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139

돌이켜 보는 《논어고금주論語古今註》 독후감 소위 다산경학이라고 하면 다산 저작 중 사서삼경 주석을 말하는데 다산 전체 저작 중 그 분량이 꽤 된다. 《논어고금주論語古今註》는 한글번역판이 여럿 나왔고 번역원에서는 온라인에 국한문 대조가능한 버전으로 올려놓았다. 처음 논어고금주를 읽을 때 기대가 컸다. 다산경학을 이야기 할 때 항상 나오는 평은 지금도 인터넷을 찾아보면 많이 있다. 그 중 몇개를 구체적으로 여기 인용해 놓았다가는 그 평을 쓴 분 개인에게 누가 될 수도 있어 따로 인용은 하지 않겠다. 아무튼. 《논어고금주》를 읽기 전에 이 책에 대한 평이 하도 좋아 나는 그래도 오규 소라이까지는 아니더라도 자유분방한 논어 주석을 기대했다. 《논어고금주》를 일독한 후 나는 비로소 알았다. 내가 완전히 속았다는 것을. 논어고금주에 보이는 다산은 주자의 말.. 2023. 1. 16.
다산을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필자는 다산을 폄하하고 싶은 마음은 없다. 필자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다산 폄하가 아니다. 아래에 간단히 생각을 요약해서 써둔다. 문: 그렇다면 다사는 대학자가 아니라는 말인가? 답: 대학자가 맞다. 그것도 퇴계, 율곡 다음으로 들라면 그 저술의 방대함이나 완성도로 볼때 당연히 대학자로 추앙해도 된다고 생각한다. 문: 그렇다면 무엇이 문제인가? 답: 다산이 대학자라는 것은 어디까지나 조선에 국한할 때의 이야기라는 것이다. 다산은 당시 자신이 처한 환경에서 최선을 다했겠지만 그가 소속된 조선이라는 나라 자체가 이미 18세기말-19세기초에는 동아시아에서도 "이류"가 되어 있었다. 비단 경제적인 측면 뿐 아니라 우리가 그래도 유교경전이라면 좀 상황이 다르지 않았나 싶게 여기는 소위 동양학 인문학의 분야에서도 .. 2023. 1. 15.
다산의 흠흠신서: 그 과대 평가가 유지되는 이유 다산의 흠흠신서는 앞에서도 썼지만 엄청나게 과대평가 되어 있는 책이다. 우리 사회의 이런 과대평가가 어떻게 유지되고 있는지 한 번 써 보겠다. 1. 우선 어떤 분들은 다산의 흠흠신서를 읽어 본 사람들은 무원록을 본 적이 없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다산이 흠흠신서에 써 놓은 이야기 이전에는 이런 이야기들이 없는 줄 안다. 실제로 범죄사건이 발생했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는가 하는데 대해서는 꼼꼼한 교범이 문서양식까지 첨부되어 이미 통용되고 있었다. 이런 책들이 있는 줄을 모르고 흠흠신서를 보니 그것이 대단한 줄 아는데 오히려 다산의 흠흠신서는 실무에 쓰기에는 부족함이 많은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경우는 대개 다산의 흠흠신서만 죽도록 판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흠흠신서는 잘 아는데 다른 책이 있는 .. 2023. 1. 15.
다산의 시대, 이미 조선은 학문수준에서 동아시아 꼴찌였다 다산이 활동하던 18세기 후반- 19세기 초반. 이미 조선은 학문수준에서 동아시아 꼴찌였다. 조선선비들이 죽도록 한 거라면 책읽는 거라 다산이 활동하던 시기에 그래도 유교경전 하나는 수준있게 이해하지 않았냐 싶겠지만, 천만에. 다산의 시대. 조선은 학문수준에서 이미 동아시아 꼴찌였다. 다산 자체가 부정되어야 18-19세기의 한국의 상황이 보인다. 학문수준에서 이미 다른 나라에 내세울 수준이 안 되는 인물을 굉장한 대학자로 전가의 보도처럼 써먹으려 드니 18-19세기 조선의 상황이 제대로 안 보이는 것이다. 2023. 1. 15.
다산이 당대 조선 최고의 지식인은 맞다 하지만.. 그가 가진 사상이 근대화와는 별 상관도 없고, 유학자로서 박학다식하여 이것 저것 모아 엮은 박학다식-백과전서파의 지식인었지만, 그조차도 같은 시기 중국과 일본의 당대 지식의 수준보다 떨어지는 것이었다면, 다산의 가치는 도대체 어디서 찾아야 하는 것일까? "다산신화"도 이제 "세계화"의 냉정한 평가의 대상이 되어야 할 때가 되었다. 다산은 지금 한국사에서는 "벌거벗은 임금님"이나 다름없다. 누구도 잘 모르면서 대단하다고 이야기 한다. 어디가 대단하냐고 물으면 대답을 못한다. 그러면 대단한 게 맞기는 맞는지 한 번은 의문을 가져야 옳지 않겠는가? 2023. 1. 14.
읽어보지도 않고 칭찬하는 다산 다산에 대한 평론서 태반은 재대로 읽어보지도 않았거나 읽어 봐도 다산이 쓴 책만 보고 쓴 내용이 태반이다. 쉽게 말해서 다산이 한 주장이 유학사 전체 줄기에서 얼마나 다른 것인지, 구체적으로 다산이 뭐라고 했는지도 제대로 모르면서 쓴 글이 태반이라는 소리다. 다산에 대한 평가는 바닥부터 다시 해야 한다. 2023. 1.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