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9394

정적을 뚫는 향기 한시, 계절의 노래(88) 주씨 전원(周氏园居) 송 미불(米芾) / 김영문 選譯評 높이 핀 꽃 치렁치렁마루 밝게 비추고 연못 물 찰랑찰랑섬돌 둘러 소리 내네 정적 속 향기 들으며권태에서 깨어나고 빗속에 일 없으니한가한 마음 보이네 高花落落照軒明, 沼水涓涓繞砌聲. 靜裏聞香醒倦思, 雨中無事見閒情. “분수처럼 흩어지는 푸른 종소리” 고등학교 때 이 구절을 두고 이미지즘의 공감각적 표현이라고 배웠다. “푸른”은 시각이고 “종소리”는 청각인데 그것이 엇섞여 인식된다는 것이다. 우리는 이 시 해설을 통해 이미지즘이니 모더니즘이니 하는 문학 용어를 들으며 매우 현대적인 느낌을 받았다. 하지만 공감각은 우리의 일상생활 속에 녹아 있는 매우 오래된 감각이다. “달콤한 목소리”, “쓴 소리”, “시린 하늘”을 상기해보라... 2018. 6. 27.
향불처럼 타오르는 향로봉 문수보살 보탑 한시, 계절의 노래(87) 향로봉(香爐峰) 송 황정견(黃庭堅) / 김영문 選譯評 쇠로 향로 만들지 않고바위로 구워내니 코로 향기 못 맡아도눈으로 연기 보이네 향로봉 위에 선문수사리 보탑이 한 가닥 향불처럼향로 속에서 타오르네 香爐不鑄石陶甄, 鼻不聞香眼見煙. 上有文殊師利塔, 好將一瓣此中燃. 한시(漢詩)는 당대(唐代)에 극성했다. 당을 대신한 송나라 시인들은 시를 지을 때마다 고심해야 했다. 이미 당나라 시인들이 거의 모든 표현을 선점한 까닭이다. 북송 황정견(黃庭堅)에서 비롯된 강서시파(江西詩派)는 아예 기존 시의 내용이나 표현을 모방하기 시작했다. 물론 그대로 베끼지는 않고 아니고 나름대로 새로운 시어로 포장했다. 이처럼 기존 시의 뜻은 그대로 빌려오면서 새로운 시어로 포장하는 일을 환골법(換骨法)이라 .. 2018. 6. 22.
굴절한 빛이 비춘 이끼 한시, 계절의 노래(86) 녹채(鹿柴) 당 왕유(王維) / 김영문 選譯評 텅 빈 산에사람 보이지 않고 두런두런목소리만 들려오네 반사된 햇볕깊은 숲에 들어 푸른 이끼 위를다시 비추네 空山不見人, 但聞人語響. 返景入深林, 復照靑苔上. 후세 사람들은 왕유를 시불(詩佛)이라 일컫는다. 그는 독실한 불교 신자인 어머니 영향을 깊이 받았다. 게다가 그의 이름 유(維)와 자(字) 마힐(摩詰)을 합하면 ‘유마힐(維摩詰)’이 된다. 유마힐은 석가모니와 같은 시대 재가불자(在家佛者)로 학덕이 높았다. 왕유는 이처럼 그의 삶과 연관된 불교 인연으로 시불이라 불릴까? 물론 무시할 수 없다. 하지만 시불이라는 그의 별칭은 불교의 이치를 생활화하고 그것을 시로 형상화하는데 뛰어났기 때문에 붙여졌다고 봐야 한다. 그의 시에 자주 .. 2018. 6. 22.
물 빠진 수초는 어이할꼬 한시, 계절의 노래(85) 잡시 절구 17수(雜詩絕句十七首) 중 둘째 [宋] 매요신(梅堯臣·1002~1060) / 김영문 選譯評 푸른 풀이물 속에서 싹이 터 날마다물 따라 자라네 물 빠지면어디에 기대랴 헝클어져죽은 풀 되겠네 靑草生水中, 日日隨水長. 水落何所依, 撩亂爲宿莽. 매요신은 구양수·소순흠과 함께 송시의 이지적 특징을 정착시킨 시인이다. 송시의 이지적 특징은 시인들이 현실 속 자잘한 사물을 시적으로 형상화하면서 거기에 깊은 의미를 담아내는 경향을 가리킨다. 당시(唐詩)의 광대하면서도 허황하며 비애롭기까지 한 경향과 분명하게 대조된다. 이는 일상 속 사물을 깊이 사유하고 분석하여 진리를 발견하려는 ‘격물치지(格物致知)’ 자세와 상통하는 경향이다. 송나라 초기부터 성리학적 탐색이 지식인 사회의 주류를.. 2018. 6. 22.
