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8670

제귀(諸貴)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조분니사금 : 조분니사금(助賁尼師今)이 왕위에 올랐다. 성은 석씨로, 벌휴니사금 손자이고 아버지는 골정(骨正)갈문왕이다. 어머니는 김씨 옥모부인(玉帽夫人)이니 구도(仇道) 갈문왕 딸이고, 왕비는 아이혜부인(阿爾兮夫人)으로 나해왕 딸이다. ☞조분니사금 2018. 3. 8.
강훤(康萱)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나해니사금 : 32년(227) 3월에 파진찬 강훤(康萱)을 이찬으로 삼았다. 2018. 3. 8.
련진(連珍)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나해니사금 : 27년(222) …겨울 10월에 백제 군사가 우두주(牛頭州)에 침입하였으므로 이벌찬 충훤(忠萱)이 군사를 이끌고 그들을 막았는데, 웅곡(熊谷)에 이르러 적에게 패하여 혼자 말을 타고 돌아왔으므로 진주(鎭主)로 좌천시키고 련진(連珍)을 이벌찬으로 삼아 군사의 일을 겸하여 맡게 하였다. 29년(224) 가을 7월에 이벌찬 련진이 봉산(烽山) 아래에서 백제와 싸워 그들을 깨뜨리고 천여 명을 죽이거나 사로잡았다. 8월에 봉산성(烽山城)을 쌓았다.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구수왕 : 11년(224) 가을 7월에 신라의 일길찬(一吉) 련진(連珍)이 쳐들어 왔다. 우리 군사가 봉산(烽山) 아래에서 맞아 싸웠으나 이기지 못하였다. 2018. 3. 8.
연진(連珍) ☞련진(連珍) 2018. 3. 8.
윤종(允宗) 나해왕 16년(211) 이찬이 된 신라 관료.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나해니사금(奈解尼師今) : 16년(211) 봄 정월에 훤견(萱堅)을 이찬으로 삼고 윤종(允宗)을 일길찬으로 삼았다. 2018. 3. 8.
훤견(萱堅) 나해왕 16년(211) 일길찬이 된 신라 관료.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나해니사금(奈解尼師今) : 16년(211) 봄 정월에 훤견(萱堅)을 이찬으로 삼고 윤종(允宗)을 일길찬으로 삼았다. 2018. 3. 8.
리음(利音) ?~220. 신라 나해니사금 아들로 관료이자 장군. 동왕 12년(207) 이벌찬이 되고 이듬해 변경을 침범한 왜군을 막았으며, 14년(209) 포상팔국의 난을 진압했다. 19년(214) 서쪽 변경을 침략한 백제군을 토벌하고 사현성을 빼았다가 25년(220) 3월에 사망했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나해니사금(奈解尼師今) : 12년(207) 봄 정월에 왕자 리음(利音)을 이벌찬으로 삼고 중앙과 지방의 군사 일을 겸하여 맡아보게 했다. 13년(208)…여름 4월에 왜인이 변경을 침범하므로 이벌찬 이음을 보내 군사를 거느리고 막게 했다. 14년(209) 가을 7월에 포상(浦上)의 여덟 나라가 가라(加羅)를 침범하므로 가라 왕자가 와서 구원을 청했다. 왕이 태자 우로(于老)와 이벌찬 리음(利音)에게 .. 2018. 3. 8.
이음(利音) ☞리음(利音) 2018. 3. 8.
진충(眞忠) 나해니사금 10년(205), 일길찬으로 국정에 참여한 신라 관료.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나해니사금(奈解尼師今) : 10년(205) 봄 2월에 진충(眞忠)을 일벌찬으로 삼아 나라의 정치에 참여시켰다. 2018. 3. 8.
