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0771

밤을 답사하다 보면 비녀도 떨어뜨리기 마련 한시, 계절의 노래(317) 답가 가사 네 수[踏歌詞四首] 중 셋째 [唐] 유우석(劉禹錫, 772~842) / 김영문 選譯評 새 가사 감미롭게서로 이어 화답하며 바람 이슬 앞 소매 떨치고쪽머리 기울이네 달 지고 까마귀 울 때운우 끝나 흩어지자 노는 아이 밭둑에서꽃비녀를 주웠네 新詞宛轉遞相傳, 振袖傾鬟風露前. 月落烏啼雲雨散, 遊童陌上拾花鈿. “얼음 우에 댓닢 자리 보아/ 님과 내가 얼어 주글망정/ 정준 오늘 밤 더디 새오시라 더디 새오시라”(고려가요,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얼다’라는 말은 어떤 물체가 추워서 어는 것을 의미하는 동시에 남녀가 육체적으로 한 몸이 되는 것도 가리킨다. 한 겨울 얼음 위에서 한 몸이 되어 얼어 죽더라도 정든 님과 함께 하는 이 밤이 더디 새도록 기원하고 있다. 뜨거움에 애.. 2019. 4. 13.
모양성 채운 자주괴불주머니 흔히들 꽃타령 하는 사람을 일러 늙어가는 징조라 들기도 하거니와 그런 사람들은 대체로 꽃 이름을 모른다. 그런 점에선 나 역시 그에 하등 진배없다. 연전 나는 고창읍성, 일명 모양성에서 흐드러진 벚꽂에 넋이 나갔다가 그 풀밭 한켠에 산발한 저 꽃을 보고는 이리 썼다. 소피 마르쏘보다 이쁜 꽂 이라고 말이다. 그랬다. 소피 미르쏘 피비 캣츠 브룩 쉴즈 다 합친 것 보다 이뻤다. 그 이름 못내 궁금했는데 저 사진 본 사람들이 이구동성으로 자주괴불주머니 란 참으로 요상한 이름을 붙이더라. 안팎으로 사납기만 한 이 즈음 너를 보며 심사 달래본다. 다른 모든 걸 잃고 너를 얻었으되 그 자주빛 찬란함 만끽하기엔 너무 짪아 놓아주어야 할 듯 싶으나 꽃아 너는 꽃이라 좋다 말해두련다. 2019. 4. 12.
꾀꼬리 울음이 하늘 끝 꽃을 적셔주리 한시, 계절의 노래(316) 하늘 끝[天涯] [唐] 이상은(李商隱, 812~858) / 김영문 選譯評 봄날하늘 끝에 있으니 하늘 끝에해가 또 지네 꾀꼬리 울음에눈물 있다면 가장 높은 곳 꽃을적셔주리라 春日在天涯, 天涯日又斜. 鶯啼如有淚, 爲濕最高花. 하늘 끝은 더 이상 갈 데 없는 막다른 곳이다. 그 앞은 단애(斷崖), 즉 절벽이다. 그곳으로 봄날 태양이 진다. 나아갈 곳이 없는 자리다. 그곳은 부여 낙화암이며, 굴원의 멱라수이며, 「와호장룡」의 무당산 절벽이다. 시인 이상은에게는 곧 닥쳐올 당나라 망국의 자리이자 인생의 끝자리이기도 하다. 그곳에서 봄날 황혼녘 꾀꼬리가 운다. 꾀꼬리는 눈물도 없이 가슴을 찢으며 운다. 백석의 명편 「흰 바람벽이 있어」도 이 시와 같다. “하늘이 이 세상을 내일 적에 그.. 2019. 4. 12.
