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화재현장2172 헤딱헤딱 자빠진 삼발이 기아마스터 T-600 삼발이 기아마스터 T-600 | 등록문화재 제400호 | 생산기간 : 1969년 ~ 1974년 • 생산대수 : 7,726대 배기량 : 577cc 최고속도 : 시속 75km 중량 : 520kg 최대 적재량 : 500kg 1969년 기아산업이 일본 동양공업과 기술제휴해서 출시한 소형 3륜 트럭이다. '최소의 경비로 최대의 효용' 이라는 기치를 내건 T-600은 작은 차체와 3.6m에 불과한 회전반경에 힘입어 복잡하고 좁은 골목길에서도 운행할 수 있어 배달 용달업에 종사하는 자영업자들한테서 인기가 높았다. 하지만 안정성이 떨어져 곡선 길에서 넘어지는 사고가 빈번하자 1972년에는 고속도로 통행이 금지되기도 했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소장. 2020. 8. 13. 남산에서 출현한 조선신궁 남산 한양도성 발굴현장. 시멘트 바닥은 조선신궁 배전 바닥이다. 기둥 바닥 시설이 독특하다. 기록엔 히노끼를 썼다는데 수종 검사결과는 삼나무란다. 기둥에다 정조대를 채웠군. 아마도 이 신궁에 썼을 법한 기와가 나왔다. 제조공장이 보인다. 성벽 바깥 기둥 자린 비계를 설치한 흔적이다. (2014. 8. 13) 2020. 8. 13. 장수 침령산성의 도르래 2011년 영월 정양산성에서 도르래 원리를 활용한 수문 개폐 시설이 발굴조사 결과 확인됐다는 소식에 전북 장수군청 이현석 하계사가 기다렸다는 듯이 카톡으로 전송해온 사진 중 몇 장이다. 아주 흡족한 이렇게 적었더라. 막 올러주신 수문개폐시설의 결정판 도르래가 유일하게 장수 침령산성에서 출토되었습니다~~^^ 우쭐한 표정이 눈에 선하다. 저거이 바로 수문을 개폐할 때 막음 장치인 판돌을 오르락내리락하던 장치..곧 도르래 부속품이다. 침령산성 이 석축 원형 우물에서 수습한 모양이라 그렇다면 저 도르래가 들고내린 물 막음용 판돌은 나왔느냐 물으니 유감스럽게도 그 판돌과 그 판돌을 내릴 때 바닥에 꽂아 고정하는 홈 파인 받침돌은 확인되지 아니했단다. 저 석축우물은 내가 현장을 본 것도 아니요 조사 간보고서도 당장.. 2020. 8. 12. 도르래 원리를 이용한 영월 정양산성 수문水門 개폐시설 2011. 10. 22 영월 정양산성 寧越正陽山城 발굴현장. 도르래 원리를 이용한 신라시대 배수구 수문水門 시설이다. It is the site of excavation of the ruins of the Silla period called Jeongyangsanseong Fortress in Yeongwol, Gangwondo Province. As you can see, it is located on the hillside of 450 meters above sea level. The Silla Dynasty built ramparts on the mountain. Holes were drilled at the bottom of the wall to drain the rainwater from the.. 2020. 8. 12. 뱃살의 추억 이 뱃살 어칼겨? 그러니 운동 좀 하지 박물관 이름이 요상함 Museo Nazionale Romano - Palazzo Massimo alle Terme Museo nazionale romano di palazzo Massimo...이렇게도 쓰는 모양 마시모궁 국립로마박물관, 혹은 로마 국립미술관 - 마시모 알레 테르메궁 이 정도로 옮길 수 있겠다. 로마 테르미니 인근에 위치한다. (2018. 8. 12) *** 내 주변 지인들 압도적인 반응이 "나를 보는 듯하다"는 말이다. 로마 국립박물관★★★★★ · 고고학 박물관 · Largo di Villa Peretti, 2www.google.com 2020. 8. 12. 아드리안, 로마제국의 시황제 이젠 이번 유럽 여행도 막바지 청산단계라 다닌 곳을 복습한다. 로마 산탄젤로라는 곳으로 바티칸 베드로성당 인근이다. 로마제국 아드리안 황제가 자신의 영묘로 건립한 곳이라는데 이 친구 진시황제와 비슷해 토건국가를 꿈꾼 제왕이라, 거개 남은 로마시대 유산이라면 이 친구 손길이 거치지 않은 곳이 없다시피 하다. 이 영묘는 동아시아 능묘건축에 견준다면 수릉壽陵과 비슷하거니와, 테베르 강변에다가 평면 원형으로 마치 판축하듯이 토석 혼축하되 네 방향 귀퉁이마다 망루 같은 시설을 두었다. 다만 초축 이래 줄기찬 재활용이 있어, 어디까지가 아드리안 설계이고 어디부터가 후대 개보수인지는 내가 지금 당장 확인할 수는 없다. 꼭대기에 마련한 현실玄室 같은 공간이 있고 이곳이 그의 관을 안치한 곳이라는 말이 있는 모양인데, .. 2020. 8. 11. 이전 1 ··· 237 238 239 240 241 242 243 ··· 36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