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SSAYS & MISCELLANIES2535

"치중輜重을 버리고 도망쳤다" 중무장은 생존의 장애물! 우리는 중무장 장비를 보고서는 거개 찬탄을 거듭하니 멋진 투구, 폼나는 갑옷, 더 폼나는 말갖춤을 보고서는 와! 저렇게 폼날 수가? 한다. 이런 반응이 나라고 무에 별다를 수 있겠느냐마는, 돌이켜 생각해보면 참말로 불쌍하기 짝이 없어 저러고도 무슨 쌈박질을 하려 하는지 나는 도통 모르겠더라. 저런 중무장 장비는 개똥폼 낼 때나 잠시간 걸쳤을 뿐이며, 저 상태로는 기동력이 현격히 떨어져 나 같으면 다 벗어버리고 도망쳐 버리고 말았을 것이다. 저런 중무장 장비는 늘 강조해서 거듭거듭 말하지만, 전쟁을 해서 이기겠다는 발상의 산물이 아니라 실은 어찌하면 적들이 쏘는 총탄에도 살아남겠다는 처절한 발악의 소산이다. 그게 그거 아닌가 묻겠지만 그런 측면도 없지는 않겠지만, 이 둘을 구분해서 접근하는 방식이 나는 필.. 2024. 7. 13.
황금기는 30대였다 나를 일반화하지는 않으려 한다. 하지만 이것이 혹 서른줄에 들어선 사람, 혹은 서른을 준비하는 더 젊은 사람, 예컨대 내 아들 세대에는 꼰대 같이 보일지는 몰라도, 혹여라도 단 한 사람이라도 새겨 들었으면 하는 마음에서 그런 내 경험이 일반론을 크게 벗어나지도 않을 듯해서 다시금 재방한다. 내 인생 황금기는 삼십대였다. 환갑 앞둔 지금 써먹는 것들이 모조리 그때의 자양분이며, 그것을 다 빼먹는다 생각하는 순간 나는 끝난다. 아니 실상 끝났는지도 모른다. 마흔줄이 되어서는 성장이 멈췄다. 멈추지 않았다 생각했지만, 그때도 성장이 끝났다는 불안감은 언제나 있었으니, 지금 와서 생각하니 그 불안감은 유감스럽게도 현실을 직시한 말이었다. 그랬다. 마흔줄에 이미 나는 성장을 멈추어 버렸으며, 그때 이미 배움에 대.. 2024. 7. 12.
[독설고고학] 갑옷이야말로 실험이 필요하다 이 갑옷도 각양각색이라, 신라야 가야문화권, 특히 그 무덤에서는 흔하게 보이는 철갑으로 만든 것도 있는가 하면 몽촌토성 같은 데서는 동물 뼈를 찰갑으로 쓴 백제시대 갑옷 흔적도 나왔다. 뿐인가? 그 갑옷을 착용하는 주체는 사람도 있는가 하면 말도 있어 이를 특별히 구분해서 말이 입는 갑옷이라 해서 마갑馬甲이라 하기도 한다. 이 갑옷 하니 기억나는 장면이 내가 어린 시절 국사라는 것을 배울 적에 일본의 이른바 임나일본부설을 비판한다면서 내세운 무기가 가야 갑옷이었으니, 보라 이런 철갑을 걸친 가야가 어찌 저 따위 원시미개하는 일본, 왜국의 속국 식민지가 될 수 있겠느냐는 항변이 그것이었으니 들을 때는 아주 솔깃했지만 그것이 개사기임을 체득하는 데는 얼마 걸리지 않았다. 그런 사기가 지금이라 해서 말끔히 청.. 2024. 7. 11.
"이스라엘은 씨를 말렸다"는 메르넵타 비석 이 메르넵타 비석 Merneptah Stele 은 이스라엘 비석 Israel Stele 또는 메르네프타[혹은 메렌프타Merenptah]의 승리 비석 Victory Stele of Merneptah 이라고도 알려진 것으로, 기원전 1213년부터 1203년까지를 통치한 고대 이집트 파라오 메르넵타Merneptah 시대 그의 업적을 찬양한 비문이다. 1896년 테베에서 플린더스 페트리 Flinders Petrie가 발견했으며 현재 카이로 이집트박물관Egyptian Museum에 있다. 본문은 주로 고대 리비아인Libyans과 그 동맹국에 대한 메르네프타의 승리에 대한 기술이지만, 28행 중 마지막 세 행은 당시 이집트 제국 영토였던 가나안에서의 별도 군사 정벌을 다룬다. 바로 이 대목에서 이스라엘이라는 언급이.. 2024. 7. 10.
미국, 제국 그 팽창의 현재 역사 멀리 볼 필요없다.제국이 태동 성장 팽창하는 과정 찾겠다고 저 먼 페르시아 마케도니아 로마 진한 몽골제국까지 갈 필요도 없다.그 전형하는 보기가 미국이라는 제국이라 단 저 제국은 쇠퇴 멸망하는 기미가 아직은 없으니 그 힘은 강력한 라이벌의 등장이라이전엔 소련이었으나 지금은 중국이라는 또 하나의 제국이라이런 라이벌의 존재는 그 제국의 힘을 더욱 공고하게 하는데 역사를 보면 그 제국은 라이벌이 쓰러지면서 잠깐의 평화를 유지하다 픽 쓰러져 사라진다.저 팽창엔 당연히 훗날 미 제국에 합류하는 알래스카와 몇 개 도서가 빠졌다. #미국의팽창 #미국의영토확장 2024. 7. 9.
[독설고고학] 고고학도가 문화재학도가 아니다 고고학과 문화재는 이렇다. 흔히 합집합 부분집합이라 생각하겠지만 틀렸다. 문화재학은 정치학이요 행정학이요 법학이며 문학이고 사회학이고 무엇보다 철학이다. 나는 고고학도인지 문화재학도인가? 이걸 이제는 물어야 한다. 내가 보고 만나 대화 나눈 고고학도 중에 저 빗금에 들어가는 고고학도 몇 명 되지 않는다. 대부분은 그 바깥에 위치한다. 간단히 말해 내가 본 고고학도는 모조리 문화재 비전문가다. 문외한이다. 다른 여타 문화재학으로 분류하는 학문도 하등 다를 바 없다. 한데 모든 고고학도가 문화재를 한다 말한다. 틀렸다. 이는 흔히 문화재학으로 분류하는 여타 학문도 마찬가지라 미술사학 건축학 동식물학 고생물학 지질학 등등 다 해당한다. 고고학도가 미술사학도가 문화재 전문가인양 행세하는 데서 무수한 패착이 발생.. 2024. 7.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