증평 추성산성(8차) 문화재발굴조사 학술자문회의 자료(증평군/미래문화재연구원) 충북 증평군 추성산성 제8차 발굴조사 성과가 공포되었다. 그 소식은 아래 첨부하는 우리 공장 기사를 참고하기 바란다. 증평 추성산성서 한성백제기 목조 우물터 발견송고시간 | 2019-04-12 10:32 이번 조사는 증평군이 재단법인 미래문화재연구원에 의뢰해 실시했다. 저 기사 토대가 된 '증평 추성산성(8차) 문화재발굴조사 학술자문회의 자료'를 첨부하니, 많은 이용을 바란다. 시간이 허한다면, 내가 완전히 풀어제껴서 새로 쓰겠지만, 요샌 일에 치어 암것도 하지 못하는 점 혜랑 바란다. A Brief Report of the 8th Excavation at Chuseongsanseong Fortress, Jeungpyeong 曾坪杻城山城第八次發掘調査學術檢討會議資料 2019. 4. 12.
인더스문명은 평화로왔던 지상천국인가 (1) 신동훈 (申東勳·서울대 체질인류학 및 고병리연구실) 앞에서도 한번 썼듯이 필자는 인도조사 중 소위 말하는 "인더스문명의 대도시" 유적을 두군데를 봤다. 한군데는 구자라트 주의 돌라비라 유적. 다른 한군데는 하리아나 주의 라키가리 유적이다. 어느나라 어떤 문명이나 문명권 안에는 광범위한 농촌이 펼쳐져 있고 그 안에는 여러 크기의 도시가 존재하기 마련이다. 이런 점이 인더스 문명의 경우 그 문명의 특징 중 하나로 매우 두드러진다. 인더스 문명의 유적. 원으로 표시된 것이 인더스 문명의 도시 유적이다. 지금까지 발굴된 도시 유적도 상당히 많지만 그 중에서 "대도시"급에 속하는 것은 모두 다섯군데로 Mohenjo-daro, Harappa, Dholavira, Kalibangan, 그리고 Rakhigarhi이다... 2019. 4. 12.
기정진(奇正鎭, 1798~1879), 입재기(立齋記) 입재기 立齋記 바야흐로 입재공(立齋公)의 두건, 신발이며 궤안(几案)이 남은 이 서재는 의심스럽고 판단이 어려운 문제를 처리하려거나 어려움에 처한 사람들이 사방에서 찾아 왔으나, 평소에 의롭지 못한 자는 주저하며 들어오기를 꺼렸다. 서재가 서재다웠던 것은 공의 자태와 어묵(語默)에 달려 있었으므로 편액을 만든 일이 없었는데 더군다나 기문이겠는가. 공이 세상을 떠나고 30년이 지나 사자(嗣子)인 봉진(鳳鎭)은 그 서재를 비워두고 두어 마장[數帿] 되는 곳에 옮겨 살았다. 봉진의 아들로 양자로 나간 양연(亮衍)이 선조의 자취가 장차 없어질까 두려워 모든 것을 견고하게 만들고자 꾀하고자 해서 기와를 구워 초가지붕을 대체하여 오래가게 하고자 하였다. 약속을 정하고서 먼저 고(故) 옥류거사(玉流居士) 이삼만(李三.. 2019. 4. 11.
산사에서 찾은 떠난 봄 한시, 계절의 노래(315) 대림사 복사꽃[大林寺桃花] [唐] 백거이(白居易, 772~846) / 김영문 選譯評 인간세상 사월이라향기로운 꽃 다 졌는데 산속 절집 복사꽃비로소 활짝 폈네 봄 떠난 후 찾지 못해길이길이 아쉽더니 이곳 산사 속으로돌아든 줄 몰랐다네 人間四月芳菲盡, 山寺桃花始盛開. 長恨春歸無覓處, 不知轉入此中來. 대림사는 중국 여산(廬山) 정상 근처에 있는 유명한 절이다. 백거이는 원화(元和) 12년(817년) 음력 4월에 친한 벗 17명과 함께 대림사를 유람했다. 때는 음력 4월이었다. 지금으로 치면 양력 5월에 해당한다. 세속 평지에는 짧은 봄날이 벌써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초여름 따가운 햇볕이 내리쬐고 있었으리라. 그런데 뜻밖에도 높은 산 절집에 화사한 복사꽃이 활짝 펴 있었다. 예상치 .. 2019. 4. 11.
