국에 볼모로 가 있던 옛 왕자[古王子] 부여풍(扶餘豊)을 맞아다가 왕으로 삼았다. 서북부(西北部)가 모두 응하자 [그들은] 군사를 이끌고 인원(仁願)을 도성(都城: 사비성)에서 포위하였다.조서를 내려 유인궤를 검교대.. 2018. 3. 6. 부여문사(夫餘文思) 백제 마지막 의자왕 손자이면서, 태자 부여효의 아들이다. 나당연합군 침입에 사비성이 함락 위기에 처하고, 왕과 태자 효가 웅진으로 달아나고, 의자왕 다른 아들인 태가 마음대로 왕이 되어 성을 지키자, 이에 반발해 성문을 타고 내려가 당군에 항복했다. 삼국사기 권 제28(백제본기 제6) 의자왕 : 20년(660)…6월에…당나라 군사가 승세를 타고 성으로 육박하자 왕은 면하지 못할 것을 알고 탄식하며 “성충(成忠)의 말을 쓰지 않아 이 지경에 이른 것을 후회한다.” 고 말하고는 드디어 태자 효(孝)와 함께 북쪽 변경으로 달아났다. 정방이 [사비]성을 포위하니 왕의 둘째 아들 태(泰)가 스스로 왕이 되어 무리를 거느리고 굳게 지켰다. 태자의 아들 문사(文思)가 왕자 융(隆)에게 말하였다. “왕과 태자가 [성을.. 2018. 3. 6. 흥수(興首) 백제 멸망기 의자왕 시대 충신으로 평가되는 인물. 나당연합군이 백제를 치러올 때 좌평으로 죄를 지어 고마미지현으로 유배되어 있다가, 적을 어쩌 막으면 좋을지를 묻는 의자왕 물음에 당군은 백강 어구에서 막고, 신라군은 탄현에서 마주 싸워야 한다고 주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삼국사기 권 제28(백제본기 제6) 의자왕 : 20년(660) 6월에…소정방이 군사를 이끌고 성산(城山)에서 바다를 건너 우리나라 서쪽의 덕물도(德物島)에 이르렀다. 신라왕은 장군 김유신을 보내 정예 군사 5만 명을 거느리고 [백제 방면으로] 나아가게 하였다. 왕이 이를 듣고 여러 신하를 모아 싸우는 것이 좋을지 지키는 것이 좋을지를 물었다. …왕은 주저하여 어느 말을 따를지 알지 못하였다. 이때 좌평 흥수(興首)는 죄를 얻어 고마.. 2018. 3. 6. 성충(成忠) 백제 멸기 의자왕 시대 충신으로 평가되는 인물. 왕이 주색에 빠지가 간언하다가 옥에 갖혀 죽었다. 죽기 전 외적이 백제를 치러온다면 수군은 마땅히 기벌포에서 막고, 육군은 침현(탄현)에서 막아서야 한다는 글을 올렸다. 삼국사기 권 제28(백제본기 제6) 의자왕 : 16년(656) 봄 3월에 왕은 궁녀와 더불어 주색에 빠지고 마음껏 즐기며[淫荒耽樂] 술 마시기를 그치지 아니하였다. 좌평 성충(成忠)이 극력 간언하자 왕은 분노하여 그를 옥에 가두었다. 이로 말미암아 감히 간언하는 자가 없었다. 성충이 옥중에서 굶어 죽었는데[死] 죽음에 임하여 글을 올려 말하였다.“충신은 죽어도 임금을 잊지 않는 것이니 원컨대 한 말씀 올리고 죽겠습니다. 신이 늘 때[時]를 보고 변화를 살폈는데 틀림없이 전쟁이 있을 것입니다.. 2018. 3. 6. 의직(義直) 삼국사기 권 제28(백제본기 제6) 의자왕 : 7년(647) 겨울 10월에 장군 의직(義直)이 보병과 기병[步騎] 3천 명을 거느리고 신라의 무산성(茂山城) 아래로 나아가 주둔하고, 군사를 나누어 감물성(甘勿城)과 동잠성(桐岑城) 두 성을 공격하였다. 신라 장군 유신이 친히 군사를 격려하여 죽기를 결심하고 싸워 크게 깨뜨리니 의직은 한 필 말을 타고 혼자 돌아왔다. 8년(648) 봄 3월에 의직이 신라 서쪽 변방 요거성(腰車城) 등 10여 성을 습격하여 빼앗았다. 여름 4월에 옥문곡(玉門谷)으로 군사를 나아가게 하니 신라 장군 유신이 맞아 두번 싸워 크게 이겼다. 20년(660) 조 : 6월에 ...소정방이 군사를 이끌고 성산(城山)에서 바다를 건너 우리 나라 서쪽의 덕물도(德物島)에 이르렀다. 