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43

후방 및 남방항렬 사회의 이질성 이병도 선생은 한국사 초두의 여러 정치체를 서북항렬 (고조선 낙랑) 후방항렬 (부여 고구려) 남방항렬 (삼한) 으로 나눈바 있다. 이 중에 소위 후방항렬과 남방항렬은 삼국지를 보면 사회 조직에 있어 모종의 이질성을 간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여 고구려에는 부체제가 있지만, 남방항렬은 부체제보다는 소국의 중층적 연합, 소국 수장의 체계화와 그 정점의 왕의 존재 같은 모습을 띤다. 부여 고구려가 갖는 이러한 사회조직의 이질성을 우리는 흔히 "반농반유목"이라 하여 일종의 유목사회적 성격이라고 이야기하지만, 실제로 부여-고구려의 후방항렬 사회와 삼한으로 상징되는 남방항렬 사회의 이질성은 잡곡농경과 도작 농경사회의 차이일지도 모른다. 유목적 요소가 아니다. 2023. 12. 6.
한국사에서 농경을 어떻게 볼 것인가 지금은 도작농경을 "본격적인 농경의 시작"으로 보고 이 시각을 한반도와 남만주 지역 등 부여에서 삼한까지 한국사의 모든 주체에 적용한다. 하지만 중국의 경우, 신석기 이래 농업을 보는 시각은 위와 같다. 황하유역 이북의 잡곡농경지대, 양자강 이남의 도작농경지대, 그리고 그 사이 지역 (회하일대)의 점이농경지대 (양쪽이 혼합)이다. 한반도는 다를까? 한반도 남단의 도작농경지대, 한반도 북부와 남만주 일대의 잡곡농경지대, 그리고 평양과 한강유역의 점이농경지대로 설정하고 농경의 시작과 발전을 각각의 시각에서 서술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는 농경의 개시와 확산을 도작 농경 하나만을 놓고 보는 일본과는 분명히 다른 시각인데 이런 입장에 서야 한국사의 농경의 기원과 발전을 제대로 조망할 수 있다고 본다. 2023. 12. 6.
[슬렁슬렁 자발 백수 유람기] (91) 연재를 마무리하며 나는 지금 로마 피우미치노공항에서 조금 뒤 출발할 인천행 비행기를 기다리며 이 글을 쓴다. 마음자세? 거창한 그딴거 없다. 퇴직할 때 딱 그 마음처럼 되도록이면 내가 좋아 내가 보람찾고자 하는 일을 하려 할 뿐이다. 맘대로 잘 안 될 거란 거 안다. 하지만 이제는 한 번쯤 그리 방향은 잡아뵈야지 않겠는가? 두고 가는 것도 있고 붙이고 가는 것도 있다. 벵기가 뜨려 하니 더 쓰지는 못하겠다. 하긴 더 쓸 말도 없다. 이걸로 시덥잖은 연재기는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 2023. 12. 6.
웃기는 짜가 원반던지기 소유권 논쟁 독일, 히틀러가 샀다 伊에 반환된 고대 조각상 재반환 요청 2023-12-05 00:09 '원반 던지는 사람' 조각상 논란 중심에…伊 장관 "죽어도 안돼" https://m.yna.co.kr/view/AKR20231204154200109?section=search/news 독일, 히틀러가 샀다 伊에 반환된 고대 조각상 재반환 요청 | 연합뉴스(로마=연합뉴스) 신창용 특파원 = 독일의 국립박물관이 나치 지도자 아돌프 히틀러가 구입했다가 이탈리아에 반환된 고대 로마 조각상을 다시 돌려달...www.yna.co.kr 그제 저녁 먹은 신 특파가 저런 소식을 타전했다고 남산 자락 안중근기념관 이주화 군이 알려준다. 보니 오늘이라 공교롭게도 나는 방금 저 원반던지기상을 다시 보고 막 나온 중이다. 다시라 한 까닭은.. 2023. 12. 6.
부여와 고구려를 한국사에 포함하려 한다면 지금 처럼 한국사에서 도작의 개시와 본격적 농경의 시작을 일치시키는 일본 농업사적 시각에서 벗어나야 부여와 고구려사가 한국사에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다. 도작의 개시와 본격적인 농업의 시작을 일치시킨다면 도대체 부여와 고구려는 그럼 무엇이라는 것인가? 부여와 고구려는 도작이 없었다. 고구려는 도작의 맛을 본 것은 대동강 유역을 손에 넣으면서부터다. 부여와 고구려, 이 두 형제문명은 명백히 잡곡농경에 기반한 것으로서, 한국사의 농업사 기술에서 지금처럼 도작과 본격적 농업의 개시를 일치시키는 시각은 교정되어야 옳다. 이러한 시각은 야요이시대에 도작이 건너가면서 비로소 농경이 본격화한 일본의 시각을 한반도에 그대로 연장한 것으로, 그렇기 때문에 도작농경에 기반한 한반도 중부 이남의 문명만 선택적으로 설명할 .. 2023. 12. 5.
한국사에서의 잡곡농경 한국사에서는 농경의 획기를 도작농경의 시작으로 잡는 것 같다. 도작 농경 이전에도 잡곡농경이 있었다는 것을 부정하는 사람은 없다. 다만 그 잡곡농경은 고도의 농경이 아니고 수렵채집등 부수적인 생산기법이 있어야 유지되는 초보적 수준의 농경으로 보는 듯 하다. 개인적으로는 이렇게 생각해 본다. 중국의 경우 이른바 진령-회하선을 경계로 그 이북의 잡곡농경권과 이남의 도작농경권이 오랫동안 병립하면서 존재한 것으로 본다. 황하유역은 잘 아는 것처럼 도작농경문화가 아니다. 그럼에도 찬란한 중국문명의 맏형 노릇을 했다. 우리는 부여와 고구려가 한국사의 한 축을 담당한 문명이라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잡곡농경 그 자체에 대해서는 아직 이해의 정도가 깊지 않은 것 같다. 부여와 고구려 시대의 잡곡농경과 신석기 시대의 잡곡농.. 2023. 12.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