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라 이야기177 [외치이야기-26] 외치는 왜 죽었는가-3 외치의 모습을 보면 누구나 이상하게 느끼는 장면이 두.가지 있다. 첫째는 얼굴. 외치를 처음 본 사람들은 누구나 심하게 찌그러진 입 모습을 인상적으로 느낀다. 또 하나는 이상한 팔의 자세이다. 왼쪽팔을 오른쪽으로 길게 뻗고 있는데 이 자세는 남티롤 고고학박물관에 안치되어 있는 현재도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왜 이런 이상한 자세와 희안한 입술 모양을 갖게 되었는지에 대해서는외치가 등쪽으로 화살을 저격받았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등쪽에서 화살로 저격당한 외치는 앞쪽으로 자빠져 눈속에 쳐박혔을 것이다.이 넘어지는 순간 이미 의식을 잃었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것은 그의 자세 때문이다. 팔을 길게 뻗은 상태에서 앞으로 넘어지고 얼굴을 그대로 눈속에 쳐박는 것은의식이 있는 상태에서는 나올.. 2025. 1. 30. [외치이야기-25] 외치는 왜 죽었는가-2 이 원인을 규명할 기회는 우연치 않게 찾아왔다. 발견된 지 10년이 되던 2001년, 볼차노병원 방사선과 의사인 폴 고스트너 (Paul Gostner)는 외치에 대한 X선 검사를 시행하였는데 여기서 매우 수상한 소견을 발견한 것이다. 외치의 가슴 왼쪽 부분에서 정상적 소견이라고 볼 수 없는 음영을 찾았는데 그가 보기엔 아무리 봐도 인공물 같았다. 외치에 대한 CT 검사에서는 수상 한 부분이 더 두드러졌다. 그의 왼쪽 견갑골 부분에서 2 센티 정도 폭의 구멍이 발견된 것. 이 구멍은 그의 왼쪽 폐 언저리까지 뻗어 있었다. 이것이 무엇인지 확인하기 위한 작업은 곧 시작되었다. 우선 외치에 대한 신체검사가 재개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병리학자인 Eduard Egarter Vigl은 외치 어깨 부분 피부에서.. 2025. 1. 30. [외치이야기-24] 외치는 왜 죽었는가-1 이제 이 글 가장 중요한 부분을 남겨 두었다. 여러 가지 사실이 과학적 연구에 의해 밝혀졌지만 정작 가장 중요한 부분-. 외치가 도대체 왜 죽었는지에 대한 해답은 여전히 오리무중으로 남았다. 사실 외치가 발견 된 후 이 사람이 왜 알프스 산꼭대기에서 죽은 채 발견되었는지 여러가지 가설이 제시되었다. 외치가 발견된 직후 가장 먼저 나온 이야기는 이유는 정확히 모르겠지만 살해당한 것 같다는 것이었다.처음에는 손목에 있는 문신을 끈으로 묶인 자국으로 생각했고 뒤통수에 있는 함몰부가 뭔가에 맞아서 그런것 아닌가라는 의견이었다. 특히 외치를 처음 조사한 인스부르크대학 고고학자 콘라드 스핀들러는 외치 주변에서 발견한 화살대가 제대로 다듬어지지 않고 버려진 점에 주목하였다.외치는 그를 쫒는 누군가와 전투를 벌이다.. 2025. 1. 30. [외치이야기-23] 외치 얼굴은? 인류학적 연구를 통해 외치의 나이와 생존한 시대가 추정되었는데뼈로 추정한 그의 나이는 45.7세. 방사선동위원소 결과로는 기원전 3,350년에서 3,100년 사이에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추정된 신장은 1.60cm 정도. 몸무게는 50킬로그램 안팤. 신발 사이즈는 콘티넨탈 38. 지역에 따라 다르겠지만 유럽인 신장이 청동기시대 남자의 경우 167.3 cm (5 ft 6 in), 여자가 155.6 cm 였다 하므로외치의 키는 결코 크지 않았고 오히려 작은 편이었던 셈이다. 고고학적 발견에서 사람들이 가장 관심을 갖는 부분이 하나는바로 외모다.어떻게 생겼는가 하는 문제는 많은 사람들 호기심 대상이기도 하다. 이러한 얼굴은 그냥 작가가 생각나는 대로 그리는 것이 아니고, 법의학적 얼굴 복원 기법 (Craniof.. 2025. 1. 30. [외치이야기-22] 백팩을 지고 다닌 외치 발굴 현장에서 발견된 유물들을 복원한 결과로는외치는 백팩을 지고 다녔다. 복원된 백팩 모양을 보면 현대의 등산용 백팩과 매우 유사한 모양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만든 백팩으로 나무 장작 등을 날랐을 것이라고 이야기 하는 것을 보면, 한국에서는 같은 용도로 발달한 지게에 해당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앞에서 이야기 했듯이 외치는 도끼를 가지고 있었다. 이 도끼는 청동제가 아니다.구리도끼다. 주석이 섞이지 않은 순동이라는 뜻이다. 구리 순도가 99.7프로라고 하니 아직 청동기가 발명되지 않았을 때이다. 동아시아의 경우 금속 사용이 늦은 편이라유럽만 해도 이 시대는 선사시대인에 이 산골짝에 사는 외치님도 구리 도끼를 쓰셨다. 무려 5천년 전이다. 이 도끼로는 아마도 복제품이겠지만 도끼를 찍어 본 .. 2025. 1. 30. 루마니아 국보 도난 당한 네덜란드 드렌츠 박물관 이번에 엄청난 유물이 털렸다는 드렌츠 박물관. 네덜란드에 있는데 필자는 여기 한 번 다녀온 적이 있다. 여기에 유럽 철기시대 미라인 Bog Body 중 유명한 Yde Girl이 모셔져 있기 때문이다. 드렌츠 박물관이 크게 털렸다고 해서 당시 방문 때 찍은 사진을 좀 소개해 둔다. 이런 드렌츠 박물관이 털렸다니 어안이 벙벙하다. 여기는 그냥 마을 광장 대로변에 있어서 도저히 도둑놈이 들어올 만한 곳이 아닌 것 같은데.박물관은 아주 있어 보인다.세련되고 폼난다. 빨리 도둑놈들이 잡혔으면 좋겠다. *** related article ***박물관 입구 때려 부수고 루마니아 국보 강탈 유럽 철기시대의 사형수들 (1) 유럽 철기시대의 사형수들 (1)신동훈 (서울의대 생물인류학 및 고병리학 연구실) 20.. 2025. 1. 29. 이전 1 ··· 6 7 8 9 10 11 12 ··· 3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