여수 흥국사 나한상(1) 나한들의 절대지존 조계사 경내 불교중앙박물관이 최근 특별전을 개막했으니, '불심의 향연'과 '나들이 나온 나한'이 그것이라. 지난 3일 나란히 개막한 이 두 특별전은 부처님오신날이 낀 기간을 포함해 오는 7월말까지 같은 자리에서 계속된다. 이중에서 오늘은 후자를 소개하되, 이번에는 주최측 의도를 존중해, 현장 안내판 설명문을 통해 정리하고자 한다. 나한 전시는 여수 흥국사라는 특정 사찰을 중심으로 나한신앙을 소개 정리하려 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 여수 흥국사는 유감스럽게도 나는 아직 현장을 밟은 적이 없다. 특정한 사찰 나한상이므로, 우선 특별전은 이 흥국사가 어떤 사찰인지를 다음과 같이 소개한다. 안내 문구는 내가 군데군데 손질했음을 미리 밝힌다. 다만, 내용에는 단 한 군데도 손대지 않았다. 나라가 흥하면 절이 .. 2019. 4. 11.
마이크로닷·할리·로이킴·박유천, 오늘의 사대천황 마이크로닷 부모는 사기 혐의로 수사받다가 부부는 한쪽만 구속한다는 관행에 따라 어미는 석방되는 대신 아비는 영장이 신청되고 전날인지 기습 귀국한 로이킴이라는 녀석은 성관계 동영상 유포인지 뭔지 하는 혐의로 경찰에 불려가고 부산사투리 쓰는 미국 아저씨 로버트 할리는 뽕 맞은 혐의가 사실로 입증되어 구속영장이 신청 청구되었다가 범죄행위가 소명된 반면 깊이 뉘우치고 혐의사실을 대부분 인정한 댓가로 간신히 구속은 면하여 석방되고 황하나와 얽힌 박유천은 뽕 주사 놓았다는 소문이 급속히 확산함에 따라 그기 아이고 라는 기자회견을 자청하고 이것이 모조리 오늘 하루 일어난 일이다니 믿기는가? 하도 뽕뽕뽕 하니 하늘까지 뽕맞은 듯 하고 나무까지 대마 피운 듯 하며 저 앵두꽃은 다 사긴 듯 하고 세상 모든 방송이 야동인 .. 2019. 4. 10.
황하나 관련 박유천 기자회견 박유천 "황하나 마약 연루설에 공포…결코 마약하지 않았다"송고시간 | 2019-04-10 18:13전 여친 황씨 마약 혐의 연관설에 기자회견 자청 황하나 마약 사건에 연루되었다는 소문이 있던 박유천이 10일 기자회견을 자청해 이번 사태 혹은 소문에 대한 생각을 밝혔으니 아래는 그 전문이다. 박유천 입장문 안녕하세요 박유천입니다. 제가 이 자리에 오기까지 정말 많은 생각과 고민이 있었고 무척 힘든 시간이었습니다. 하지만 용기를 내어 이 자리를 결심한 것은 제가 모든 것을 직접 솔직히 말씀 드리는 것이 맞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저는 우울증 치료를 받고 있었습니다. 한 동안 긴 수사를 받았고 법적으로 무혐의가 입증 되었으나 저는 사회적인 질타와 도덕적인 죄책감 그리고 수치심으로 고통스러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2019. 4. 10.
Monument to Garibaldi of Bologna(볼로냐에서 만난 가리발디) Monument to Giuseppe Garibaldi (Bologna)This bronze statue to honor Giuseppe Garibaldi (1807~1882) of Bologna is located about halfway along Via dell'Indipendenza, in front of the Arena del Sole. Inaugurated on July 8, 1900 , it was made by sculptor Arnaldo Zocchi. Garibaldi was an Italian nationalist who contributed to the Italian unification and the creation of the Kingdom of Italy. For more i.. 2019. 4. 10.
