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475

고대 음식의 대체재 닭과 꿩 사슴과 돼지 어느 한 쪽이 올라가면 다른 쪽 소비가 줄어든다. 조선시대 일기를 보면 한번 꿩 사냥 나갔다 하면 100마리씩 잡아왔고 이런 사냥을 한 달에도 여러 번 나갔다. 닭을 키울 이유가 없었던 셈이다. 조선시대 아마 닭은 달걀 때문에 키웠을 것이다. 일기를 보면 닭잡아 먹은 기록보다 꿩 고기 먹은 기록이 더 많고 구한말까지도 닭값보다 꿩값이 더 쌌다. 우리가 지금 보는 대규모 양계장은 일제시대에 처음 모습을 보였고 지금처럼 국민 육류의 자리를 차지하게 된 것은 80년대 이후이다. 70년대까지도 닭은 "영양센터"에서 팔았다. 사슴과 돼지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어차피 둘 다 평민들에게는 맛보기 어려웠겠지만, 사슴고기를 쉽게 구할수록 돼지사육은 줄어들고, 사슴이 드물어질수록 돼지 사육은 늘게 .. 2023. 8. 6.
돼지 사육이 늘면 사슴 고기 소비가 줄어든다 중국의 동물고고학 보고를 보면 사슴 뼈가 줄어들면서 돼지 뼈가 늘어나는 현상이 뚜렷하다. 이 둘은 서로 대체재였다는 이야기다. 단백질 공급원으로 사슴이 줄어들어 돼지를 키우기 시작했거나, 돼지를 키우면서 사슴 사냥을 할 필요가 없어졌거나 그렇다. 우리나라 발굴현장에서는 상당히 후대까지 사슴뼈가 많이 나오는데 돼지 사육이 상당히 후대까지도 보편화하지지 못했다는 이야기다. 고구려 수렵도에서 사슴 사냥하는 모습을 보면서 호쾌하게 느끼지만, 이 그림은 당시 고구려에 돼지 사육이 활발하지 않았다는 사실도 말해준다. 삼국사기를 보면 고구려 돼지는 주로 제사와 관련한 기록에서 나오는데, 돼지 사육은 제사를 위해서 제한적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말하는 것이다. *** Editor's Note *** 동물 곤충이라면 환.. 2023. 8. 6.
중국에서 동물 사육의 순서 중국에서도 동물 사육 순서는 아래인 듯하다. 개-- 돼지, 닭-- 소, 양, 염소--말 한반도 남부지역에서도 비슷한 순서 아니었을까? 개는 신석기시대에 이미 있었을 것 같고, 돼지는 필자 생각으로는 다른 동물보다 사육 시기가 올라간다. 청동기시대에는 개, 돼지 정도가 사육동물이 아니었을까 싶고, 소와 말은 이보다 도입시기가 늦을 것 같다. 대략 사육동물이 이 순서대로 도입되는 것은 중국, 한국, 일본이 모두 비슷하지 않았을까 싶은데, 실제로 이런 순서대로 도입되는 이유는 경제적 이유가 컸을 것이라 생각한다. 키울 능력이 안 되면, 정주영이 북한에 소를 가져다 줘도 다 잡아 먹고 끝나는 법이다. 돼지가 비교적 일찍 도입되는 이유, 소와 말이 늦게 도입되는 이유가 있었을 것이다. *** Editor's No.. 2023. 8. 6.
노인과 바다 The Old Man and the Sea by Ernest Hemingway 내가 헤밍웨이의 이 책을 처음 읽은 건 고둥학교 때인가 한글 번역판이었는데 그 당시에도 이 책의 분위기를 좋아했던 기억이 있다. 그 당시에는 노인을 좋아했던 "소년"의 시각에서 이 책을 봤던 것 같은데, 요즘 이를 다시 읽는데 이번에는 저작권이 풀려 인터넷에서 얼마든지 구할 수 있는 영어판 E book을 다운받아 보는데, 나이가 환갑을 바라보니 이 책을 노인의 입장에서 읽게 된다. 거참. 젊을 때 읽었을 때와 이 책의 분위기가 이렇게 다를 수 있는가 싶다. ‘When I was your age I was before the mast on a square rigged ship that ran to Africa and I have seen lions on the beaches in the evening." .. 2023. 8. 4.
퇴계와 강항이 일본에 전해 준것 퇴계와 강항이 일본에 전해 주었다고 한 것은 무엇인가? 주자학인가? 퇴계와 강항이 일본에 전해 준 것은 "주자학"이 아니다. 정확히 말하면 "주자학에의 입도의 문"을 알려준 것이다. 퇴계건 강항이건 주자학 이론에는 벽돌 하나도 더한 것이 없다. 또 일본인들이 주자학 이론을 처음 접한 것도 퇴계나 강항에 의한 것이 아니다. 일본인들 역시 주자학 이론은 그 이전에 이미 전해 듣고 있었다. 왜? 주자학을 접한다는 게 별 게 아니다. 사서집주만 수입해도 주자주가 붙어 있기 때문에 성리철학은 접하지 않을래야 않을 수가 없다. 일본에서 주자학은 가마쿠라 시대에 전래되었다던가 하는 주장이 있는데 바로 그런 의미다. 당연히 중국에서 사서집주만 들고 와도 주자학은 전래된다. 그 책에 그렇게 들어가 있고 책을 보는 한 주.. 2023. 8. 4.
일본 근대 학문의 기원 우리가 앞으로 반드시 규명해야 할 것의 하나가 일본 근대학문의 기원이다. 우리는 이것을 에도시대의 난학 정도로 뭉뚱그려 피상적으로 보고 치워버리는 경향이 있는데, 에도시대의 학문수준은 17세기 후반에 들어가면 조선을 확실히 앞지르고 있었다. 그리고 그 학문이라는 것도 난학만이 문제가 아니다. 심지어는 조선이 자신있어 할 만한 유학-경학 분야에서도 일본은 조선을 확실히 압도하기 시작했다. 이 흐름이 이어진 것이 19세기 메이지시대로 일본 과학은 19세기 말이 되면 이미 유럽의 과학을 거의 추격하여 노벨상이 제정된 초기에는 의학-생리학상 후보로 일본인이 거론될 정도였다. 우리는 인문학도 왜 일본의 학문이 한국의 학문을 그렇게 오랫동안, 해방 이후에도 한국을 압도하고 있었는지 그 기원을 추적하는데 지금까지 실.. 2023. 8.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