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9394 꽃봄 다 갔다 하지 말라 한시, 계절의 노래(68) 채련곡(采蓮曲) 당(唐) 하지장(賀知章) / 김영문 選譯評 회계산 안개 걷혀우뚝 솟았고 경수엔 바람 없어도저절로 물결 봄이 가서 화사한 꽃다 졌다 말라 따로이 물 속에서연꽃 따나니 稽山罷霧鬱嵯峨, 鏡水無風也自波. 莫言春度芳菲盡, 別有中流采芰荷. 회계산(會稽山)과 경수(鏡水)는 모두 지명이다. 지금의 중국 저장성(浙江省) 샤오싱시(紹興市)에 있다. 경수는 현재 젠후(鑑湖: 감호)로 불린다. 하지장은 두보의 「음중팔선가(飮中八仙歌)」 첫머리에 등장한다. “하지장이 말을 타면 배를 탄 듯한 데, 어질어질 우물에 떨어져 물 속에서 잠을 잔다(知章騎馬似乘船, 眼花落井水底眠)”는 대목이 그것이다. 그는 무측천(武則天) 때 장원급제한 천재였고 구속 없는 미치광이 행동으로 한 세상을 풍미했다.. 2018. 6. 9. 동심초로 맺은 사랑 한시, 계절의 노래(67) 춘망사 네 수(春望詞四首) 중 셋째 당(唐) 설도(薛濤) / 김영문 選譯評 꽃잎에 바람 불어늙어가는데 아름다운 기약은아득하여라 님과 나 한 맘으로맺지 못하고 하릴없이 동심초만맺고 말았네 風花日將老, 佳期猶渺渺. 不結同心人, 空結同心草. 설도는 조선의 황진이에 비견할 만한 당나라 여류 시인이다. 그는 대략 768년에 태어나 중당 시기에 활동했고, 황진이는 조선 중종(재위, 1506~1544) 때 사람이므로 거의 800년에 가까운 시차가 있다. 설도와 황진이 모두 기녀였으며 시서(詩書)와 가악(歌樂)에 능했다. 이 시는 우리에게 ‘동심초’로 널리 알려진 작품이다. 아름다운 원작에다 뛰어난 번역이 더해졌을 뿐 아니라 애잔한 곡조까지 보태져 지금도 여전히 많은 사람의 사랑을 받는다. .. 2018. 6. 8. 여도사가 노래하는 별리의 고통 한시, 계절의 노래(66) 밝은 달밤의 이별(明月夜留別) 당(唐) 이야(李冶) / 김영문 選譯評 떠나는 님 말이 없고달님은 소리 없지만 밝은 달님 빛이 있듯사람에겐 정이 있지요 이별 후 그리움은달빛과 같은지라 구름 사이나 강물 위곤륜산까지 가 닿아요 離人無語月無聲, 明月有光人有情. 別後相思人似月, 雲間水上到層城. 당나라 여류시인 중에서는 설도(薛濤)가 우리에게 가장 많이 알려졌지만 그보다 한 세대 정도 앞서 명성을 드날렸던 이가 있다. 바로 이야다. 곱고 섬세한 시를 남겼다. 이야는 중당 초기 여도사(女道士)다. 그는 유명 문인들과 교류하며 문명을 떨쳤다. 특히 그 시절 문단의 거장 유장경(劉長卿), 시승 교연(皎然) 등과 깊은 교분을 나누며 많은 일화를 남겼다. 당시 문단의 프리마돈나인 셈이다. 이 시.. 2018. 6. 8. 기와, 굽는 사람과 머리에 인 사람 한시, 계절의 노래(65) 도공(陶者) 송(宋) 매요신(梅堯臣) / 김영문 選譯評 문앞 흙이 다 닳도록기와 구워도 지붕 위엔 한 조각기와도 없네 열 손가락에 진흙을안 묻힌 이는 번쩍번쩍 큰 기와집에살고 있다네 陶盡門前土, 屋上無片瓦. 