이매(伊買) 신라 제9대 벌휴니사금 둘째아들이며, 골정 태자 동생이다. 내례부인과의 사이에서 아들 나해니사금을 두었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나해니사금(奈解尼師今) : 나해니사금(奈解尼師今)이 왕위에 올랐다. 벌휴왕 손자로 어머니는 내례부인(內禮夫人)이고 왕비는 석씨이며 조분왕의 누이 동생이다. 용모가 웅장하고 뛰어난 재주가 있었다. 앞 왕의 태자 골정(骨正)과 둘째 아들 이매(伊買)는 먼저 죽었고 맏손자[大孫]는 아직 어렸기에 이매의 아들을 왕위에 세웠으니, 이가 곧 나해니사금이다. 2018. 3. 8.
술명(述明) 벌휴왕 9년(192) 일길찬이 된 신라관료.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벌휴니사금 : 9년(192) 봄 정월에 국량(國良)을 아찬으로 삼고 술명(述明)을 일길찬으로 삼았다. 2018. 3. 8.
국량(國良) 신라 벌휴왕 9년(192) 아찬에 임명된 신라 관료.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벌휴니사금 : 9년(192) 봄 정월에 국량(國良)을 아찬으로 삼고 술명(述明)을 일길찬으로 삼았다. 2018. 3. 8.
설지(薛支) 신라 벌휴왕 7년(190), 백제와의 전투에서 구도가 패배하자, 그 후임으로 좌군주(左軍主)가 되었다. 설(薛)이 성씨인지 여부는 알 수가 없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벌휴니사금 : 7년(190) 가을 8월에 백제가 서쪽 국경에 있는 원산향(圓山鄕)을 습격하였다. 또 진군하여 부곡성(缶谷城)을 에워쌌으므로 구도가 굳센 기병 500명을 거느리고 그들을 공격하니 백제의 군사가 거짓으로 달아났다. 구도가 뒤쫓아가 와산(蛙山)에 이르렀다가 백제에게 패하였다. 왕은 구도가 실책하였다 하여 부곡성주(缶谷城主)로 좌천시키고 설지(薛支)를 좌군주(左軍主)로 삼았다. 2018. 3. 8.
흥선(興宣) ?~? 아달라니사금 때 신라 관료. 동왕 2년(155) 일길찬이 되고, 14년(167)에는 2만 군사를 이끌고 한수로 출동해 백제와 싸웠으며, 이듬해에는 이찬 계원을 뒤이어 이찬이 되었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아달라니사금 : 2년(155) 봄 정월에 몸소 시조묘에 제사지내고 크게 사면하였다. 흥선(興宣)을 일길찬으로 삼았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아달라니사금 : 14년(167) 8월에 일길찬 흥선(興宣)에게 명하여 군사 2만 명을 이끌고 그들을 치게 하고, 왕도 또한 기병(騎兵) 8천 명을 거느리고 한수(漢水)로부터 [그 곳에] 다다랐다. 백제가 크게 두려워하여 잡아갔던 남녀들을 돌려 보내고 화친을 청하였다. 삼국사기 권 제23(백제본기 제1) 초고왕(肖古王) : 2년(167).. 2018. 3. 8.
계원(繼元) ?~168 AD. 신라 아달라니사금 원년(154) 이찬으로서 군무와 국정을 총괄하기 시작해 14년 동안 일하다가 동왕 15년(168)에 사망했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아달라니사금 : 원년(154) 3월에 계원(繼元)을 이찬으로 삼아 군무와 국정을 맡겼다. 15년(168) 여름 4월에 이찬 계원(繼元)이 죽었으므로 흥선(興宣)을 이찬으로 삼았다. 2018. 3. 8.
충분(忠芬) 신라 소성왕 2년 시중에 임명된 신라 관료. 기타 행적은 알 수 없다.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소성왕 : 2년(800) 봄 정월에 왕비 김씨를 왕후로 봉하고, 충분(忠芬)을 시중으로 삼았다. 2018. 3. 8.