비 오는 산중 한시, 계절의 노래(84) 무제(無題) 송(宋) 방저(方翥) / 김영문 選譯評 어둑한 비자욱이 내려 산속 오월날씨 차갑네 큰 강은 전혀깨닫지 못하고 계곡물만 불어여울 세차네 暗雨落漫漫, 山中五月寒. 大江渾不覺, 溪壑有驚湍. 비 오는 날에는 마음이 가라앉는다. 저기압의 작용으로 마음도 저기압이 되는 걸까? 최백호의 노래가 제격이다. “궂은 비 내리는 날/ 그야말로 옛날 식 다방에 앉아/ 도라지 위스키 한 잔에다/ 짙은 색소폰 소리를 들어보렴” 둘다섯의 노래는 더욱 애잔하다. “빗소리 들리면 떠오르는 모습/ 달처럼 탐스런 하얀 얼굴/ 우연히 만났다 말없이 가버린/ 긴머리 소녀야” 설익은 꿈과 사랑은 세월의 물결 속으로 가뭇없이 사라졌다. 박인환은 “인생은 외롭지도 않고/ 그저 잡지의 표지처럼 통속하거늘/ 한.. 2018. 6. 20.
옥문관을 넘지 못하는 봄바람 한시, 계절의 노래(83) 양주사(凉州詞) [唐] 왕지환(王之涣) / 김영문 選譯評 황하는 저 멀리흰 구름 사이로 오르고 한 조각 외로운 성만 길 산에 우뚝 섰네 오랑캐 피리 하필이면「버들 노래」로 슬퍼하나 봄바람은 옥문관을넘지도 못하는데 黃河遠上白雲間, 一片孤城萬仞山. 羌笛何須怨楊柳, 春風不度玉門關. 당시(唐詩) 중에서 변방의 애환, 고통, 고독, 용기, 기상 등을 읊은 시를 변새시(邊塞詩)라고 한다. 왕지환(王之渙), 왕창령(王昌齡), 고적(高適), 잠참(岑參) 등이 이 시파에 속한다. 이 시를 읽으면 우선 첫 구절에서 특이한 느낌을 받게 된다. “황하가 저 멀리 흰 구름 사이로 올라간다”는 표현이 그것이다. 이는 우리에게 잘 알려진 이백의 「장진주(將進酒)」 첫 구절과 방향이 정 반대다. “그대는 .. 2018. 6. 20.
배 타고 떠나는 그대 전송하노니 한시, 계절의 노래(82) 이별 네 수(别人四首) 중 둘째 [唐] 왕발(王勃) / 김영문 選譯評 강 위에 바람과안개 쌓이고 산 계곡 깊은 곳운무 짙어라 남포 밖에서그대 보내니 돌아본들 장차어찌 하리요 江上風煙積, 山幽雲霧多. 送君南浦外, 還望將如何. ‘송군남포(送君南浦)’는 너무나 익숙한 구절이다. 한 때 고등학교 교과서에 고려 정지상(鄭知常)의 「그대를 보내며(送人)」(「대동강(大同江)」)란 시가 실려 있었던 까닭이다. “비 갠 언덕 위 풀빛 푸른데/ 남포로 임 보내는 구슬픈 노래/ 대동강 물이야 언제 마르리/ 해마다 이별의 눈물 보태는 것을(雨歇長堤草色多, 送君南浦動悲歌, 大同江水何時盡, 別淚年年添綠波.)” 정지상의 이 시는 이별을 노래한 절창이고 번역도 훌륭하지만 ‘송군남포(送君南浦)’ 번역을 두고.. 2018. 6. 20.
여름의 정령 나리 봄을 장식한 만화萬花가 스러진 자리엔 몇 가지 여름꽃이 드문드문 피어난다. 나리는 지금이 제철이라 봉오리 피둥피둥 살이 찌는가 싶더니 마침내 산화散花한다. 나리 역시 지리라. 보낼 때 보내더라도 있는 동안만큼은 콱 부둥켜 안으련다. 2018. 6. 20.