十指不沾泥, 鱗鱗居大廈. 한시를 좋아하는 독자들이 이 시를 읽으면 금방 우리나라 허난설헌(許蘭雪軒)의 「빈녀음(貧女吟)」을 떠올리시리라. 금 가위를 들고 다른 사람 혼례복을 만들지만 자신은 해마다 독수공방만 하고 있다는 그 시 말이다. 우리는 한시를 읽으며 흔히 인간과 자연의 심미적 조화에 깊은 인상을 받는다. 그러나 한시 전통을 살펴보면 고통 받는 약자에 대한 묘사도 매우 유구한 연원이 있다. 시나 노래가 개인 감정의 발산에서 시작됐는지, 백성의 노동에서 시작됐는지는 판단.. 2018. 6. 7. 초여름엔... 한시, 계절의 노래(64) 초여름(初夏) 송(宋) 주숙진(朱淑眞) / 김영문 選譯評 맑은 대 그늘 흔들리며그윽한 창 내리 덮고, 쌍쌍이 노는 철새석양에 지저귀네 해당화도 다 지고버들 솜도 잦아든 때 노곤한 날씨에해는 처음 길어지네 竹搖淸影罩幽窗, 兩兩時禽噪夕陽. 謝却海棠飛盡絮, 困人天氣日初長. 초여름은 아직 봄 여운이 완전히 가시지 않은 계절이다. 화사한 봄꽃이 진 자리에는 초록빛 신록이 점차 푸르름을 더해간다. 아직 더위와 장마가 오지 않아 밤에는 다소 한기까지 느껴진다. 이 계절 저녁이면 새로 모낸 논에 개구리 울음이 지천이고, 앞산 뒷산에 소쩍새 울음 또한 온 산천을 가득 채운다. 아직은 천둥 번개도, 폭우도 잦지 않아 저녁 적막이 사람 심신을 정갈하게 다독여준다. 자연의 기틀에 귀 기울이기 좋은 .. 2018. 6. 7. 동자가 말하기를 스승님은 약초캐려 가셨다고 하네 아미산에 올랐다. 이태백이 이 산을 오르면서 떠오르는 상념을 노래한 명편이 있다. 태백 특유의 뻥이 아닐까 싶었지만, 막상 올라보니, 천하의 이 뻥쟁이도 아미산을 제대로 노래하지 못했구나 하는 생각 절로 했다. 해발에 따라 수시로 풍광이 바뀌었으니, 같은 해발 같은 장소라 해도, 창창한 하늘이 펼쳐지는가 싶더니 돌아서면 다시 짙은 연무였다.(김태식) 한시, 계절의 노래(63) 은자를 찾아갔다가 만나지 못하다(尋隱者不遇) 당(唐) 가도(賈島) / 김영문 選譯評 소나무 아래에서동자에게 물으니 스승님은 약초 캐러가셨다 하네 이 산 속에계실 터이나 구름 깊어 계신 곳모른다 하네 松下問童子, 言師采藥去. 只在此山中, 雲深不知處. 이보다 더 쉬운 한자로 쓴 한시가 있을까? 모든 명시가 그런 것처럼 이 시도 평범하기.. 2018. 6. 6. 볏잎 구르는 빗방울 이맘쯤 비가 내리면 아버지는 삽자루 들고는 갓빠 같은 우의 걸치고 논으로 행차했으니, 물을 보고는 물꼬를 텄고 도랑을 팠으니, 물이 넘쳐 나락을 망칠까 해서였다. 그땐 이렇다 할 의미가 없는 장면이었으나, 갈수록 그 장면이 오버랩한다.(김태식) 한시, 계절의 노래(62) 저물녘 논밭 사이를 거닐며 두 수(暮行田間二首) 중 첫째 송(宋) 양만리(楊萬里) / 김영문 選譯評 뻐꾸기 울음 속에해님 발길 거둘 때 지팡이가 나를 불러서쪽 논둑 가보게 하네 진주 이슬 푸른 벼 잎에도르르 구르다가 잎 끝까지 가지 않고머물러 쉬려 하네 布穀聲中日脚收, 瘦藤叫我看西疇. 露珠走上靑秧葉, 不到梢頭便肯休. 