신라 금석문의 주소지 공개와 호구조사 포항 중성리비가 발견됨으로써 그 자리에서 밀려나기는 했지만, 울진 영일 냉수리비는 얼마전까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신라비였다. 그 건립시기가 확정적이지는 않다 해도, 서기 503년, 지증왕 4년이라고 많은 이가 받아들인다. 나 또한 크게 이견은 없다.이 영일 냉수리비에는 신라인 이름 얼추 25명이 나온다. 과거 왕이 2명이요, 현재 살아있는 갈문왕이 1명, 기타 이 갈문왕과 더불어 진이마촌이라는 동네에서 벌어진 아마도 재산 관련 분쟁 판결에 관여한 다른 신료 6명, 그리고 아마도 이들의 부관이었을 공산이 큰 실무 관료 7명, 그리고 비문 작성에 관여했을 법한 실무관료, 그리고 진이마촌 행정책임자인 촌주 등이다. 이들 25명에게는 모두 그 주거지를 밝혀놓았다. 심지어 신라왕과 갈문왕조차도 주거지를 다 밝혀.. 2018. 3. 8.
신문왕 새장가 들기 삼국사기 신라 신문왕본기 3년(683) 조에는 현직 왕이 왕비를 채납하는 기사가 희유하게 실렸으니, 이를 보면 다음과 같다. (봄 2월) 일길찬 김흠운(金欽運)의 작은딸을 맞아 부인으로 삼기로 하고, 그에 앞서 이찬 문영(文穎)과 파진찬 삼광(三光)을 보내 기일을 정하고, 대아찬 지상(智常)을 보내 납채(納采)하게 했으니, 예물로 보내는 비단이 15수레이고 쌀, 술, 기름, 꿀, 간장, 된장, 포, 젓갈이 1백3십5수레였으며, 벼가 1백5십 수레였다.5월 7일, 이찬 문영과 개원(愷元)을 김흠운 집에 보내 책봉하고는 부인(夫人)으로 삼았다. 그날 묘시에 파진찬 대상(大常)ㆍ손문(孫文), 아찬 좌야(坐耶)ㆍ길숙(吉叔) 등을 보내 각각 그들의 아내와 량(梁)과 사량(沙梁) 두 부(部) 여자 각 30명과 함께.. 2018. 3. 7.
흠돌(欽突) ☞김흠돌(金欽突) 2018. 3. 7.
김흠돌(金欽突) 삼국사기 권제6(신라본기 제6) 문무왕 : 원년(661) ...가을 7월 17일에 김유신을 대장군으로 삼고, 인문, 진주, 흠돌(欽突)을 대당(大幢) 장군으로, 천존, 죽지, 천품(天品)을 귀당(貴幢) 총관으로, 품일, 충상, 의복(義服)을 상주(上州) 총관으로, 진흠, 중신(衆臣), 자간을 하주(下州) 총관으로, 군관(軍官), 수세(藪世), 고순(高純)을 남천주 총관으로, 술실(述實), 달관(達官), 문영을 수약주 총관으로, 문훈(文訓), 진순(眞純)을 하서주 총관으로, 진복(眞福)을 서당(誓幢) 총관으로, 의광을 낭당(郎幢) 총관으로, 위지(慰知)를 계금(衿) 대감으로 삼았다. 8년(668) ...6월...21일에 대각간 김유신을 대당 대총관으로, 각간 김인문·흠순·천존·문충, 잡찬 진복, 파진찬 지.. 2018. 3. 7.
경목(景穆) 삼국유사 권제1 왕력 : 제35대 경덕왕(景德王)은 김씨다. 이름은 헌영(憲英)이다. 아버지는 성덕(聖德)이며 어머니는 소덕대후(炤德大后)이다. 선비(先妃)는 삼모부인(三毛夫人)인데 출궁(出宮)해 후사가 없었다. 후비(後妃) 만월부인(滿月夫人)은 휘가 경수왕후(景垂王后)인데 수(垂)는 목(穆)으로 쓰기도 한데, 의충(依忠) 각간(角干)의 딸이다. 임오년에 즉위해 23년간 다스렸다. 처음에 경지사(頃只寺) 서쪽 岑에 장사했으며 鍊石을 능으로 삼았다. 나중에 양장곡 안으로 이장했다. ☞만월(滿月) 2018. 3.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