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SSAYS & MISCELLANIES2575

문자가 죽으니 글이 소비되는 역설 신문 방송이 버려졌다지만 뉴스 시장은 인류 역사 이래 이런 활황이 없다. 글 또한 마찬가지라 글을 안 읽는다지만 엄밀히는 읽지 않는 건 책이지 글이 아니다. 글? 단군 조선이래 문자가 이리도 폭발적으로 소비된 적 없다. 신문을 보지 않고 방송을 듣지 않는데서 착을 읽지 않고 잡지를 보지 않는데서 사람들이 뉴스를 소비하지 않고 글을 읽지 않는다는 인과관계는 성립할 수 없다. 둘은 전연 별개고 실은 반비례한다. 더 간단히 말해 채과 신문이 누린 활자매체시대가 저물었을 뿐이다. 언뜻 이 역설을 어찌 설명할 것인가와 더불어 이 시대를 어찌 대처할 것인가 하는 물음을 던진다. 나는 문자에 대한 질식이 작금의 흐름은 그에 대한 레지스탕스라 본다. 문자는 태생 자체가 인간 생각 감정이라는 추상을 어떡해든 구상으로 해.. 2024. 8. 3.
양성兩姓의 역설, 두 개의 가부장 한국사회 일각, 특히 이른바 페미니즘 성향이 강한 일군에서 언젠가부터 아버지 엄마 두 가지 성을 병기하는 흐름이 있으니, 이것이 탑재한 아이러내는 그것이 실은 그런 양성兩姓 병기가 추구하는 양성 평등과는 달리 두 개의 가부장 시스템이 강화한 결과라는 데 있다 하겠다. 예컨대 내 아버지가 김씨요, 내 어머니가 이씨라면 그에서 태어난 자식이 김이 머시기 해서 이름을 짓는다. 나는 그것이 표방하는 그 정신은 존중한다. 그에는 그 어떤 이론이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조금만 뜯어보면 우리가 엄마 성이라 알고 있는 것은 실은 내 기준으로 외할아버지, 곧 엄마의 아버지 성에 지나지 않는다. 저 정신이 표방하는 정신을 제대로 살리겠다면 내 가문 외가쪽은 시조까지 거슬러 올라가서, 그 시조 어머니 성을 찾는 것.. 2024. 8. 3.
崩이라는 말, 그것을 둘러싼 과한 욕망 이걸로 너무 많은 이야기가, 너무 그럴 듯하게 통용한다. 이르기를 같은 죽음인데도 이 글자를 쓰면 그 국가는 제국을, 더 구체로는 중국의 천자국과 같은 국가를 지향했다 한다. 예컨대 그 대표하는 경우가 백제 무령왕 죽음을 백제인들이 영동 대장군 백제 사마왕이 향년 62세로 붕崩하시었다는 표현을 이렇게 압도하게 해석하는 일이 있다. 이는 예기禮記라는 중국 고대 의례서, 각종 의식 집행에 따른 절차를 그 세부하는 항목에 따라 집성한 책 중에서도 잡다스러한 모음집이라는 곡례曲禮라는 챕터에 나오는 말, 곧 같은 죽음인데도 천자는 붕崩, 제후는 훙薨, 대부는 졸卒, 기타 士 사무라이는 불록不祿, 일반 백성은 사死에 뿌리박는 설명으로 이거 참 그럴 듯하게 들리고, 실제 저와 같은 예기 규정이 나온 이래, 그것이 유.. 2024. 8. 2.
모르면 큰 일 난다 협박하는 박물관 앞선 글 새로운 시대, 새로운 박물관을 제안하며 를 연장하며 쓴다. 우리네 박물관 구성이 탑재 내재한 가장 큰 문제로 내가 생각하는 바는 저거다. 우리가 가르치는 이런 것들을 너희가 모르면 죽는다! 이런 협박이 시종일관 모든 박물관을 관통한다. 그래서 어떡하면 그네가 생각하는 이른바 정보를 콘텐츠라는 이름으로 포장해서는 포장판매를 강요한다. 이걸 사 가지 아니하면 너희는 곧 죽고 만다 강매한다. 중앙박물관을 필두하는 국립박물관, 전국 각 광역과 기초지자체는 물론이요, 대학박물관도 그렇고 사설박물관도 가릴 것 없이 모조리 이리해서 시종하고 일관해서 관통하는 가장 심각한 문제는 저 협박이다. 저 강요다. 저 윽박이다. 어쩌면 그것은 그네가 살아가기 위한 절박일 수 있다. 왜? 그것이 아니라면 존재가치가 없다.. 2024. 8. 1.
잘나가는 음식점은 단품종, 못나가는 박물관은? 물론 있으리라고는 생각하지마는 잘나간다는 박물관, 예컨대 루브르나 브리티시뮤지엄이 전시 고유 품종 외에 무슨 부대 사업을 우리처럼 많이 하는지 모르겠다.설혹 있다한들 데코레이션에 지나지 않는다.우리처럼 어린이박물관 따로 만들어 실상 탁아사업하고 이른바 문화강좌니 해서 온갖 프로그램 잔뜩 돌리며 각종 공연장 맹글어 일년 내내 공연돌리는 일 하지 않는다. 아니 한다 해도 그것이 우리처럼 메인디시는 아니다.잘나가는 음식점은 단품종이다.아예 품목 한 가지만 있기도 하고 여러 품목이라도 그 메인디시의 찌께다시일 뿐이다.잘 안되는 음식점일수록 관련도 없는 품목만 많다.왜? 그만큼 절박하기 때문 아니겠는가? 어떡하면 살아남겠다는 몸부림 아니겠는가?한데 한국 박물관은? 국립박물관까지 모조리 부림치는 다품종 식당이다.어.. 2024. 8. 1.
나는 공부하러 박물관을 간다? 누가? 한때 우리 사회 일각, 문화재업계를 그럴 듯하게 난무한 구호가 저거다. 저 구호를 팔아 박물관 장사를 했다. 묻는다. 저에서 우리네 박물관이 변한 게 눈꼽만큼이라도 있던가? 그래서 진짜로 공부하러 가는 부류는 딱 두 가지다. 1, 박물관 덕후 2. 엄마한테 끌려가는 아이들 1은 박물관 전국방방곡곡 세계 경향 각지를 돌며 sns로 도배하기에 여념이 없다. 맛집도 곁들이고 해서 모나리자 앞에 가서 기념 사진도 찍고 브리티시 뮤지엄 가서는 런던아이 배경으로 사진을 올린다. 2는 세 번째만 데려가면 이런 말을 듣는다. "엄마 또 박물관이야? 박물관 아니면 안 되?" 왜 박물관이 공부하러 가는 곳인가? 저 구호야말로 박물관이 버림받는 일등공신이며 따라서 원흉이다. 묻는다. 박물관이 공부하는 곳인가? *** 새로운.. 2024. 8.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