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미라 이야기177

[외치이야기-31] 부계유전의 설명 필자가 집필하여 얼마 전 소개한 아래 책이 있다. 서울대 법의학연구소 이숭덕-신동훈 공저로 서울대출판부에서 펴낸 책이다. 이 책에 보면 "Human Identification"이라 책 제목에 되어 있다. Human Identification이 무엇일까?이 기법이 뭔고 하면, 쉽게 말해 친자감별, 부계유전, 모계유전 등 유전학적 기술이 여기에 포함된다. 간단히 설명해 보면 이렇다. 이것이 사람의 염색체다. 1번부터 22번까지를 상염색체라 하며우리가 흔히 성염색체라고 부르는 것이 X와 Y이다. 여성에게는 X가 두 개, 남성에게는 X 하나, Y 하나가 있다. 나머지 1번 부터 22번까지의 염색체는 모두 같은 것이 한쌍씩 있다. 따라서 22번까지 한쌍 = 44개그리고 성염색체 2개, 해서 사람의 염색체 수는 4.. 2025. 1. 31.
[외치이야기-30] 주라기 공원 지금까지도 영화가 계속 이어지고 있는 쥬라기공원 시리즈-. 이 영화가 처음 나온 것은 1993년. 영화의 원작소설이 처음 나온 것은 1990년이다. 고대 DNA연구의 첫 논문이 나온 것이 1984년이니 논문 나온지 6년 만에 소설이 나오고 9년 만에 영화가 나온 셈이다. 주라기공원의 아이디어 자체는 고대DNA와 별 다름이 없다. 딱 하나, 고대 DNA가 그렇게 공룡을 만들어 낼 만큼 완전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일 뿐. 영화에서는 모기의 내장에서 뽑아낸 공룡 DNA에서 결손된 부분을개구리 DNA로 메꿔 넣어 공룡을 재창조한다고 설명했다. 여기서 실험실에서 이루어지는 고대 DNA 연구와의 차이점은-. 모기 내장에서 뽑는 DNA 추출 같은 일은 현재로서는 거의 불가능하다. 고대 DNA 연구 떄 사용하는 DN.. 2025. 1. 31.
[외치이야기-29] 고대 DNA를 찾아서 외치의 발견과 연구에서 사실 대부분의 작업은 연구 자체가 특이할 것은 없다. 지금까지 필자가 외치에 대해 설명했지만 여기서 이루어진 연구는 외치 말고 다른 고고학적 발견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경우가 많아 이 정도의 성과는 다른 연구들에서도 자주 보는 바다. 그럼에도 외치 연구가 학계를 진동시킨 것은 이 연구에 고대 DNA 분석 기법이 대대적으로 동원되어 다른 연구와는 질적 차별을 이룰 수 있었기 때문이다. 고대 DNA 분석기법이란 1982년에 처음 보고되어 발전을 시작한 것으로 외치가 1991년에 발견되었으니 이에 대한 연구는 고대 DNA 분석기법의 발전과 그 흐름을 같이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외치의 연구 성과에 대해 조금 더 깊은 이해를 위해서는 고대 DNA 분석 기법에 대한 이해.. 2025. 1. 31.
책의 집필을 공개적으로 준비하는 것... 이득일까 손해일까 필자가 최근 쓰고 있는 글은 이미 알려드린 바와 같이 공개적으로 미라 연구 관련 저서를 준비하는 작업과 궤를 같이하고 있다. 이 블로그 자체가 필자에게 있어서는 연구의 비망록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은 여러 번 밝힌 적이 있다. 이 블로그는 김단장께서 잘 운영하신 덕에 하루 독자가 1,500명을 넘는다. 그렇다면 연구의 비망기와 저서의 준비를 이렇게 공개적으로 하는 것이 필자에게 득일까 손해일까. 필자는 원래 이 작업을 공개적으로 하지 않으려 했었는데김단장께서 최근의 트렌드를 볼 때 이러한 작업을 공개하느냐 아니냐는 하등 최종 출판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이야기가 있었다. 이 부분은 아직도 필자는 확신은 할 수 없는데, 두 가지 점에서 김단장이 주신 말을 믿고 계속 가보려 한다. 첫째는 어쨌건 필자.. 2025. 1. 31.
[외치이야기-28] 대중문화의 아이콘 외치는 대중문화의 아이콘이 되었다. 5000년 전에 화살을 맞아 알프스 산 꼭대기에서 불귀의 객이 되어 버린 이 순동시대의 유럽인은그야말로 대중문화의 측면에서 넘사벽이 되어 버렸다. 필자가 보기엔 외치와 어깨를 나란히 할 만한 것은 투탕카멘 정도로서 향후 이런 대중문화의 아이콘 위치를 수백년은 더 유지하지 않을까. 외치가 주인공이 된 만화가 수도 없이 나왔고 외치 이야기를 다룬 영화까지 나왔다.  외치가 이렇게 상업적으로 성공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필자가 보기엔 역사학자과 고고학자, 생물학자 들이 모여 단순히 학술연구를 한 것이 아니라외치와 관련된 스토리를 완성하는데 나름의 기여를 했기 때문이다. 외치의 키는 얼마인가, 눈 색깔은 어떤가, 그는 죽었을 때 나이는 얼마인가, 질병은 있었는가 하는 단순한 .. 2025. 1. 30.
[외치이야기-27] 외치는 왜 죽었는가-4 외치의 죽음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명이 있어 아직 완벽하게 해명된 상태는 아니다. 다만 그거 죽음 이전에 어떤 이유에서건 쫒기고 있었으며추적자들과 몇 차례 격투를 벌였던 것은 분명한 것 같다. 외치 오른쪽 손에는 아주 깊게 패인 상처가 존재하는데 아마도 이 상처 역시 그가 미지의 암살자와 다투면서 입은 상처일 수도 있게 되었다. 최근까지 축적한 연구 보고를 종합하면 그가 죽기전 매우 복잡한 형적을 남기며 이리저리 피해다녔던 것으로 보인다. 위 그림에서 보듯이 그는 산 위에 있다가 한때 산아래로 내려왔다가 다시 산위로 올라가 최후를 맞는다. 그 짧은 시간 동안에 최소한 세 차례 격투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마지막 세 번째 조우에서 그는 화살을 맞고 죽음을 맞이했다. 그거 쫒기며 무엇을 먹었는지, 언제 .. 2025. 1.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