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47 파르테논 마블스를 어른거리는 외규장각 도서의 그림자 고대 그리스 아테네 중심부 언덕 아크로폴리스 Acropolis 를 정좌한 파르테논 Parthenon 신전 외부 장식물을 그리스 쪽에서는 장소성에 의미를 두어 파르테논 마블스, 파르테논 대리석 조각 the Parthenon Marbles이라 부르지만, 영국에서는 엘긴 마블스, 엘긴 대리석 조각 the Elgin Marbles 이라 부르는 일이 많은 듯하다. 문제는 저 엘긴 Elgin. 그는 이름이 좀 복잡해서 토머스 브루스, 엘긴 제7대 백작 겸 킨카딘 제11대 백작 Kincardine Thomas Bruce, 7th Earl of Elgin and 11th Earl of Kincardine (1766~1841)이 정식 타이틀? 이지만 누가 이렇게 부르겠는가? 흔히 로드 엘긴, 엘긴 경 Lord Elgin.. 2024. 1. 28. 문체반정과 군주도통론 정조가 문체반정을 시도한 것은 본인이 도통을 이었다고 자임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유교에서는 공자 이후 왕이 도통을 이은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 이 도통을 군주인 자신이 이었다고 말할까 말까 고민하다 끝낸 양반이 영조, 대 놓고 내가 도통을 이었다고 외친 이가 정조였다. 본인이 도통을 이었고 사문의 수호자를 자임했으니 문체도 고문으로 되돌리겠다고 나선 것이다. 도대체가 문체반정을 하겠다고 나선 군주를 근대적 싹수가 보이는 왕이라도 떠받드는 사람들을 필자는 이해할 수가 없다. 내가 도통을 이었기 때문에 사대부들 너희는 입닫고 나를 따라와라. 내가 곧 정의요 황극皇極이니 너희는 싸울 필요도 없다. 나만 따라오면 된다. 이것이 탕평책이고 황극론이다. 한국은 물론이고 중국땅에서조차 공자 이후 왕이 설치면.. 2024. 1. 28. 무미간단하기 짝이 없던 몽촌토성 돌절구에 무슨 일이? 눈가리고 아옹? 돌절구에다 자기 표식을 단 소심한 권오영 눈가리고 아옹? 돌절구에다 자기 표식을 단 소심한 권오영몽촌토성 출토 돌절구로 서울대박물관 고고실 상설전시품 중 하나다. 저에는 다음과 같은 설명이 붙었다. 돌절구 석구石臼 stone mortar 몽촌토성과 풍납토성에서는 작은 돌절구가 여러 점 확인되historylibrary.net 앞서 나는 서울대박물관 고고실이 상설 전시 중인 몽촌토성 출토 한성백제시대 돌절구 설명 패널에 현 집권자인 권오씨 의도가 짙게 반영되어 있다 했거니와 그에 대해 권오씨는 아니다, 난 그런 적 없다 뚝 잡아떼었으니 아래가 현재 전시 상태다. 전시 패널을 보면 단일 유물 설명문으로는 이례적으로 길다!!! 이는 그만큼 이 유물만큼은 우리가 이런 식으로 자랑하고 싶다! 이런 .. 2024. 1. 27. [대물大物 이야기] 거근巨根의 창시자 노애嫪毐 (5) 빡친 젊은 시황제 진 시황제 7년, 기원전 240년, 시황제 아버지 장양왕莊襄王 자초子楚의 생모인 하태후夏太后가 죽었다. 장양왕 아버지인 효문왕孝文王의 왕비 화양태후華陽太后는 남편 효문왕과 함께 수릉壽陵이라 일컬은 무덤에 같이 묻혔다. 시황제를 기준으로 할머니인 하태후랑, 증조모인 화양태후까지 모두 죽은 까닭에 당시 진秦나라 왕실에서 왕실 여성 어른은 시황제 엄마인 조희趙姬, 곧 조태후趙太后밖에 남지 않았다. 조나라 출신으로 그쪽에서는 여불위 첩이었다가 훗날 여불위가 장양왕 자초한테 바친 여성 말이다. 앞서 봤듯이 조태후는 남편이 죽자 홀로 밤을 참지 못하고 걸핏하면 여불위를 잠자리로 불러들였고, 이러다가 진짜 큰일 난다 생각하는 여불위는 오동나무 수레바퀴를 매달아도 끄떡없다는 대물 거시기의 소유자 노애嫪毐를 고자 내시인.. 2024. 1. 27. 돌갈판과 돌가루 빵을 주식으로 하는 문명권에서는 음식을 거칠게 만드는 요인 중 하나로 돌갈판을 꼽기도 하는 듯 하다. 돌갈판은 곡물을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빵이나 국수를 만드니 일차적으로 음식을 부드럽게 만드는데 기여하겠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니다. 이렇게 음식을 갈아내는 과정에서 돌가루가 곡물 가루에 섞여 들어가니 이것이 음식을 먹을 때 치아를 미세하게 마모시키는데 기여한다고 보는 것이다. 따라서 돌 갈판은 거친 음식을 완화시키지만 그 자체 음식을 거칠게 만드는 효과도 미미하게 있다고 본다. 우리 박물관에서 돌갈판을 볼 때마다 저것을 가지고 곡물이나 채집해온 식물을 갈았다 치자. 도대체 뭘 만들어 먹었을까? 국수는 아닐거다. 빵도 아니고. 그럼 도대체 뭘 만들어 먹었을까? 죽? 죽이라면 오래 끓여도 비슷해지지 않았을까... 2024. 1. 27. 황하문명은 조와 기장이 만들었다 쌀이 만든 것이 아니다. 한반도와 만주 역시 도작에 적합한 지역은 한반도 중남부 일대 뿐이다. 나머지는 모두 중국의 진령회하선 이북에 해당하는 잡곡 농경지대였고, 이 지역에 도작이 성행하게 된 것은 극히 최근의 일이다. 우리는 잡곡을 우습게 본다. 그런데 사실 황하문명은 조와 기장, 잡곡이 만들었다. 쌀 농사는 고도의 재배기술이 필요한데 특히 한반도 남부 일대는 쌀농사하기에 위도가 너무 높아 더더욱 서투른 농경기술로는 쌀 재배가 어려운 곳이다. 쌀농사가 어느날 아침에 원시적 농경이나 하던 곳에 덜커덕 들어왔을까? 한반도 남부 쌀농사 이전에는 장구한 잡곡 농경의 역사가 있었음에 틀림없지 않을까. 우리는 비파형동검문화, 정가와자鄭家窪子 문화가 한반도 남부로 밀려 들어왔다고 담담히 말한다. 그런데 그 문화권 .. 2024. 1. 27. 이전 1 ··· 1305 1306 1307 1308 1309 1310 1311 ··· 365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