신라 왕.. 2018. 3. 6. 석남오(石南烏)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 : 14년(798) 여름 6월에 가물었다. 굴자군(屈自郡) 대사 석남오(石南烏)의 아내가 한꺼번에 아들 셋과 딸 하나를 낳았다. 2018. 3. 6. 김삼조(金三朝) 원성왕 때 시중을 역임한 신라 관료.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 : 13년(797) 가을 9월에 나라 동쪽 지방에 누리가 곡식을 해쳤고, 홍수가 나서 산이 무너졌다. 시중 지원이 관직을 그만두었으므로 아찬 김삼조(金三朝)를 시중으로 삼았다. 2018. 3. 6. 지원(智原) 원성왕 때 시중을 역임한 신라 관료.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 : 12년(796) 여름 4월에 시중 언승을 병부령으로 삼고 이찬 지원(智原)을 시중으로 삼았다. …13년(797) 가을 9월에 나라 동쪽 지방에 누리가 곡식을 해쳤고, 홍수가 나서 산이 무너졌다. 시중 지원이 관직을 그만두었으므로 아찬 김삼조(金三朝)를 시중으로 삼았다. 2018. 3. 6. 헌평(憲平) 원성왕 태자 김의영이 죽어서 받은 시호다.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 : 10년(794) 봄 2월에 지진이 일어났다. 태자 의영(義英)이 죽어 시호를 헌평(憲平)이라 하였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2 원성대왕(元聖大王) : 왕에게는 손자가 다섯 있었으니, 혜충태자(惠忠太子)ㆍ헌평태자(憲平太子)ㆍ례영잡간(禮英잡干)ㆍ대룡부인(大龍夫人)ㆍ소룡부인(小龍夫人) 등이다. 대왕(大王)은 실로 인생의 곤궁하고 영화로운 이치를 알았으므로 신공사뇌가(身空詞腦歌. 노래는 없어져 자세치 못하다)를 지을 수가 있었다. 2018. 3. 6. 김뇌(金惱)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 : 9년(793) 가을 8월에….나마 김뇌(金惱)가 흰 꿩을 바쳤다. 2018. 3. 6. 김숭빈(金崇斌) 신라 원성왕 때 시중을 지낸 인물.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 : 8년(792) 8월에…시중 준옹이 병으로 관직을 그만두었으므로 이찬 숭빈(崇斌)을 시중으로 삼았다. …10년(794) 봄 2월에…시중 숭빈이 관직을 그만두었으므로 잡찬 언승(彦昇)을 시중으로 삼았다. 舊唐書 권 제199上 列傳 제149上 東夷 新羅國 : [元和] 7년(812. 新羅 憲德王 4)에 중흥(重興)이 卒하니, [그 나라에서] 宰相 김언승(金彦昇)을 세워 王으로 삼고, 使臣 김창남(金昌南) 등을 보내와 告哀했다. 이해 7월에 彦昇에게 開府儀同三司 檢校太尉 持節大都督雞林州諸軍事 兼持節充寧海軍使 上柱國 新羅國王을 除授하고, 彦昇의 아내 정씨(貞氏)를 王妃로 책봉했다. 아울러 宰相 김숭빈(金崇斌) 등 세 사람에게 門戟을.. 2018. 3. 6. 김의영(金義英) 신라 원성왕의 태자지만, 일찍 죽어 헌평이란 시호가 주어졌다.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 : 8년 8월에 왕자 의영(義英)을 태자로 봉하였다. 상대등 충렴이 죽었으므로 이찬 세강(世强)을 상대등으로 삼았다. 시중 준옹이 병으로 관직을 그만두었으므로 이찬 숭빈(崇斌))을 시중으로 삼았다. …10년(794) 봄 2월에 지진이 일어났다. 태자 의영(義英)이 죽어 시호를 헌평(憲平)이라 하였다. 2018. 