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J의 특별하지 않은 박물관 이야기39 한양 사람들로 보는 한양(2): 한양에는 군인이 얼마나 살고 있었을까 “○○ 선생. ○○ 선생이 이 주제를 맡아줘야 할 것 같아.” 과장님이 회의 시간이 나를 콕 집어 이 주제를 주셨을 때, 나는 반은 즐거운 감정이, 남은 반 정도는 난감한 감정이 들었다. 매우 상반된 기분이라 할 수 있겠지만, 실제로 그리했다. ‘좋았다’라는 감정은 엄밀히 말하면 두 가지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한 가지는 드디어 근현대 전시에서 벗어난다는 것. 맨 땅에 헤딩하며 근현대 자료를 찾아 헤매었던 것이 얼마나 힘들었던가! 그래서 조선시대를 다루는 전시를 한다는 것만으로도 좋았다. 다른 하나는 ‘할 수 있을 것 같다’라는 생각에서였다. 나는 사실 이 주제가 올해의 전시 주제로 입에 오르내릴 때, 이 줄기를 토대로 이야기를 만들면 좋겠다고 속으로 생각했었다. 그것은 바로 ‘한양에 이 사람들이 얼마나 .. 2024. 3. 17. 한양 사람들로 보는 한양(1): 한양의 여성들과 한양 여성이 주인공인 사극이 유행이다. 최근 성황리에 막을 내렸던 ‘밤에 피는 꽃’이나 ‘연인’과 같은 퓨전 사극들은 드라마의 서사를 이끌어나가는 인물을 이전과 다르게 여성을 내세웠다. 퓨전 사극이 아니더라도 ‘옷소매 붉은 끝동’과 같이 기록을 토대로 한 사극 역시 궁녀로서의 덕임을 내세웠다. 이들의 공통점은 여성, 그리고 정확히는 ‘주체적인 여성상’을 그려낸 것이다. 여성들의 이야기가 인기를 끄는 이유는 무엇일까. ‘여성 서사’에서 이어진 것일 수도 있겠지만, 기존 사극에서 다루지 않았던 다른 새로운 소재에 대한 갈망일 수도 있겠다. 또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 여성의 이야기라도, 굳이 현실에서 규제에 얽매이는 여성들의 이야기를 보고 싶지 않다는 생각이 사극에서 주체적인 여성들이 등장하는 이유일 지도 모른다. .. 2024. 3. 10. 서울을 보는 또 하나의 프레임 한 가지를 간과했다. 몇 주에 걸쳐 올린 내 글에는 뭔가 모호한 점이 있었다는 것을. 나는 ‘서울 사람이 누구일까’라고 화두를 던지며, 서울 사람이 누구인지를 생각해 봐야 서울의 특수성을 잘 볼 수 있지 않을까 라고 썼다. 그러나 글을 올리고 난 이후, K 단장님께 받은 카톡과 글에 달린 댓글들을 보면서 깨달았다. 내가 명확하게 나누지 못한 부분이 있다고 말이다. 그것은 ‘사람들이 서울 사람으로 생각하는 기준’과 ‘실제 서울에 살고 있으나 심리적으로 소속감을 느끼는지 여부’를 구분하지 못한 것이다. 그리고 서울 사람을 생각해 봐야 한다고 했지만, 이 둘을 어떻게 보아야할지도 고민하지 않았다. 서울을 바라보는 방법 전에도 쓴 내용이지만, 서울을 보려면 서울을 구성하는 요소 중, 사람을 봐야 한다는 생각에는.. 2024. 3. 3. 서울 사람은 누구일까 박물관에서 일하면서야 알게 되었다. ‘서울 토박이회’라는 것이 있다고. 처음에는 별 생각 없이 ‘아. 서울에 오랫동안 살았던 사람들의 모임인가보다' 했는데, 생각보다 까다로운 기준이 있었다. ‘서울 사대문 안, 그리고 사대문 밖 10리 이내’에서 3대 이상 거주했던 사람만이 그 기준에 부합되는 사람이었던 것이다. 이 사실을 알게 되었을 무렵, ‘서울사람, 김주호’라는 작은 전시를 박물관 로비에서 하게 되었다. 평범한 서울사람인 김주호씨에 대한 일상사로 서울의 이야기를 본다는 취지의 전시였다. 전시는 김주호씨의 개인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었지만, 한편으로는 서울의 이야기와 사람들의 생활사를 담고 있었다. 나도 상당히 흥미롭게 보았고, 전시를 보러 오신 분들의 반응도 좋았다. 그런데 역시나 고질병이 또 도졌다.. 2024. 2. 25. 지도 밖의 서울: 서울은 어디인 걸까 몇 년 전 유행한 드라마 “나의 해방일지”는 ‘해방’과 ‘추앙’이라는, 강렬한 단어를 우리에게 남겼다. 사람 입에 오르내린 추앙이라는 단어를 들으며, 나는 이 단어가 일상생활에서 쓰인 적이 있었던가 하고 몇 번이나 생각해보기도 했다. 그만큼 많은 사람이 일종의 밈처럼 드라마 속 구씨의 말을 인용하곤 했다. 경기도민의 마음을 대변한 그것, 계란 노른자와 흰자 드라마가 나온 지 벌써 몇 년이 지나서 두 단어가 기억 속에 희미해져가지만, 그럼에도 이 드라마는 여전히 최근 뉴스에서 언급되고 있고 앞으로도 그럴 것 같다. 그 이유는 ‘서울의 바깥, 경기도에 사는 사람’의 마음을 잘 그려냈기 때문일 것이다. 경기도도 서울로 편입될 수 있다는, 이른바 메가시티 서울의 그림을 연일 정치권에서 쏟아내면서 이 드라마를 예.. 2024. 2. 9. 그럼에도 지도 읽기의 즐거움이란! 박물관에는 여러 전공자가 있다. 고고학과 미술사, 사학부터 서지학, 도시공학, 건축학 등등. 학교 다닐 때는 회화사와 도자사 전공 사이에도 무언가 말할 수 없는 다른 점이 느껴졌다. 미술사 안에서 나뉘는 세부 전공 사이에서도 이질감이 느껴지는데, 하물며 타 전공이라면 더 말할 것도 없다. 성격은 차치하고, 박물관 내 각 전공자가 느끼는 즐거움은 분명 다르다. 직장 일과 내 즐거움이 최적화된다면 그것이 가장 즐거운 직장 라이프일 것이다. 그런 면에서 이곳에서 가장 즐거울 사람들은 지도를 사랑하는 도시공학 또는 건축 전공자일지도 모르겠다. 공간을 공부하는 이들이라 그런지, 새로운 지도를 볼 때마다 눈빛을 반짝이는 것이 나와는 매우 다른 종족이다. 지도는 지겨워! 내 전공은 공간과 그다지 관계가 없다. 내 기.. 2024. 1. 28. 이전 1 2 3 4 5 ···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