멱라수 던진 굴월을 추억하며 한시, 계절의 노래(81) 단오(端午) [唐] 문수(文秀) / 김영문 選譯評 단오 명절 이야기뉘에게서 시작됐나 오랜 세월 전해오길굴원 위한 날이라네 부질없이 넓고 넓은초나라 강물 우스워라 곧은 신하 원혼을씻어주지도 못하는 걸 節分端午自誰言, 萬古傳聞爲屈原. 堪笑楚江空渺渺, 不能洗得直臣冤. 음력 5월 5일은 단오절이다. 달과 날에 양수(陽數)인 5자가 겹치므로 양기(陽氣)가 충만하다고 여겨 각종 벽사(辟邪) 의식이 행해졌다. 어린 시절 기억을 더듬어보면 단오날 창포 잎이나 궁궁이 잎을 옷에 꽂고 다녔다. 두 식물 모두 향기가 짙어 나쁜 기운을 물리친다고 했다. 또 동네 큰 나무에 군디(그네)를 매고 뛰었다. 중국에서는 벽사 의식에다 전국시대 초나라 충신 굴원을 애도하는 행사가 함께 열린다. 굴원이 억울하게.. 2018. 6. 19.
옛사람 보지 못하고 뒷사람도 볼 수 없네 한시, 계절의 노래(80) 유주대에 올라 노래하다(登幽州臺歌) 당 진자앙(陳子昂) / 김영문 選譯評 앞으로는 옛 사람보지 못하고 뒤로는 오는 사람보지 못하네 천지의 아득함을생각하다가 나 홀로 슬프게눈물 흘리네 前不見古人, 後不見來者. 念天地之悠悠, 獨愴然而涕下. 오언절구는 대개 2.3으로 나눠지는 2음보 구절을 이룬다. 예컨대 “國破/山河在, 城春/草木深”과 같은 구조가 그것이다. 그런데 이 시는 3음보로 읽힌다. “前/不見/古人, 後/不見/來者” 그리고 셋째 구와 넷째 구는 초사체(楚辭體)임이 분명하다. 이런 점에 근거해볼 때 이 시는 절구가 아니라 초사체의 가장 축약된 형식임을 알 수 있다. 초사는 전국시대 초나라 굴원(屈原)이 직간을 하다 추방된 후, 초나라 민요 형식을 확장하여, 자신의 억울하고 .. 2018. 6. 17.
강물은 북쪽으로 흐르는데 나는 남쪽으로 유배길 한시, 계절의 노래(79) 상강을 건너며(渡湘江) 당(唐) 두심언(杜審言) / 김영문 選譯評 해 긴 날 동산 숲에서옛 놀던 때 슬퍼하니 올 봄 꽃과 새는변방 시름 일으키네 도성에서 남쪽 유배홀로 가련한 사람 되어 상강처럼 북쪽으로흘러가지 못하네 遲日園林悲昔遊, 今春花鳥作邊愁. 獨憐京國人南竄, 不似湘江水北流. 이 시를 읽고 시성(詩聖) 두보(杜甫)의 대표작 「춘망(春望)」이나 「절구 2수(絶句二首)」를 떠올렸다면 이미 한시에 조예가 깊은 사람이다. 두보는 「절구 첫째 수」에서 “해 긴 날 강산은 아름다워라(遲日江山麗)”라 읊었고, 「절구 둘째 수」에서 “올 봄도 어느덧 또 지나가나니(今春看又過)”라고 읊었다. 두 구절이 이 시를 의식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더 중요한 것은 둘째 .. 2018. 6. 17.
동파가 바라본 여산 한시, 계절의 노래(77) 서림의 벽에 쓰다[題西林壁] 송(宋) 소식(蘇軾) / 김영문 選譯評 가로 보면 고개 되나옆으로 보면 봉우리 원근 고저가각각 다른 모습이네 여산 진면목을알 수 없는 까닭은 이 몸이 이 산에머물기 때문이네 橫看成嶺側成峰, 遠近高低各不同. 不識廬山眞面目, 只緣身在此山中. 앞에서 읽은 이백의 「여산폭포를 바라보며(望廬山瀑布)」와 곧잘 비교되는 시다. 소식은 시(詩)·사(詞)·서(書)·화(畵)·악(樂)에 모두 뛰어났으며, 유(儒)·불(佛)·도(道)에 능통했다. 도달한 경지가 하도 광대하고 호방하여 이백도 소식을 스승님이라고 불러야 할 정도다. 이 시는 한 마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여산의 아름다움을 꾸밈없이 묘사한 작품으로 유명하다. “휘날리는 물살이 삼천 척 내리 꽂힌다”는 이백의 시.. 2018. 6. 16.