3. 6. 의영(義英) ☞김의영(金義英) 2018. 3. 6. 숭빈(崇斌) ☞김숭빈(金崇斌) 2018. 3. 6. 김정란(金井蘭) 신라 원성왕 8년(792), 당나라 황실에 바친 여성이다.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 : 8년(792) 가을 7월에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미녀 김정란(金井蘭)을 바쳤다. 그 여자는 나라 안에서 제일가는 미인으로 몸에서 향내가 났다. 2018. 3. 6. 김언(金言) 신라 원성왕 7년(791), 내성시랑으로 있다가 삼중아찬이 되었다.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 : 7년(791)…11월에…내성시랑(內省侍郞) 김언(金言)을 삼중아찬으로 삼았다. 2018. 3. 6. 향성(向省) 신라 원성왕 시대 웅천주 대사로, 그의 아내가 세 쌍둥이를 낳아 화제가 되었다.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 : 7년(791) 봄 정월에…웅천주 대사 향성(向省)의 아내가 한꺼번에 아들 셋을 낳았다. 2018. 3. 6. 백어伯魚 원성왕 6년(790), 일길찬一吉湌으로서 아마도 발해였을 북국北國에 사신으로 파견된 신라 관료다. 이름이 조금 독특한데, 공자 아들 리鯉의 字가 바로 백어伯魚다. 鯉가 곧 잉어이니, 그것을 풀어 물고기 중에서도 우두머리가 된다는 말로써 字를 삼았다.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 : 6년(790) 3월에 일길찬一吉湌 백어伯魚를 북쪽 나라[北國]에 사신으로 보냈다. *** 일길찬一吉飡은 17단계로 나뉜 신라 관위官位 체계에서 제7등이다. 고작 7등밖에 안 된다고 개무시하는 경향이 강하지만, 엄청나게 높은 관위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물론 저 무렵 신라가 발해를 개무시한다는 그런 뜻도 없지는 아니했겠지만 그 국가를 표상하는 사절단 대표로 일길찬이 파견된다는 사실을 부릅뜨고 봐야 한다. .. 2018. 3. 6. 종기(宗基) ☞김종기(金宗基) 2018. 3. 6. 김종기(金宗基)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 : 6년(790) 봄 정월에 종기(宗基)를 시중으로 삼았다. …7년(791) 겨울 10월에…시중 종기(宗基)가 관직을 그만두었으므로 대아찬 준옹(俊邕)을 시중으로 삼았다. 삼국사기 권 제44(열전 제4) 김양 열전 : 김양(金陽)은 자가 위흔(魏昕)이고, 태종대왕 9세손이다. 증조는 이찬 주원(周元), 할아버지는 소판 종기(宗基), 아버지는 파진찬 정여(貞茹)이니 세력 있는 집안으로써 모두 장수와 재상이 되었다. 2018. 3. 6. 모초(毛肖)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 : 5년(789) 9월에 자옥(子玉)을 양근현(楊根縣) 소수(小守)로 삼으니 집사사(執事史) 모초(毛肖)가 논박하여 말하였다. “자옥은 문적(文籍)으로 등용되지 않았으니 지방 관직을 맡길 수 없습니다.” 그러자 시중이 말하였다. “비록 문적으로 등용되지는 않았지만 일찍이 당나라에 들어가 학생이 되었으니 써도 좋지 않겠습니까?” 왕은 이 말을 좇았다. 2018. 3. 6. 이전 1 ··· 801 802 803 804 805 806 807 ··· 84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