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102

위대한 독자가 명작을 만든다 인문학 논픽션 저작에 평소에 관심이 많아 관련 국내외 서적을 섭렵하는 편인데전반적으로 국외와 국내 작품들이그 문제의식이나 논의의 수준에 있어 차이가 상당히 크다.물론 이것은 그 책을 쓴 당사자, 인문학자의 수준에서 비롯한다고 할 수 있을지 어떨지 모르겠지만 필자가 보기엔 이건 인문학자 자신의 수준 때문도 있겠지만 일차적으로 독자들 수준 탓이 더 크다. 인문학 대중화가 많이 이야기 되면서 소위 말하는 말랑말랑한 저작이 인문학에도 많아졌는데--.그런데 말이다. 쉽게 쓴다고 하는 것이 반드시 인문학 대중화의 본령은 아니라는 생각이다. 요는 조금 어렵게 깊게 이야기를 써도 독자들이 반응을 해줘야 하는데 그렇지가 않은 경우가 아주 많다. 우리나라-. 이런 이야기 하면 기분들 나쁘시겠지만기본적으로 책을 너무 안 읽.. 2024. 12. 16.
흘러가는 시간은 잡을 수가 없다 한 사람 인생에서 흘러가는 시간은 잡을 수가 없다. 오늘 준비하지 못한 결과가 5년 뒤에 계산서를 들고 나를 찾게 되어 있다. 그래서 연구는 1-2년 만 손에서 놓아도 추격이 불가능하다. 정치판 뛰어 들어 몇 년씩 연구실을 비우다 돌아와서는 다시 연구가 된다? 둘 중 하나다. 연구가 엉터리거나그 연구 분야 전반적 수준이 문제거나. 제대로 돌아가는 분야 연구 수준은 1-2년이면 너무 많이 바뀌어 추격이 어려울 정도다. 4-5년을 정치판에서 놀다가 돌아와도 여전히 일을 할 수 있다면그건 그 분야 자체의 수준이 후져서 그렇다. 이건 한 개인 인생에서만 이런 것이 아니고, 사회나 국가에서도 마찬가지다. 국가의 흘러가는 시간은 잡을 수가 없다. 5년 뒤를 준비하지 못하는 사회는 도태되게 되어 있다. 요즘 세계 기.. 2024. 12. 16.
[연구실 소식] 2024년 발표 논문 제목의 Word Cloud 2024년도 저물어 간다. 올해 발표한 논문 제목으로 만든 Word Cloud 다. 작년은 아래와 같았다. 연구 주제에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고 생각하고 그것이 Word Cloud에 많이 반영되었다고 본다. 하지만 아직도 Dry Lab으로의 이동양상은 뚜렷하지 않다. 시간이 더 걸리지 않을까 한다. 2024. 12. 15.
한국사의 세 번째 키워드: Self-Governance 이건 한국어로 번역이 참 애매하다. 한국사에는 Self-Governance에 대한 집착이 매우 강한데, 이건 자주성이라 그냥 번역하기도 애매하고, 미묘한 뉘앙스가 있다. 써 본다면, 한국사는 한 번도 제국을 칭해 본 적이 없는 데서 알 수 있듯이 패권국가를 지향한 적이 없다. 물론 고구려나 고려 초기에 그것과 비스무리한 뭔가를 지향한 흔적은 있지만 그런 시대에도 중국쪽 헤게모니 국가에 대해서는 사대를 했기 때문에 완전한 패권국가이자 외부의 통제를 벗어난 국가의 위상을 누린 시기가 참 드물다 할 것이다. 그럼 그것으로 끝이냐-. 한국사는 그렇다면 일제시대 식민사학자들 이야기 대로 종속성이 특징이냐, 그것은 물론 아니고.저 Self-Governance에 대한 희구는 무척 강했다 할 것이다. 무슨 말인고 하니.. 2024. 12. 15.
한국사의 키워드 두 개가 합쳐지면 벌어지는 일들 이전에 잡문 삼아 쓴 글에 필자가 생각하는 한국사의 키워드 1은 가난, 2는 나라가 망할지도 모른다는 불안, 두 개를 들었다. 이 두 개가 실제로 합쳐져 역사에서 작동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공적 분야의 강화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여말선초. 북로남왜로 상징할 만한 외란이 남북에서 밀어닥칠 때,이런 환경에서 "송곳 꽂을 만한 땅도 없다"라는 말은 농민들이 농사 지을 땅이 없다는 뜻이 아니다. 이 외란을 방어하려면 재원이 필요한데 이 재원을 마련할 길이 없다는 뜻이 되겠다. 그러면 나올 수 있는 해결책은 사전혁파와 공전강화 밖에 없다. 그것이 필자가 보는 바 과전법체제다. 고려초기 전시과체제를 보자. 왜 전시과체제가 나왔을까? 라말여초를 풍미하던 공전의 붕괴를 두고 볼 수 없었기 때문이다. 왜 그럴까? .. 2024. 12. 15.
[연구실소식] 금일 발표 이미 알려드린 대로 오늘 한일관계사학회에서 위 내용에 대한 발표가 있다. 필자는 이 블로그에 여러번 밝힌 대로 기존의 Wet Lab 연구에서 Dry Lab 연구로 전환하고 있는 바 이 발표도 그 연구 일환이다. [연구실 소식] 東海道中膝栗毛 한일관계사학회 발표[연구실소식] 새 논문 출간: 동아시아 돼지 사육의 기원과 확산 - 동물고고학 연구의 최신동향을 중심으로 2024. 12.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