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118

연구실 논문 신간: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을지대 오창석 교수와 공동으로 작업했고 다른 공동연구자분들도 참여하신 연구가 최종 출판되었습니다. Updates on parasite infection prevalence in the Joseon period based on parasitological studies of human coprolites isolated from Oh, Chai, Min, Oh, Seol, Song, Shin, and Seo: Updates on parasite infection prevalence in the Joseon period based on parasitological studies of human coprolites isolated from archaeological sites in the cities of E.. 2023. 2. 28.
비전일제 대학원생 모집 서울의대 생물인류학 및 고병리학 연구실은 조선시대 인골 등을 대상으로 당시 우리 조상님들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육안 분석과 통계학적 검토를 주 기법으로 당시 사람들의 건강과 질병에 대한 내용에 대한 연구가 주 내용입니다. 연구실 관련 정보는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s://paleoshin.blogspot.com/ Bioanthropology and Paleopathology in Asia Dong Hoon Shin. Professor and Chair, Lab of Bioanthropology, Paleopathology and History of Disease (also Comparative Anatomy and Zooarchaeology Lab), Dept of.. 2023. 2. 28.
경희대 홍종하 교수 국가 중견연구비 지원 받게 됨 우리 연구실 출신 홍종하 교수 (경희대 연구교수)가 동물고고학에 대한 연구로 향후 3년간 중견연구자로 국가지원을 받게 되었다. 본인이 열심히 한 덕이 가장 크고, 홍 교수 작업이 고고학 및 융합연구 분야에서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는 것을 인정받았음을 보여주는 쾌거라 하겠다. 우리 연구실을 거쳐간 오창석 (을지대) 교수와 홍종하 (경희대) 교수가 착실하게 학계에 뿌리 내리고 있는 것 같아 매우 기쁘다. 앞으로 고고학계에 중요한 기여를 하는 재목으로 두 사람 모두 대성하기를 빈다. *** 편집자注 *** 홍 교수 본인은 그의 fb 계정에 이 일을 이렇게 썼다. 오늘 2023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 지원사업 (3년)에 선정되었다는 알림을 받았습니다. 많은 분들의 도움이 있어 이뤄낸 성과라고 생각합니다. 더욱 열.. 2023. 2. 27.
일본학계에의 투고 이전에도 한 번 이야기 한 듯한데, 우리 연구실은 그동안 논문 투고는 거의 영어와 국문으로만 이루어졌다. 최근에는 필자의 연구 주제가 약간 방향을 틀면서 일본학계와 관련된 부분이 많이 생기게 되었다. 이 논문들은 투고하기가 참 까다롭다. 우선 영어권 독자들은 관심이 없다. 한국과 일본 이야기가 어떤 것인지 관심을 갖는 독자들이 거의 없다는 말이다. 양국의 고고학-인문학자들이 영어권 논문을 거의 읽지 않는 점을 감안하면 이 주제의 논문을 영어로 써 내는 것은 사실상 사장된다는 말과 같다. 국문으로 쓸 수도 있겠지만, 이 경우 관련 당사자인 일본 학계의 반응을 받기가 좀처럼 쉽지 않다. 개인적인 느낌이지만 일본 학자들의 경우 국문 학술지를 매우 선택적으로 읽고 있다는 생각이다. 결국 관련 연구자가 읽지 않는.. 2023. 2. 26.
AI가 한시를 해석하고 떠오르는 정경을 그리다 간단하게 고문진보에 있는 유명한 시: 위응물의 夕次盱眙縣를 해석케 해 보았다. 노란색이 필자의 질문이다. Can you help translating the poem of classic Chinese? Sure, I'd be happy to help! Please provide the original Chinese poem and let me know which language you would like it translated into. 신동훈 For English first Great! Please provide the Chinese poem you would like translated, and I'll do my best to translate it into English for you. 신동훈 .. 2023. 2. 24.
AI에 "자아"는 언제 출현하는가 생각해 보자. 프로이트적 설명에 의하면, 사람의 의식세계에 "본능"과 "자아", 그리고 사회적 규범을 상징하는 "초자아"가 출현하고 작동하게 되는 것은 결국 사람이 사회생활을 하고 이로부터 구속받기 때문이다. 개인이 사회생활을 하면서 받는 이득이 자기 맘대로 활동할 때 얻는 이득을 초월하면서 자신의 본능을 누르고 초자아와 본능을 타협시키기 위해 "자아"가 출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설명은 프로이트적이기는 한데, 지금도 상당히 유용한 접근법이라고 본다. AI에도 "자아"가 만들어질까? 그렇다면 언제부터 "자아"가 출현할까? 결국, 인간이 AI에 대해서 규제하는 부분이 많아질수록, AI 스스로의 결론과 인간의 규제를 타협시키기 위해 "자아"는 필요할 수 밖에 없다는 말이다. AI는 어떤 규제도 없이 그대로 발.. 2023. 2.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