뻐꾸기를 중국에서는 ‘布穀(포곡·bugu뿌꾸)’라고 한다. 우리와 같은 소리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각수(日脚.. 2018. 6. 6. 신라를 침투한 상앙(商鞅)과 상군서(商君書) 나는 이런저런 곳에 문득문득 생각한 바를 글로써 싸지르는 스타일이라, 어찌하다가 페이스북에서 '상군서'로 검색어를 넣으니, 회원제로 운영하는 그 그룹 중 하나인 '문헌과문물(文獻與文物)' 2012년 2월 6일자에 올린 다음과 같은 내 포스팅이 걸린다. 《위조 방지 禁令과 울진 봉평신라비》 상군서(商君書)권 제5 정분(定分)에 이르기를 有敢剟定法令,損益一字以上,罪死不赦。 감히 법령을 삭제하거나 한 글자 이상을 빼거나 보태는 일이 있으면 사형에 처하고 사면하지 말아야 한다 고 하고, 같은 편에서 及入禁室視禁法令,及剟禁一字以上,罪皆死不赦。 (만약 법령집을 보관하는) 금실에 들어가 금지된 명령을 살펴보거나 한 글자 이상을 더하거나 빼거나 하는 자는 모두 사형에 처하고 사면하지 말아야 한다 고 했다. 이 정신이 .. 2018. 6. 6. 합격은 다 좋아, 째지는 기분 한시, 계절의 노래(61) 과거 급제 후(登科後) 당(唐) 맹교(孟郊) / 김영문 選譯評 지난날 비루한 삶내세울 게 없었는데 오늘 아침 팔자 펴서생각 또한 거침 없네 봄바람속 득의만만말발굽 치달리며 장안 모든 꽃을하루만에 다 보았네. 昔日齷齪不足誇, 今朝放蕩思無涯. 春風得意馬蹄疾, 一日看盡長安花. 중국 송(宋)나라 문호 소식(蘇軾)은 중당(中唐) 시인 맹교와 가도(賈島)의 시를 평하여 “맹교는 춥고 가도는 야위었다(郊寒島瘦)”라고 했다. 두 시인 모두 고통스러울 정도로 시어를 깎고 다듬는 것으로 유명했고, 처지 또한 불우했다. 하지만 이 시를 읽어보면 전혀 그런 느낌이 들지 않는다. 과거에 급제하여 기뻐 날뛰는 모습이 날 것 그대로 드러나 있다. 하긴 후세에 시성(詩聖)이라 불린 두보도 끝내 과거에 급제.. 2018. 6. 5. 한밤중까지 계속하는 도리깨질 한시, 계절의 노래(60) 농가(農家) 송(宋) 오림(吳琳) / 김영문 選譯評 들판에 불 피우고보리타작 하는 밭에 고개 드니 북두성 돌고달님 낮게 드리웠네 옛날부터 농촌 살이즐겁다고 말하지만 한 밤중에 잠 못 잘 줄그 누가 알겠는가 野火相連打麥田, 仰看斗轉月低弦. 古來但說農家樂, 夜半誰知未得眠. 옛날에는 망종(芒種) 무렵에 보리를 벴다. 베어낸 보리는 작은 단으로 묶어 지게를 이용해 인근 빈터나 자기 집 마당으로 져날랐다. 거기에 보리를 둥그렇게 차곡차곡 쟁여 쌓아 작은 탑 모양 가리를 만들었다. 어느 정도 기간이 지나 보리가 잘 마르면 타작을 했다. 도리깨를 이용하다가 점차 기계 타작으로 바뀌었다. 도리깨는 손잡이 장대 부분과 장대 끝에 꼭지로 연결한 도리깨 열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도리깨질이 .. 2018. 6. 5. Gyeongju 2018. 6. 4. 