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SSAYS & MISCELLANIES2216

무엇을 위한 대학의 고고학 발굴인가? 근자 어느 고고학도가 유명을 달리한 일이 있었으니, 나 역시 친분이 다대했던 고인이라 날벼락 같은 소식에 망연자실했다. 듣자니, 고인은 본인이 재직한 대학 부설 박물관이 수행한 발굴조사와 관련한 일로 각종 조사 혹은 감사를 받으면서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렸다고 한다. 이것이 직접 원인이 되었는지 여부는 알 수 없지만, 이참에 하나 지적하고 싶은 것이 있다. 작금 국내 고고학 발굴사정을 보면 관련 국가기관, 그리고 발굴전문 법인이 발굴을 전담한다. 이런 시스템이 정착한지는 실은 오래지 않았으니, 10년 전만, 혹은 대략 15년 전 이전으로만 거슬러 올라가도 지금의 발굴 절대를 대학박물관들이 수행했다. 발굴 현장에서 대학박물관이 도태된 것은 시대 흐름이었고 소명이었다. 이것이 이리될 수밖에 없었던 까닭은 새.. 2018. 3. 21.
한양도성 세계유산 등재 실패에 부쳐 한양도성 등재 실패가 확정된 꼭 1년 전인 작년 3월 21일, 내 페이스북에 게재한 글을 전재한다. 서울시가 야심차게 추진한 한양도성 세계유산 등재가 좌절했다. 한데 그 내용을 뜯어보면 한국이 세계유산 등재에 본격 나선 이래 그 포기 방식이 최악이다. 등재 서류를 심사하고 현지를 실사한 세계유산위 자문기구 이코모스는 한양도성에 대해 not inscribe로 결정했다. 이는 이코모스 평가 중에서도 최악이다. 이코모스는 해당 문화유산 후보를 네 단계로 정해 세계유산위에 보고한다. 최상위는 물론 inscribe라, 그 다음이 refer, 그 아래가 defer이고 최하위가 not inscribe다. not inscribe가 무엇인가? 등재 불가 판정이다. 해도 소용없다는 말이.. 2018. 3. 21.
설민석 현상 말이 많은 친구는 설화를 피해갈 수 없다. 더구나 언제나 대중에 노출되는 저명 강사야 오죽하겠는가?나는 지명도에서 저와 비교가 될 수 없지만 혹여 내가 저 정도로 유명해진다면 저보다 더한 일 겪을 것이다.그만큼 나는 문제의 소지가 많은 말을 뇌까려 놓았다. 각설하고 나는 설민석을 새로운 시대의 인문학 열풍을 일으킨 현상으로써 줄곧 주시했다. 학원강사의 강의를 인문학 영역에 포함해야 하느냐는 논란은 논외로 친다. 그는 분명 이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유형의 강연 열풍을 일으켰다. 그는 그것을 축제로 만들 줄 알았다. 나는 지나가며 몇번 그의 강연을 봤지만 내용과 더불어 그의 액션을 봤다. 내용..이건 처참하기 짝이 없다. 그런 점에선 난 늘 사석에서 저 친구는 이제 침잠할 때라는 말을 하곤 했다. 그는 역.. 2018. 3. 19.
교시요 계시인 상식과 통설 상식 혹은 통설, 이는 항용 열어놓아야 한다.어디를 향해? 의심을 향해 이를 나는 겸손이라 부른다. 상식 혹은 통설이 빗장을 건 상태. 이건 교시요 계시다. 전복해야 한다. 빗장은 부수어야 한다. (2014. 3. 16) 2018. 3. 16.
그 신문이 그 신문? '기뤠기'로 격하된 지금이나, '기자'로 입성한 25년 전이나, 매양 듣는 얘기 중 하나가 신문이 왜 이리 많으냐, 그 신문이 그 신문이라 맨 같은 뉴스 뿐이라 종이 낭비라는 볼멘소리다. 그런가? 이젠 더는 비밀이 아니며, 더구나 언론계 내부까지 속속들이 드러나는 마당에 이참에 그 한쪽 끄터머리에 숨어 있는 한 사람으로 한 마디 꼭 보탠다면 같은 신문은 지구상 인류가 출현한 이래 단 한번도 없다는 점이다. 독자들이 말하는 같은 신문이란 같은 사안을 다룬다는 뜻일 뿐, 같은 뉴스는 없다. 같은 사안이라 해도 그것을 바라보는 시각은 사람 눈만큼 다양하다. 10개 신문이 있다면, 10개 뉴스가 있을 뿐이다. 이명박이 독직 스캔들로 검찰에 어제 출두한 오늘 신문들은 일제히 이 소식으로 머릿기사를 삼았다. 보니 .. 2018. 3. 15.
사진 달라는 사회 어제다. 느닷없이 사진쟁이 오세윤 작가가 서울에 나타났다. 내가 매번 경주에 갈 때마다 이런저런 신세를 지는 고향 김천 형이다. 서울시인지 종로구인지 암튼 공공기관 어디에서 사진 용역을 받은 모양인데, 그 작업 중 하나로 수송동 조계사를 촬영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 잘 됐다. 우리 공장 옥상이 내려찍을 만하니, 그쪽으로 안내하겠다 해서 이 장면이 있게 되었다. 몇 년 전 재건축한 연합뉴스 수송동 사옥은 17층. 총 높이는 79m인가로 기억한다. 오 작가가 난간에 걸친 이 지점은 75m가량 되려나? 물론 이런 경험 많으니, 널찔 염려는 그닥 내가 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안전사고 위험은 언제나 있기 마련이다. 오 작가처럼 사진을 전업과 직업으로 하면서 처자식 먹여살리는 사람들한테 저 정도 작업쯤은 위험 축.. 2018. 3.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