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471

2차대전의 전개와 해방전후사 물론 우리의 운명을 다른 나라들이 전적으로 결정한다는 것은 기분 나쁜 일임은 틀림없다. 하지만 해방정국을 이해하는 데 있어 반드시 필요한 2차대전은 뚝 잘라서 버려버리고, 2차대전 이후 해방된 이후만 잘라 항복한 일본군 무장해제를 위해 진주한 미군을 점령군 운운은 웃기지도 않는 논리이다. 어제까지 일본제국 조선총독부 관할이던 지역을 1945년 8월 15일 이후, 일본과의 전쟁에서 뭘 했는지도 모르는 사람들이 자기들이 민의를 수렴해 만들었다고 주장하는 건준과 인공을 들이대며 이것을 한국정부로 인정하지 않으면 미군은 점령군-정복자라고 우겨댄다면, 그런 논리가 어디있나? 해방전후사의 인식의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1937-1945년까지 세계대전의 이해가 가장 우선적이며 그 안에서 한국의 독립을 설명해야 한다... 2023. 6. 24.
해방전후사와 한국전쟁의 기원 기본적으로 이 두 책은 실증적인 연구인 것처럼 보이지만 팩트의 해석 자체가 문제가 있는 책이다. 《해방전후사의 인식》(해전사》은 크게 보아 내용이 아래 세 가지다. (1) 이승만 욕 (2) 건준 옹호 (3) 토지개혁의 해석의 편파성. 남한의 "유상몰수 유상분배"에 대한 왜곡. (1)과 (2)는 통해 있고, 당연히 미군정 욕으로 이어진다. (3)은 그 후 사구체 논쟁에서 이른바 남한사회를 식민지반봉건사회로 보는 NL의 세계관의 남상을 이루는 것이다. (3)은 이미 남한의 선진국 진입과 북한의 거지화-몰락에 의해 뻥이란 것이 증명되었으므로 부연할 필요 없다. (1)과 (2)가 문제인데, 이 논리가 먹히려면 한 마디로 전술한 바와 같이 2차대전 종전 이전까지 미군의 역할을 일체 무시하고 리셋하지 않으면 불가능.. 2023. 6. 24.
일본의 조건부항복과 카이로선언 아주 간단한 질문인데 여기에 대해서는 동향분석이 한 번도 없었다. 필자의 짐작이지만, 일본이 시도하려 했을 "Conditional Surrender"에는 조선을 독립시키지 않는 내용이 틀림없이 있었을 것이라 본다. 일본이 핵심이익을 모두 포기한다고 할 때 재기의 발판은 결국, 조선, 대만의 영유와 천황제유지, 그리고 미군의 일본 진주 거부, 자발적 무장해제 등이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일본은 대전 말 태평양일대에서 계속 완강히 저항하면서 저 조건부 항복을 끊임없이 들이밀었을 것이라 보는데, 저 문제에 대해 제대로 된 연구가 거의 없었던 것 같다. 2차대전 중 한국의 독립이 공식화 된 것은 카이로선언의 다음 문구이다. We are mindful of the treacherous enslavement of t.. 2023. 6. 24.
일본의 "무조건" 항복 워낙 일본의 항복 임팩트가 강하다 보니 "무조건"이라는 말에 우리는 둔감하기 쉬운데, "무조건"이라는 말은 "조건부 항복"이 있었다는 말이다. 일본이 질 때 지더라도 미국에게 관철하려 한 "조건"은 무엇이었을까? 이 "조건"을 관철시키기 위해 이거 안 받아 주면 니네도 우리만큼 죽는다는 걸 보여주기 위해 가미카제이건 반자이어택이건 옥쇄이건 나오는 건데. 그 "조건"이 과연 무엇이었을지 이것도 한 번은 우리로서는 궁금해 할 만한 일이다. 왜 얄타협정의 소련군 참전 밀약만 궁금해 할까? Three members held out for three additional terms: Army Minister General Korechika Anami and the Chiefs of Staff of the Army,.. 2023. 6. 24.
스탈린그라드 전투: 러시아의 기억 필자는 여기 여러 차례 썼지만, 러시아의 연구자들과 공동연구를 진행한 바 있어, 현지에 몇 차례 오간 적이 있다. 이때 북극권에 위치한 현지 박물관에서 샘플 조사를 했었는데, 당시 작업을 하다가 잠깐 쉬는 시간이 있어 커피와 과자를 같이 먹으며 담소하게 되었다. 이때 당시 어찌 어찌 이야기를 하다가 화제가 할아버지 할머니 이야기로 비약하게 되었는데, 같이 담소하던 러시아 학자가 넷이었는데, 이들의 조부, 조모의 다수가 레닌그라드, 스탈린그라드 공방전에서 전사한 것을 듣고 충격받은 적이 있다. 당시 네 명의 러시아 친구 조부, 조모, 외조부, 외조모 합쳐 각각 4분 중 평균적으로 절반 이상이 두 도시 공방전에서 전사한 것으로 기억한다. 이 두 도시 공방전에서 다수 러시아인이 사망한 것을 들어 알고는 있었지.. 2023. 6. 24.
미국의 배신? https://www.chosun.com/national/weekend/2023/06/24/MSDQQE7LTVGYFOKFNFSOEKF2IM/ “미국은 얄타에서 한국을 소련에 팔아넘겼다” 미국은 얄타에서 한국을 소련에 팔아넘겼다 아무튼, 주말 전봉관의 해방 거리를 걷다 이승만이 제기한 얄타 밀약설 www.chosun.com 글쎄. 팩트로만 보자면 이 부분은 아마 사실일 것이다. 그리고 이승만의 밀약설 비판 제기도 독립운동가로서 그가 해야 할 일을 한 것이라고 본다. 여기서 필자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과연 당시 조선에서 미국의 얄타밀약을 "조선에 대한 배신"이라고 이야기할 상황이었냐 하는 점이다. 당시 미국은 태평양 군도의 일본 점령지를 하나씩 함락시키고 있었는데 일본군의 결사저항에 상당히 고전하고 있었다... 2023. 6.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