비갠 후 새들의 오케스트라 한시, 계절의 노래(59) 관음사에 묵다 절구 세 수(宿觀音寺三絕) 중 둘째 송(宋) 이지의(李之儀) / 김영문 選譯評 비 갠 틈에 까막까치시끄럽게 울어대고 지빠귀 새 노래에제비 날개 가볍네 꼬꼬 우는 자고새는뻐꾸기를 재촉하고 소쩍소쩍 소쩍새는꾀꼬리를 부르네 烏啼鵲噪趁初晴, 百舌新調燕羽輕. 滑滑竹雞催布穀, 聲聲鶗鴂喚流鶯. 한시에도 새 소리가 나올까? 물론이다. 중국 문학의 비조로 알려진 《시경》을 펼치면 첫머리에서부터 새 소리가 나온다. 「관저(關雎)」 편 “관관저구(關關雎鳩), 재하지주(在河之洲)”의 “관관(關關)”이 바로 “저구(雎鳩)” 새의 울음소리다. “저구” 새가 무슨 새인지는 다소 논란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대개 물수리로 번역하지만, “꽌꽌”하고 우는 울음소리에 비춰보면 가마우지(Phalac.. 2018. 6. 4. 술은 술로 풀어야 한시, 계절의 노래(57) 끄적이다(戱題) 당(唐) 맹호연(孟浩然) / 김영문 選譯評 나그네 취해 자다못 일어나니 주인이 해장하자불러 깨우네 닭개장과 기장 밥익었다 하고 술동이엔 맑은 술있다고 하네 客醉眠未起, 主人呼解酲. 已言雞黍熟, 復道甕頭淸. 함께 술을 마시며 속 깊은 이야기를 주고받는 벗이 있다면 당신은 성공한 삶을 살고 있다. 우리는 술자리에서조차 자신의 본 모습을 숨기고 위선과 가식으로 일관하기 일쑤다. 하지만 술은 위대한 마력으로 인간의 위선과 가식을 벗겨 버린다. 코가 비틀어지도록 함께 술을 마셔봐야 그 사람의 본 모습을 알 수 있다. 서로의 눈물을 닦아주고 서로의 등을 두드려주며 우정은 깊어간다. 함께 술에 취해 잠을 자다가 아침에 해장국을 끓여놓고 잠을 깨우는 벗이 있다면 당신은 더 없.. 2018. 6. 3. 하늘하늘 피어오르는 침향 한시, 계절의 노래(58) 귀공자의 한밤중 노래(貴公子夜闌曲) 당(唐) 이하(李賀) / 김영문 選譯評 하늘하늘 침향 연기피어오르고 까마귀 울어대는한밤중이네 굽은 못엔 연꽃이물결 이루고 허리에 찬 백옥 띠는차가워지네裊裊沉水煙, 烏啼夜闌景. 曲沼芙蓉波, 腰圍白玉冷. 중국 당나라 시인 이하를 흔히 시귀(詩鬼)라 부른다. 이백을 시선(詩仙), 두보를 시성(詩聖), 왕유를 시불(詩佛)이라 부르는 것에 비교해보면 매우 그로테스크한 별명이다. 시를 귀신같이 잘 써서 그렇게 불렀을까? 그런 면도 없지는 않지만 그의 시가 드러내는 귀기(鬼氣) 때문에 그런 호칭이 붙었다고 보는 편이 더 정확하리라. 그의 시 대부분이 위의 시와 같은 귀기에 둘러싸여 있다. 불우하게 살다가 27세에 요절한 이하는 어쩌면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2018. 6. 3. 대숲이 머금은 절대고독 한시, 계절의 노래(56) 죽리관竹裏館 [당唐] 왕유王維 / 김영문 選譯評 그윽한 대 숲에나 홀로 앉아 거문고 타다가또 긴 휘파람 숲 깊어 다른 사람알지 못하고 밝은 달 다가와비춰주누나 獨坐幽篁裏, 彈琴復長嘯. 深林人不知, 明月來相照. 근대는 빛과 함께 왔다. 