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문화재현장2109

서산 석남동 석불입상 瑞山石南洞石佛立象 STANDING STONE BUDDHA STATUE OF SEONGNAM-DONG 문화재자료 제203호 충남 서산시 석남동 산 208-2 Cultural Property Material No. 203 Located at Seongnam-dong, Seosan-si 높이 3.2m / 화강암 Height 3.2m / Granite 충남 일대에서 고려 후기 이후에 유행한 돌기둥 형태 불상으로 이 부처는 현지에서는 미륵불彌勒佛로 통한다. 무릎 이하는 묻힌 상태이며, 둥근 몸체는 입체적 균형미가 없이 형식적으로 조각되었다. 마모가 심해 얼굴 형태나 세부 조각수법은 알 수 없다. 머리는 몸체에 비해 넓고 긴 편이며, 머리 위에는 사다리꼴 모양 보관寶冠이 씌워져 있다. 목은 거의 없이 머리가 몸체에 붙어 있으며, 오.. 2021. 2. 27.
의성의 문화유산 2021. 2. 25.
[Depths into Ireland] Loughcrew Cairns 아일랜드 신석기시대 무덤 록크루 케언스 https://youtu.be/CJR4UPokjN0 먼저 Loughcrew Cairns 라는 말부터 설명해야겠다. 발음은 록크루 케언스 정도에 해당한다. 둘 다 아이리시라, 말할 것도 없이 켈트어 기반이다. Loughcrew는 록크루 라고 발음하거니와 그것이 자리한 지명이다. Lough 라는 말을 흔히 스코틀랜드어라 소개하는 설명을 많이 보는데, 하긴 스코틀랜드나 아일랜드나 같은 켈트어 기반이라, 이 말은 자주 등장하는데 lake 에 해당하는 말이다. 발음이 로크 라서 Loch 라 표기하는 일도 많다. Loughcrew는 아이리시로는 Loch Craobh 라고 하거니와 그 의미는 나무의 호수 "lake of the tree" 다. Craobh 혹은 crew 가 나무라는 뜻이니깐. cairns란 cairn.. 2021. 2. 21.
Overlooking two Han Rivers The Han River, which runs through the central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embraces the Namhan River and the Bukhan River at its central point. The point of convergence is called Dumulmeori, which means that two streamss merge. You can see Dumulmeori from a temple called Sujongsa on the hillside nearby. 수종사에서 조망하는 한강 두물머리 2021. 2. 21.
활이 있어야 하는 철종어진 이 조선시대 철종어진은 태워먹고는 공교롭게 아수라백작 모양으로 것도 절반만 홀라당 타 버리는 바람에 저 나머지 부분이 어땠을까 하는 고민을 유발하거니와 그래서 이걸로 복원작업을 하는 사람들이 있기 마련이다. 그림 부분만 확대하면 이렇다. 얼굴 중앙을 중심으로 오른쪽 절반이 세로로 날아간 까닭에 저 그림이 표현하고자 하는 복식은 어느 정도 복원이 가능하니 이번 고궁박물관이 군사의례를 준비하면서 제시한 복식이 아래다. 그렇다면 저 어진 본래 모습은 어땠을까? 이를 위한 시도가 몇 차례 있었고 근자 권지은 교수 지도를 받은 한국전통문화대학 안서진 선생이 시도한 것이 있으니 아래가 그것이다. 이는 접때 권교수 설명을 들으니 기존 다른 사람 복원의 문제점들을 보완한 것이라 하거니와 현재로서는 그 최신판이라 할 수.. 2021. 2. 20.
중도 레고랜드 발굴이 다시 부른 춘천 천전리 고인돌묘 춘천 천전리 고인돌묘군이다. 일찍이 식민지시대에 알려졌고 1960년대 국립박물관이 발굴조사하고 이후 근자에도 재발굴이 있었다. 애초 10기가 알려졌으나 지금은 다섯기가 남았다. 이 지석묘군은 얼마전까지만 해도 이 지역에선 보기 드문 청동기시대 유산이라 해서 절대의 중요가치를 지녔다. 북한강변에서 이와 같은 군집 지석묘는 희귀했기 때문이다. 이런 사정이 춘천 중도가 발굴되면서 급변했다. 레고랜드 조성사업 일환으로 그 사업대상지를 조사한 결과 무려 110여기에 달하는 초대규모 고인돌이 발견됐기 때문이다. 그 발굴양상은 그만큼 놀라웠다. 희귀성 측면에서 분명 천전리 지석묘가 지닌 그것은 현격히 줄어든 것만은 분명하다. 하지만 그래도 천전리 고인돌이 지닌 장점은 빛을 더 발할 수도 있다. 재평가는 이제 시작이 .. 2021. 2.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