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문화재현장2173

북위 낙양 영녕사永寧寺와 구층목탑 永寧寺与永寧寺塔 영녕사永寧寺와 구층목탑 永寧寺与永寧寺塔 영녕사는 낙양성 내성內城 남쪽이자, 백마사白馬寺 동남쪽에 위치했다. 516년에 영태후靈太后가 발원한 도성 내 최대 규모의 황실 전용 사원으로, 외국에서 헌상한 경전과 불상이 자리할 만큼 사세寺勢가 컸다고 한다. 영녕사는 《낙양가람기》와 발굴조사를 통해 사방에 담장을 쌓고 남 · 동 · 서쪽에 문을 두어 출입하였으며, 담장 안에는 1탑 1금당이 있었음이 밝혀졌다. 영녕사를 대표하는 기념물은 534년 벼락으로 불에 타버린 구층목탑이었다. 높이가 1,000척이었으며, 10리 밖에서 풍탁소리가 들리고 100여 리 떨어진 곳에서도 보일 만큼 규모가 컸다. 탑터 주변에서는 흙으로 만든 부처 · 보살, 제자, 공양자, 시중, 의장儀杖, 광배 등 1,560여 점에 이르는 유물이 .. 2021. 12. 20.
Buddha and Buddhas Handsome Buddha Shimuruk Buddha Tired Buddha 2021. 11. 21.
한양도성, 시기별 성돌 변화와 성곽의 구조 Changes in Stones of Hanyangdoseong by Time Period 이 구간에서는 한양도성을 쌓아 올린 기술의 변화와 다양한 성돌의 모양을 잘 살펴볼 수 있다. 이곳 성벽 맨 아래에는 가로가 긴 대형 기초석이 놓여 있는데, 이 기초석은 14세기 태조 때 쌓은 성돌이다. 그 위에 올려 쌓은 성돌들은 좌우가 서로 다르다. 왼쪽 성돌은 비교적 작고 납작하게 생겼는데 15세기(세종)에 쌓은 것이고, 오른쪽 성들은 약 40~45cm 크기로 18세기 (숙종)에 쌓은 것이다. 19세기에 이르면 성돌 크기가 60cm로 아주 커진다. 5세기에 걸친. 조선왕조 축성 기술의 발전 단계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는 점이 남산 한양도성 유적의 특징이다. We can look into the changes .. 2021. 11. 13.
애타는 창덕궁 가을아 너는 붉어서 미치겠지만 나는 애타서 미치겠노라 (2016. 11. 7) 2021. 11. 7.
반란한다 효수한 역적 머리칼 같은 경회루 남들은 울긋불긋 형형색색 아롱다롱 컬러잔치 여념없는데 물 먹고 자란다 뽐내는지 저 혼차만 여전히 푸르죽죽이라 몰골 보니 천상 효수한 역적 머리카락이라 같은 신세라선가? 경회루도 머리박곤 물 아래로 원산폭격 한 따까리 중이라 간판 없었음 설마? 했을 뽕나무 노거수 먹일 누에 사라지자 저 혼차 늙었구나 뽕이야 저리 낫살 잡수면 버섯이나 제법 둥치서 뿜어내나 너 지킨 지난 이십년 너한테선 버섯 하나 구경치 못했노라 2021. 11. 6.
내려다본 옛 한국은행 빌딩 우정본부인지 우정총국인지 하는 옛 체신부 쩍벌남 건물 십층 난간에서 담배 피다 꼬나 내려봤다. 식민지시대 건축물 중에선 원모를 비교적 간직했다 해서 국가사적으로 지정 보호받으며 지금은 한국은행이 통째로 박물관으로 쓴다. 2021. 10.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