늙음과 시절 탄식해봐야 한시, 계절의 노래(314) 난정기(蘭亭記) [宋] 왕백(王柏) / 김영문 選譯評 풍류 인물 성대한 모임난정에 잦았지만 각석 글자 분분해도어찌 진본 글씨 있으랴 늙음과 시절 탄식사모할 게 무엇이랴 천 년 동안 어느 누가기수 성인 기억했나 風流盛集數蘭亭, 刻石紛紛豈有眞. 嗟老感時何足慕, 千年誰記浴沂人. 동진(東晉) 왕희지(王羲之)는 영화(永和) 9년(353년) 삼월 삼일 벗, 친척 등 40여 명의 사람들과 회계(會稽) 난정(蘭亭)에서 봄모임을 가졌다. 술을 마시고 시를 지으며 화창한 봄날을 한껏 즐겼다. 그 풍경을 「삼월삼일난정시서(三月三日蘭亭詩序)」에 기록해놓았다. 더 거슬러 올라가면 늦봄 기수(沂水)에서 목욕하고 무우(舞雩)에서 봄바람을 쐰 후 노래를 부르며 돌아오는 공자와 제자들의 봄나들이가 난정 모.. 2019. 4. 10.
봄비 내린 빈뜰에 다투어 돋는 풀 한시, 계절의 노래(313) 봄비 내린 후[春雨後] [唐] 맹교(孟郊, 751~814) / 김영문 選譯評 어제 밤 잠깐 사이내린 가랑비 하늘이 만물을살리려는 뜻 무엇이 가장 먼저알아차렸나 빈 뜰에 풀 새싹다투어 돋네 昨夜一霎雨, 天意蘇群物. 何物最先知, 虛庭草爭出. 가수 정태춘은 “봄은 오고 지랄이야”라고 노래했다.(「섬진강 박 시인」) 청춘을 지나 중년에 접어든 사람의 시니컬한 반응이다. 세월이 중년으로 들어서서 노년을 향해 치달려 가면 어린 시절의 감성과 열정이 시들어 새봄도 데면데면한 느낌으로 맞기 쉽다. 게다가 먹고살기에 바빠 꽃놀이 할 마음이나 시간조차 나지 않는 경우엔 저절로 “봄은 오고 지랄이야”라는 욕지거리가 나오기 마련이다. 봄비가 오고 새싹이 돋는 게 내 목구멍 풀칠과 무슨 상관이란 말.. 2019. 4. 10.
담양에서 나는 청대죽靑大竹 담양하면 지금도 대나무와 죽제품으로 저명하거니와, 이런 전통은 조선시대라고 해도 다른 것도 아니었다. 조선후기 임득명(林得明, 1767~1822)이라는 위항문인이 있고, 그의 시문을 묶은 것으로 《송월만록松月漫錄》이 있다. 이에 수록한 시로써 다음과 같은 아주 긴 제목을 단 한 편이 있다. 기호철 선생이 그의 네이버 블로그에 소개한 글인데 전재한다. 내의원에 공물로 바치는 청대죽이 순창과 담양 두 고을에서 많이 나는데, 해마다 역을 거쳐 올라오는 수량이 500개를 밑돌지 않는다. 요사이 도처에서 끊이지 아니하고 계속 올라오는 것을 보고 시로 쓴다.[藥院進貢靑大竹, 多出於淳昌、潭陽兩縣, 而每年遞驛上來之數, 不下五百箇。近日連路不絶, 寓目發吟。] 순창과 담양의 대나무 서까래만큼 커서공물로 상납하는 수량 해마다.. 2019. 4. 10.
Flagpole Supports in Barley Field, Gyeongju(경주 구황동 당간지주) Located in front of Bunhwangsa Temple, behind the Hwangryongsa Temple Site at Guhwang-dong, Gyeongju, they played a role of fixing the Buddhist flag called Danggan 幢竿(당간). It is presumed that these supports were made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668~935 AD). There is a turtle-shaped stone on the floor between them. 慶州九黃洞幢竿支柱 / 경주 구황동 당간지주 Photo by Seyun Oh 더 상세한 설명을 현지 안내판을 통해 보태본다. 경주 구황동 당간.. 2019. 4. 10.