절치부심하며 권토중래를 꿈꾸노라 한시, 계절의 노래(78) 오강정에 쓰다[題烏江亭] 당(唐) 두목(杜牧) / 김영문 選譯評 병가의 승패는기약할 수 없나니 수치를 참아내야장부라 할 수 있네 강동 땅 자제 중엔인재가 많으므로 권토중래 할 날 있을지아직은 몰랐다네 勝敗兵家事不期, 包羞忍恥是男兒. 江東子弟多才俊, 卷土重來未可知. 한시를 분류할 때 특히 역사를 소재로 읊은 시를 영사시(詠史詩)라고 한다. 이미 한나라 역사학자 반고(班固)와 진(晉)나라 시인 좌사(左思)가 뛰어난 영사시를 남겼고, 시의 왕국으로 불리는 당나라의 호증(胡曾)도 칠언절구 영사시 150수를 지어 이 부문의 대가로 일컬어졌다. 이 시의 작자 두목도 훌륭한 영사시를 적지 않게 남겼다. 우리에게 초·한(楚·漢) 고사의 주인공으로 잘 알려져 있는 항우(項羽) 이야기는 역대 역.. 2018. 6. 16.
노니는 물고기 물끄러미 바라보노라니 한시, 계절의 노래(76) 창랑에서 물고기를 구경하다[滄浪觀魚] 송(宋) 소순흠(蘇舜欽) / 김영문 選譯評 찰랑찰랑 맑은 물결에노는 물고기 보이는데 떴다 잠겼다 뒤쫓으며깜찍하게 어울리네 안타깝다 이 내 몸은물고기처럼 못 즐기고 세상에서 반 평생헛된 짓이나 하고 있네 瑟瑟淸波見戱鱗, 浮沈追逐巧相親. 我嗟不及群魚樂, 虛作人間半世人. KTX가 생기기 전까지는 대구에서 서울까지 3~4시간 걸렸다. 이제 KTX를 이용하면 1시간 50분 정도 소요된다. 이전에 비해 평균 두 시간 정도 여유가 생긴 셈이다. 그런데 두 시간의 여유는 어디로 갔는가? 이젠 기차 안에서 한가롭게 맥주 한 잔 즐길 여유조차 없다. 옛날에도 바쁜 일상이나 번잡한 공무에 지친 사람들은 늘 귀거래(歸去來)를 꿈꾸곤 했다. 그렇게 할 수 없을 때.. 2018. 6. 16.
무양서원이 품은 사람들 아래는 광주 광산구 주최· 재단법인 고대문화재연구원 주관 '2017년 향교 서원 문화재활용사업 온고지신(溫故知新), 무양' 중 〈선비에게 '길을 묻다'〉의 두번째 강연록 '무양서원의 배향인물-최사전, 최부, 유희춘, 최윤덕, 나덕헌'(강연날짜 2017. 8. 17) 원고다. 무양서원이 품은 사람들 김태식 연합뉴스 기자 1. 무양서원의 이례(異例) 이곳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계동에 자리한 무양서원(武陽書院)은 여로 모로 한국문화사에서 독특한 위상을 지닌다. 1984년 2월 29일에는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호로 지정된 이곳은 그 태동이 100년이 채 되지 않은 신생이다. 그 태동 시점은 일제강점기인 1927년이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창간이 1920년이고, 내 선친이 1921년생이시니, 무양서원은 두 신문.. 2018. 6. 16.
