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428 [고고학 국제저널]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과 그 인연 앞서 이원준 박사와 함께 나간 논문을 서칭한다고 하다가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에 실린 필자 연구실 논문을 확인해 본 바, 그간 총 6편이 나간 사실을 새삼 확인했다. 2009년에 최초의 논문이 나갔고, 마지막 논문이 2014년이다. 내가 이 잡지에 이렇게 많이 냈나 싶다.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는 고고과학계에서는 그래도 flagship journal이라 할 수 있다. Science Nature 같은 명성의 잡지는 아니라 해도 각 분야에서 기본적으로 먹고 들어가는 학술지들이 있는데JAS가 바로 그런 잡지다. 필자가 한참 투고하던 당시만 해도 JAS 하나만 있었는데 그 중 짧은 케이스 보고는 학술지가 독립하여 Journal of Ar.. 2025. 7. 27. 얼굴복원 facial reconstruction 이야기 얼굴복원을 근간 김단장께서 올리신 바, 최근에는 이 복원을 많이들 하고 있어 거의 모든 그럴 듯한 발굴에는 항상 따라나오는 것 같은데, 사실 이 얼굴복원은 필자의 연구진도 상당히 빨리 시작한 터라필자와 공동연구를 한 이원준 박사가 그 주인공이 되겠다. 이원준 박사는 현재 근무지인 국립과학수사연구원으로 가기 전부터 필자와 공동연구를 했는데발굴 인골에 대한 얼굴 복원으로 논문이 계속 나갔고이것은 전체 고고과학에서 이루어진 얼굴 복원 중에서도 상당히 빠른 편이니 그렇게 빨라진 것은 무엇보다 이원준 박사가 이 컴퓨터로 하는 얼굴복원의 사실상 파운더라 할영국 던디대학에서 얼굴복원으로 학위를 받고 귀국했기 때문이었다. 이원준 박사의 얼굴복원은 국제적으로도 상당히 이른 시기에 큰 업적을 남긴 작업이었는데그 당시에도 .. 2025. 7. 27. 폴포트도 아닌데 19세기 말 변혁의 주체가 농민이라? 19세기 말 한국사회의 주체가어떻게 "농민"이 될 수 있는가. 19세기 말 한국사회의 변혁의 방향이 "토지균분"인가? 이건 완전히 난센스에 가까운 역사 인식으로한국이 식민지화를 걸은 것은 "농민"이 중심에 서지 못해서가 아니라 다른 제국주의 국가에서 다 일어났던 시민혁명소위 부르조아 혁명이 일어나지 못했기 때문에 식민지가 된 것이다. 왜 시민혁명까지 가지 못했나? 중세사회의 해체가 늦었기 때문이다. 18세기 중엽부터 허겁지겁 시작했지만 결국 19세기 말, 시민혁명, 부르조아 혁명의 단계에 진입하기에 역부족이었기 때문이다. 이걸 명확히 하지 않고는 폴포트도 아닌데 무려 농민혁명이라는 듣도 보도 못한 개념을 창출해서이걸 역사의 중점에 두고는 이것이 실패해서 식민지로 갔다는게 한국근현대사의 주장이고, 이 농민.. 2025. 7. 27. 부르조아 혁명도 없이 대동사회로 간다는 한국 근현대사 우리나라 역사 기술을 보면필자의 느낌은 이렇다. 조선시대 후기에 열나게 자본주의 맹아, 근대의 맹아, 화폐경제, 민중의 성장 등을 있는 것 없는 것 다 끌어모아 기술하다가 19세기 말부터는 느닷없이 부르조아 혁명 시민 혁명단계를 건너뛰어 민중혁명인지 대동사회로 가는 "농민혁명"인지 정체불명의 혁명을 기술하다가그것이 실패하여 일제 식민지시대로 간다고 기술한다. 그렇게 식민지 치하에서 신음하다가 해방 이후 외세에 의해 분단되어 해방직후 자주적으로 독립국을 세우려던 (건준과 인공) 꿈이 좌절하고분단시대로 들어가 이번에는 독재에 신음했는데민중들이 열심히 노력하여 산업화와 민주화를 이루어 오늘에 이르렀다 이거다. 한국근현대사 기술이 이것이 아니라면 무언가 이게 도대체 일관성이 있는 소리며 말이 되는 소리라고 보는.. 2025. 7. 27. 19세기를 바로 보기 위해서는 민중, 농민이라는 용어부터 자제해야 우리나라 19세기 역사를 기술하는 과정에서민중과 농민이라는 용어가 너무 남발되는 경향이 있다. 민중과 농민이라고 쓰는 순간 연구 대상이 모호해지며도대체 누구를 지칭하는것인지 분명해지지 않고 그 다음부터 쓸데 없는 이데올로기적 편향이 들어가 논문이 아니라 정치 격문이 된다. 예를 들어 동학농민전쟁여기서 농민이라는 말은 필요 없는 단어다. 동학의 주체가 누구인지는 아직 확실히 드러나지 않았다고 본다. 여기에 농민 혹은 민중이라는 말로 덕지덕지 붙여 놓아 이 전쟁의 근대성이 확고히 드러나지 않은 상태라고 보기 때무이다. 예를 들어 전봉준.전봉준의 출신과 혁명과정에서 그의 행동을 보면이 사람은 농민이라는 말로 간단히 재단하기 어려운 사람이다. 아니 이 사람 뿐 아니라 동학운동의 지도자급 사람 대부분이 마찬가지인.. 2025. 7. 27. 18세기 탕평론과 경화사족 18세기 들어서는 소위 지방 사족들이 거의 등용되지 않아 이 시점이 되면 흔히 말하는 영남 소외론이 나오는 시기인데 사실을 보면 영남만 문제가 아니라 우리나라 지방 사족들은 죄다 개털이 되던 시기가 바로 18세기 이후라 꼭 영남소외 만이 문제가 아니었다 하겠다. 18세기를 주름잡은 소위 탕평론이게 무슨 경상도 남인하고 기호지역 서인이 잘 지내보라 그 소리가 아니다. 어차피 18세기 들어오면 지방은 죄다 개털이라 각 당파에서도 소위 정치를 주름잡는 씨족들은 죄다 서울 근교 소위 10리 안에 거주하며지방사족과는 뚜렷이 다른 모습을 보여주는지라이때가 되면 그것이 서인이건 남인이건 간에 서울 근교에 사는 사족들이 바로 경화사족, 그리고 이들 경화사족끼리 싸우지 말고 한 번 잘 해보라는 것이 탕평이지 다름 아니다.. 2025. 7. 26.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40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