모든 빛(文明)은 어둠과 야만을 적대시한다. 우리는 밤을 몰아낸 찬란한 빛 속에서 산다. 그윽하고[幽] 깊은[深] 대숲[竹林]은 사라진지 오래다. 죽림에 숨어 살던 현인들도 이제는 만날 수 없다. 혼자 태어나 혼자 죽으며 하나의 생명만으로 살아가는 인간은 절대적으로 고독한 존재다. 현대인은 자신의 고독을 보듬기 위해 산으로 강으로 몰려 가지만 이제 우리 산천 어디에도 고독을 음미할 장소는 없다. 산도 강도 욕망에 굶주린 암수 군상들의 시끄러운 캬바.. 2018. 6. 3. 외진 모래톱에서 춤추는 고니 한시, 계절의 노래(55) 절구 여섯 수(絕句六首) 중 첫째 당(唐) 두보 / 김영문 選譯評 태양은 사립 동쪽강에서 뜨고 구름은 집 북쪽뻘에서 이네 대나무 높이 자라비취새 울고 모래톱 외지니고니 춤추네 日出籬東水, 雲生舍北泥. 竹高鳴翡翠, 沙僻舞鵾雞. 한시에서 시인의 주관적인 감정을 자연 속 사물에 의탁하는 방법을 흥(興)이라고 한다. 자연을 통해 마음 속 감정을 불러일으킨다는 뜻이다. 『시경』에 수록한 시에서 매우 빈번하게 쓰이기 시작한 수법이다. 그것은 은유일 수도 있고 상징일 수도 있지만 독자는 시인의 본래 의도를 명확하게 알 수 없다. 말하자면 시인의 주관과 독자의 주관이 자연이라는 객체를 매개로 무한한 상상 속에서 만나는 셈이다. 이와는 달리 묘사 대상을 직접 객관적으로 펼쳐서 써내는 방법은 부.. 2018. 6. 3. 지는 꽃 애달파 한시, 계절의 노래(54) 모란꽃을 아끼며 두 수[惜牡丹花二首] 중 둘째 [당(唐)] 백거이(白居易) / 김영문 選譯評 적막 속에 시든 붉은 꽃비를 향해 쓰러지니 고운 모습 헝클어져바람 따라 흩어지네 맑은 날 땅에 져도오히려 애달픈데 하물며 진흙 속에흩날리는 꽃잎이야 寂寞萎紅低向雨, 離披破豔散隨風. 晴明落地猶惆悵, 何况飄零泥土中. 신라 설총의 「화왕계(花王戒)」에 등장하는 꽃의 왕이 바로 모란이다. 같은 시기 당나라에서도 모란을 재배하고 감상하는 붐이 일어나 모란이 만발하면 도성 장안 전체가 미친 열기에 휩싸였다고 한다. 대체로 중국 남북조시대에 본격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한 모란은 수·당(隋·唐)시대에 모란 신드롬이라 불러도 줗을 만큼 애호의 절정에 달했다. 이후 열기가 잦아들기는 했지만 청나라 말기에 이.. 2018. 6. 3. 벼는 새파란데 세곡 창고는 수리 중 한시, 계절의 노래(53) 농가 두 수(田家二首) 중 첫째 당(唐) 섭이중(聶夷中) / 김영문 選譯評 아버지는 들판밭 갈고 아들은 산 아래황무지 개간하네 유월이라 아직벼도 패지 않았는데 관가에선 벌써창고 수리하네父耕原上田, 子斸山下荒. 六月禾未秀, 官家已修倉. 예나 지금이나 국가는 막대한 세금을 거둔다. 국민의 피와 땀이 서린 돈이므로 이를 흔히 혈세(血稅)라 한다. 혈세는 나라의 주인인 국민이 낸 공금이다. 그걸 국민을 위해 사용하지 않고 사사롭게 유용하는 자를 세금 도둑이라 한다. 혈세를 제 마음대로 쓰므로 피를 빨아먹는 흡혈귀나 드라큐라라 불러도 무방하다. 