신검(神劒) 후백제 마지막 왕. 창업주인 아버지 견훤을 폐위 유폐하고는 즉위해 나라를 다스렸지만, 고려에 패해 포로가 되고 나라가 없어졌다. 삼국사기 열전 : 삼국유사 권2 기이(紀異) 제2 후백제(後百濟) 견훤(甄萱) : 또 에는 이렇게 말했다. 옛날에 부자 한 사람이 있어 모양이 몹시 단정했다. 딸이 아버지께 말하기를 "밤마다 자줏빛 옷을 입은 남자가 침실에 와서 관계하곤 갑니다"라고 하자 아버지는 "너는 긴 실을 바늘에 꿰어 그 남자 옷에 꽂아 두어라"라고 하니 그 말대로 했다. 날이 밝아 그 실이 간 곳을 찾아보니 북쪽 담 밑에 있는 큰 지렁이 허리에 꽂혀 있다. 이때부터 태기가 있어 사내아이를 낳으니 나이 15세가 되자 스스로 견훤(甄萱)이라 일컬었다. 경복(景福) 원년(元年) 임자(壬子.892)에 이르러 .. 2018. 6. 14.
미륵선화(彌勒仙花) 신라 화랑 국선의 시초인 설원랑(설화랑)을 일컫는 존칭. 삼국유사 제3권 탑상(塔像) 제4 미륵선화(彌勒仙花)·미시랑(未尸郎)·진자사(眞慈師) : 신라 제24대 진흥왕(眞興王)은 성이 김씨요 이름은 삼맥종(彡麥宗)이니, 심맥종(深麥宗)이라고도 한다. 양(梁) 대동(大同) 6년 경신(庚申·540)에 즉위했다. 백부(伯父)인 법흥왕(法興王) 뜻을 사모해 한 마음으로 부처를 받들어 널리 절을 세우고, 또 많은 사람에게 중이 되기를 허락했다. 왕은 또 천성이 풍미(風味)가 있어 크게 신선을 숭상하여 민가 처녀로 아름다운 이를 뽑아 원화(原花)를 삼았으니, 이는 무리를 모아 사람을 뽑고 그들에게 효제(孝悌)와 충신(忠信)을 가르치려 함이었으니, 이는 또한 나라를 다스리는 대요(大要)이기도 했다. 이에 남모랑(南毛.. 2018. 6. 14.
백족화상(白足和尙) 해동고승전 권 제1 2018. 6. 14.
모록(毛祿) 신라 눌지왕 때 일선군(一善郡) 백성으로, 고구려에서 온 불교 승려 묵호자(墨胡子)를 자기 집에 받아들여 포교토록 한 인물. 곳에 따라 모례(毛禮)라 표기한 데도 있다. 그의 성별은 전연 알려지지 않은 가운데 보통 남자로 간주되지만, 여성으로 보인다. 삼국유사 권 제3 흥법(興法) 제3 아도기라(阿道基羅) : 또 21대 비처왕(毗處王) 때에 이르러 아도화상(我道和尙)이 시자(侍者) 세 사람을 데리고 역시 모례(毛禮)의 집에 왔는데 모습이 묵호자와 비슷했다. 그는 여기에서 몇 해를 살다가 아무 병도 없이 죽었고, 그 시자 세 사람은 머물러 살면서 경(經)과 율(律)을 강독하니 간혹 믿는 사람이 생겼다(주에 말하기를 "본비와 모든 전기와는 사실이 다르다"고 했다. 또 《고승전(高僧傳)》에는 서천축 사람이라고.. 2018. 6. 14.
칠부(漆夫) 해동고승 권1☞ 거칠부(居柒夫) 2018. 6. 14.
개국(開國)과 건복(建福), 진흥왕과 진평왕의 나이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등을 보면, 삼국 각왕이 정확히 언제 태어났는지를 알려주는 대목을 발견하기가 여간 어렵지 않으니, 이는 생일(生日)의 탄생과 밀접한 데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지금은 누구나 기념하는 생일이 삼국시대 당시에는 의미가 없거나, 거의 없었으니, 개인 일생에서 중요한 것은 어느 해 어느 날에 태어났느냐가 아니라, 어느 해 어느 달 며칠에 죽었느냐가 더욱 중요했으니, 이는 바로 기일(忌日) 때문이었다. 생일을 기념하지 않았으되, 제삿날을 그냥 넘기지 않았다. 무령왕릉 묘권(墓卷)을 봐도, 무령왕이 죽을 때 62세였다는 사실만 적기했을 뿐, 정확히 몇월 며칠 몇시에 태어났는지는 알 수가 없다. 반면, 죽은 시점은 정확히 기록했으니, 이 역시 기제사 때문이었다. 사정이 이러했으니, 중국사.. 2018. 6.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