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226 국경의 변화와 전염병 근대국가는 국경에서의 체계적 검역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문에 제국주의 국가 침탈도 국경선에서의 검역관리라는 모습으로 들어올 때가 있다. 일본도 구한말 조선에 대해 검역관리를 이유로 국권침탈을 시작했고 조선이나 중국이나 모두 개항 이후 가장 서두른 것이 바로 검역이었다. 언젠가 김 단장께서도 비슷한 이야기를 하신 것으로 기억하는데 근대국가의 전환은 곧 국경선 모습의 변화이기도 하다. 전근대시대 국가간 경계가 꼭 이렇다는 보장은 할 수 없겠지만 이 당시 국가간 경계는 공지를 두어 관리를 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본다. 지금처럼 국경선이 국가간 영토가 맞닿는 선의 모습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경계 사이에는 공지를 둔다는 것이다.이런 국가간 국경선에 두는 공지의 기원은 한국사에서는 멀리 고조선시대에도 볼 수 있.. 2025. 2. 19. 유조변이 만든 공지: 전염병의 장벽 조선시대 육로를 통한 중국 사행길을 표시하는 이 지도를 보면, 동쪽으로 이어진 중국의 경계가 압록강과 거리를 두고 남하하다가 압록강 어귀에서 만다는 것을 본다. 이것이 소위 말하는 유조변柳條邊으로 봉금封禁 지역으로 못 들어가게 하기 위한 경계선으로 안다. 조선과 청나라는 국경을 서로 맞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양국의 국경은 공식적으로는 압록강과 두만강이었지만, 조선측 국경인 압록강을 넘어 저 유조변 안쪽으로 들어가기 전에 몇 십 킬로미터에 걸친 공지를 거쳐야 했던 것으로 안다. 조선 쪽에서는 압록강을 넘어 저 안으로 들어가는 데는 모종의 허가가 필요하며, 이는 중국 쪽에서도 마찬가지로 저 유조변 바깥으로 나가지 못하니 곧 유조변의 동쪽이 소위 말하는 봉금지역이 되겠다. 이 공지 아닌 공지가 우리에게 남긴.. 2025. 2. 17. 상식에 겸허해야 하는 전문가 전문가는 쉽게 볼 수 없다. 어떤 분야이건 자기 일을 삼십년씩 하는 사람들이라면, 그가 진지하게 자신의 일에 몸바쳐 몰두했다면 삼십년 후에는 그가 도달한 지점은 쉽게 볼 수 없다. 어쨌건 우리나라도 해방 이후 칠십년이 넘었고 또 해당 분야 수준도 많이 높아졌기 때문에 해당 분야의 전문가라고 한다면귀기울여 들어야 할 부분이 분명히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자기 일을 삼십년씩 진지하게 한 사람들이라면상식에 준하여 하는 비판이 얼마나 아픈 것인가 하는 부분을 잘 알 것이다. 사실 전문가에게 가장 무서운 질문은 해당 분야의 전문가로부터 나오지는 않는다. 나올 질문이 뻔하기 때문이다. 필자도 논문을 투고하면 제대로 된 심사자가 심사평을 낸다면 그 심사평의 80-90프로는 그 내용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 2025. 2. 16. 내재적 발전론이 제자리를 맴도는 이유 필자가 대학 다닐 무렵 화두는 한국근대사의 내재적 발전론이었다. 광작, 자본주의의 맹아, 화폐경제 등 내재적 발전론을 뒷받침하는 많은 이론들이 이 시기에 양산되어 나왔다. 그런데-. 지금 그 시절부터 무려 40년이 지났는데 여전히 제자리를 맴돌고 있고 때로는 이 이야기가 정말 사실을 반영한 것인가 하는 의문이 꼬리에 꼬리를 문다. 왜 그럴까. 사실에 대한 검토가 제대로 수행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일본의 경우 에도시대의 모습과 한말 조선의 모습은 엄청난 차이가 있다. 여기 김 단장께서도 쓰셨지만 필자 역시 소위 내재적 발전론의 화폐경제와 자본주의 맹아론은 아직도 확신하기 어렵다. 좀 더 냉정하게 처음으로 다시 돌아가야 할 때다. 언젠가 썼지만, 이제는 한국인이 바보라고 보는 사람들은 전 세계에 없다. 좀 .. 2025. 2. 16. 야요이인 논쟁에 한국 학자들이 참여해야 일본의 야요이인 논쟁에는 한국 쪽 학자들 참여가 필요하다. 결국 한국 쪽 이야기가 없으면 야요이시대에 대한 논의는 반쪼가리가 될 수밖에 없다. 야요이인이 한반도에서 갔네 안갔네 아무리 떠들어 봐야한반도를 모르면 전부 공염불이기 때문이다. 한국 사람을 모르는데 여기서 일본으로 갔는지 안 갔는지 어떻게 증명하겠는가? 결국 야요이인 논쟁은 한국 학자들이 대거 참여해야 하는 주제다. 야요이인 논쟁은 일본사이기도 하고 한국사이기도 하고 그렇다. 우리가 외면해서는 안 되는 주제다. 2025. 2. 15. 일본에서 조몬 농경론 밑밥을 까는 이유 일본에서 나오는 주장 중에 조몬 농경론이라는 게 있다. 조몬시대, 흔히 생각하듯이 수렵채집만 한 것이 아니라 원시적이긴 하지만 초보적 농경이 있었다는 것으로 잡곡이나 도작 농경 같은 것은 아닐지라도 팥이라던가 녹두 등 쉬운 작물 재배는 있었다는 것인데, 이런 작물도 아마도 한반도에서 들어온 것일 것이다, 라는 전제를 깔기는 한다. 일본에서는 왜 이렇게 조몬농경론縄文農耕論에 집착하는 것일까? 필자가 보기엔 우리나라에서 신석기시대 농경론을 입증하기 위해 애쓰는 정도보다일본에서 조몬 농경론을 입증하고자 하는 시도가 훨씬 집요한 것 같다. 글쎄-. 필자가 보기엔 일본에서도 조몬시대 초보적 농경이 있었다는 주장이 사실이더라도 이게 뭐 대단한 농경이 아니라는 것은 그쪽도 잘 안다고 본다. 문제는 이러한 초보적 .. 2025. 2. 15. 이전 1 ··· 26 27 28 29 30 31 32 ··· 37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