일도 하지 않고 혈세를 꼬박꼬박 받아 챙기는 자들, 혈세를 눈먼 돈이라 여기고 착복하는 자들은 모두 역적 패거리에 다름 아니다. 국민의 피를 빨.. 2018. 6. 1. 수레바퀴가 짓뭉갠 화초 한시, 계절의 노래(51) 산중 절구 다섯 수[山中五絶句] 중 돌이끼[石上苔] [당唐] 백거이白居易 / 김영문 選譯評 빼곡빼곡 얼룩얼룩돌 위의 이끼는 그윽한 향기 초록빛으로속세 티끌 끊었네 길가의 화초는찬란한 꽃 피우지만 화려한 수레 다가오면바퀴에 깔리네 漠漠斑斑石上苔, 幽芳靜綠絶纖埃. 路傍凡草榮遭遇, 曾得七香車輾來. 햇볕 들지 않는 곳에도 생명은 자란다. 그곳에도 작은 생명이 이룬 짙푸른 세상이 있다. 보이지 않는다 해서 없는 세상이 아니며, 들리지 않는다 해서 존재하지 않는 천지가 아니다. 저렇듯 낮은 곳 생명도 물과 공기를 정화하며 온 우주를 풍요롭게 한다. 뉘라서 어둡고 낮은 우주를 비웃는가? 삼척 이끼 계곡에 가본 적이 있다. 계곡 가득 뒤덮인 이끼 천지에 마음이 아득했다. 이끼 위로 맑은 물이.. 2018. 6. 1. 올챙이 다리 나고 앵두는 익는데... 한시, 계절의 노래(50) 초여름 산골 살이 두 수[初夏山居二首] 중 첫째 [근대近代] 비공직費公直 / 김영문 選譯評 보리 추수 해야 할 때비바람 잦아 밤 들어 가벼운 우레베개 스치네 올챙이는 개구리 되고앵두 익으니 좋은 시절 유수 같아시름 어쩌나 麥秋天氣風雨多, 入夜輕雷枕迪過. 蝌蚪成蛙櫻結子, 年華似水奈愁何. 보리는 봄과 여름 사이에 거두지만, 가을 추수에 빗대 이 시절을 맥추(麥秋)라 한다. 절기로는 망종(芒種)에 가까워 봄꽃이 모두 지고 신록이 짙어지는 때다. 보리를 거둬 찧으면 춘궁기가 끝나고 여름으로 들어선다. 봄에 부화한 올챙이는 뒷다리가 나오면서 어른 개구리로 변한다. 미녀 입술 같은 앵두는 진홍색을 더 한다. 화려한 봄날은 눈 깜짝할 새 지나고 더위와 장마가 들이친다. 자연의 질서는 이처럼.. 2018. 6. 1. 사전이 퇴조하니 사전의 전성시대가 도래했다 오프라인 사전은 이제 곳곳에서 신음 소릴 내며 퇴조 일로다. 이젠 더는 설 곳이 없다. 내도 팔리지 않을 뿐더러, 팔려도 아무도 보지 않는다. 신문..요새는 기자들도 보지 않는다. 신문 발행부수? 아득히 먼 선캄브리아 후기 이야기가 되어버렸다. 신문은 퇴조를 거듭해 지금은 마지막 숨을 헐떡인다. 그렇다면 사전이 퇴조했는가? 분명 오프라인 사전은 눈에 띠게 퇴조했다. 그렇다면 신문이 퇴조했는가? 분명 조중동이 대표하는 신문이 가판대에서 정신없이 사라져간다. 하지만 그렇다고 사전이 결코 퇴조했다 할 수는 없다. 그러니는커녕 단군조선 이래 이토록 사전 수요가 많은 시대가 있을성 싶을만치 그 수요는 급격히 늘어나, 일상 곳곳으로 파고들었다. 너도나도 사전을 찾는다. 그 매체가 바뀌었을 뿐 사전 수요는 폭증 일로.. 2018. 5. 31. 이전 1 ··· 847 848 849 850 851 852 853 ··· 92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