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SSAYS & MISCELLANIES2480

K-pop 또 하나의 이정표를 세운 블랙핑크 (LEAD) BLACKPINK becomes first K-pop girl group to top Billboard 200 심선아 / 2022-09-26 08:00:06 (LEAD) BLACKPINK becomes first K-pop girl group to top Billboard 200 SEOUL, Sept. 26 (Yonhap) -- BLACKPINK became the first K-pop girl group to claim the No. 1 spot on U.S. Billboard′s main albums chart, Billboard has said.In a preview of this week′s charts, Bi k-odyssey.com 요새는 BTS가 빌보드 차트를 씹어먹는 시대라 아.. 2022. 9. 26.
현재를 구속한 과거, 황제의 밭갈이 적전籍田의 경우 어제 하도 차를 몰고 김포와 강화를 싸돌아 댕긴 후유증이랄까? 집에 들어오자마자 방송하고 이내 자빠자고는 일어나니 벌써 시침이 6을 가리킨다. 여느 적 같으면 3~4시에 일어나야 할 터인데 몸이 버텨내질 못하니 이번 답사 사진도 다운받지 못한 채 골아떨어졌다. 문선文選을 다시 펼쳐들고 그제에 시작한 반안인潘安仁, 곧 반악潘岳(247~300)이 황제의 장대한 연례의식 중 하나로 밭갈이를 노래한 적전부籍田賦를 펼쳤거니와, 도대체 진척이 없어 더디기만 하다. 漢代 부賦의 전통을 계승한 위진남북조시대 賦 또한 그 역사가 대략 2천년에 가깝고 물경 1천500년 이상을 지난 지금에 완전히 이해한다는 건 불가하니, 그럼에도 내가 한편으로는 고맙기 짝이 없는 것은 이런 노래를 통해 그 실상을 대강이나마 짐작할 수 있기.. 2022. 9. 26.
경관 다룬다 하고는 토기 편년 그린 놈들한테 고한다 언론이 한때 시대를 선도하며 정의를 독점한다는 환상을 품은 적이 있었다. 물론 그 시대에도 언론을 향한 시선은 복잡다기하기만 했으니, 비판 혹은 비난 역시 적지 아니했다. 그런 복잡다기가 쟁투를 벌이던 시절, 전연 의도하지 않았으며, 어쩌면 기성 언론 관점에서는 원치 아니하는 시대가 도래했으니 모두가 기자다. 시민이 기자다 하는 시대가 그것이라 이를 통해 언론이 기성에 독점하는 그 마지막 권위? 혹은 권력조차 다 무너지고 말았으니, 다만, 그런 세태가 기성 언론이라 해서 달가울 리는 없어, 모두가 기자다를 외치는 쪽에서 저지르는 패악질을 보면서 거봐 언론은 엄격한 훈련을 받은 언론이 해야 한다니깐 하는 반박이 왜 없었겠는가? 비단 언론 뿐이리오? 천지사방 곳곳이 이른바 전문성이라는 무기로 장착한 담벼락이.. 2022. 9. 25.
찜찜한 용역 입찰 평가 제목을 저리 달아놓으니 혹 심사과정 혹은 그 결과에 대한 의뭉함이 아닐까 짐작하겠지만 나로서는 조금은 색다른 경험이라 뇌리에서 사라지기 전에 간단히 적어두어 나를 반추하려 한다. 근자 어는 박물관 미술관 홍보 용역업체 선정 입찰 평가에 낄 기회가 있었으니 이 업계 오래 몸담다 보니 이런 일이 나로선 드물지는 않다. 보통 이런 입찰 평가 심사는 이른바 이쪽 업계 종사자로 짜는 일이 항례지만 이번 경우는 보니 문화재업계 언론인 몫으로 배정했을 나와 그 박미관 관계자 한 분을 제외한 나머지 외부 평가자 다섯이 모조리 현직 교수였고 또 모조리 이른바 언론정보학, 옛날 우리시대로는 신문방송학 전공자들이었다는 점이 나로서는 몹시도 이채로웠다. 문화재판에 언론정보학 전공자가 이례는 아니지만 보통 한 명 정도가 끼곤 .. 2022. 9. 23.
개소리 점검반 아주 막연하기도 하고, 또 가끔은 실천 의지가 꽤나 있었지만, 죽기 전까지 영영 이루지 못할 꿈이 있다. 가칭이긴 하나 "개소리 점검반" 운영이 그것이다. 요새 언론계 유행하는 말로는 이른바 팩트체크에 가까운데, 구체로는 1. 이른바 시민사회운동 개소리 점검반 2. 이른바 학계 개소리 점검반 이 그것이다. 전자는 문화재계, 환경계를 중심으로 넘쳐나는 사자후를 점검해서 그것이 개소리인가 아니면 진정성이 있는가를 점검하는 것이며 후자는 이른바 무수하게 쏟아져 나오는 학설(주로 논문이 점검 대상이 되겠지만)을 점검해서 그것이 개소리인가 진정성 있는가(혹은 음미할 만한 반론 혹은 주장인가)를 점검하는 것이다. 물론 이 두 가지는 가뜩이나 적이 많은 나로서는 더 많은 적을 양산하는 통로가 되겠지만, 해 볼만 하다.. 2022. 9. 21.
두 번의 죽음과 두 번의 즉위 이걸 구미권에서는 그렇게 명확히 구분하지는 않은 듯하나 동아시마 문화권에서는 최고 권력자의 죽음은 크게 각각 두 차례 분기가 있다. 첫째 생물학적인 죽음이니 그 직후 내부 절차를 거쳐 그가 죽었음을 대외에 공표하니 이를 발상發喪이라 한다. 실제 죽음과 발상 시점이 며칠 차이를 두기도 하는데 진 시황제의 경우 순행 중에 죽어 그 시체를 장안에 데리고 와서야 비로소 발상하니 그 새 소금에 절인 시신은 구더기로 들끓었다. 장안에 와서 비로소 발상한 이유는 반란 우려 때문이었다. 물론 수도에서 발상하느냐 아니냐 무슨 차이가 있냐 하겠지만 이를 감내해야 하는 현재의 권력은 이 문제가 대단히 중요하다. 암튼 이것이 생물학적인 죽음이라 문제는 그 시체를 묻기까지 과정이다. 이 기간을 빈殯이라 하며 매장까지 시인을 안.. 2022. 9.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