사쿠라 지난 자리 채운 유채 순식간에 핀 벚꽃이 느닷없이 사라진 경주엔 유채 만발해 온 들녁 노랑으로 물들이며 월정교 병풍을 친다. 이 즈음 모두가 모네요 마네다. Photo by Seyun Oh 2019. 4. 9.
Etruscan Bronze Mirror "patera cospiana" Etruscan bronze engraved mirror, known as the "patera cospiana", from Arezzo. University Collections, previousiy owned by Cospi The mirror was discovered in about 1650 inside a tomb, where it was being used as the lid of the funerary urn, and was placed in Marquis Cospi's collection. Because of its distinctive decorations and its inscriptions, it aroused much curiosity among scholars and was oft.. 2019. 4. 9.
전(傳) 김시습(金時習, 1435~1493), 〈삼각산(三角山)〉 삼각산(三角山) 전(傳) 김시습(金時習, 1435~1493) 묶어세운 삼각산이 저 하늘을 꿰었으니 올라가면 북두성 견우성 딸 수 있으리 봉우리들 비와 구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만세토록 편안케 할 수 있다오 束聳三角貫太淸, 登臨可摘斗牛星. 非徒岳岫興雲雨, 能使東方萬世寧. [해설]김시습(金時習, 1435~1493)이 5살 때 세종이 불러 삼각산으로 시를 지으라고 하자, 지었다고 전하는 시인데, 그의 문집에는 수록되어 있지 않다. 이제신(李濟臣, 1536~1584)의 《청강선생후청쇄어(淸江先生鯸鯖瑣語)》 〈청강선생 시화(淸江先生詩話)〉와 이수광(李睟光, 1563~1628)의 《지봉유설(芝峯類說)》 권13 〈문장부(文章部) 6 동시(東詩)〉에 수록되어 전한다. 그러나 두 사람 모두 이는 김시습의 작품이.. 2019. 4. 9.
봄은 솜이불이다 하이타이 팍팍 풀어놓곤 한시간 동안 이불 질근질근 밟은 누님 뒤꿈치 같은 봄이다. 봄은 솜이불이요 호총이다. 내가 봄을 덮고 봄을 베고 봄을 안고 곤증 시달리는 비롯이다. 2019. 4. 9.
봄은 화투판이라 목련 지니 사꾸라 피고사꾸라 지니 모과 핀다모과 다음엔 목단 피니 목단 피면 화두 치리니 청단홍단 광박피박 멍박각종 박은 다때려 박아 한살림 순이랑 차리곤 호미 매고 김매러 가리 봄은 홍단이요 봄은 청단이며봄은 비시마며 봄은 똥싸리며 봄은 광박이요봄은 피박이며 봄은 까막사리 더라 2019. 4. 9.
[새연재] 인더스문명은 평화로왔던 지상 천국인가 본 연구진이 다년간 조사하였던 인더스 문명-. 인류 4대 문명의 하나인 이 문명을 둘러싼 이야기 중 흥미로운 것의 하나는 다름 아닌 인더스 문명이 같은 시기 다른 주변 지역 고대문명과 달리 전쟁도, 계급도, 폭력도 없었던 평화로운 세계였다는것-. 알고보면 이러한 학자들의 믿음은 단순한 추리나 공상이 아니라 고고학적-인류학적 연구에 의해 상당 부분 지지받고 있다. 하지만 최근들어 이런 믿음에 반기를 든 연구자들이 출현하기 시작하였다. 이들은 인더스 문명이 좀 특이한 형태이긴 하지만 결국 다른 문명과 별 차이 없이 구조적 폭력과 계급, 국가가 지배한 사회였다고 본다. 다음 연재는 이 문제를 우리 연구진의 인도 인류학 연구를 중심으로 풀어가기로 한다. 4월 12일 부터. 2019. 4.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