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22

대량으로 써제낀 증정용 식민지시대 글씨 조선 말기~일제강점기 제법 이름있는 이의 필적은 일본에 많이 전해진다. 대개는 일본에 망명한 뒤 생활비를 조달하려고 팔았거나, 신세진 이에게 고마움의 표시로 선사한 것이다. 조선-한국에 있었던 인물이 일본인을 만나도 으레 글씨를 써주거나 그림을 그려주곤 했던 모양으로, 요즘들어 그러한 작품들이 한국에 많이 들어오고 있다. 그런 작품들을 보면서 몇 가지 드는 생각이 있다. 1) 금박종이나 호피선지를 둘러 휘황찬란하게 '표구(장황이 아니다)'한 현현거사玄玄居士의 글씨나 소호小湖의 난초를 흔히 만난다. 그런데 일본에서 일본 재료를 써서 만들어 일본인에게 준, 일본인의 취향에 맞는 작품을 "조선 19세기 말~20세기 초"라고 표기하는 것이 과연 맞을까? 단순히 만든 이가 한국인이라고 해서 한국미술사의 영역 안에.. 2023. 8. 11.
번교의 근대교육기관으로 전환의 사례: 요네자와번 흥양관 일본의 에도시대 번교藩校가 근대교육기관으로 어떻게 전환되었는지 사례를 하나 소개한다. 요네자와번米沢藩에는 에도시대, 번사藩士를 교육하는 번교가 있었는데 이름을 흥양관興譲館이라 하였다. 1697년, 공자를 모셔 석전釈奠하는 학문소를 사적으로 설치하였는데 이것이 1776년부터 요네자와번의 공식적 교육기관이 되었다. 공자 제사와 교육 기능을 겸비하였으니 정확히는 우리나라 향교와 유사하다 할 것이다. 興譲館(こうじょうかん)は、江戸時代の出羽国米沢藩主上杉治憲の命により、上杉綱憲の学問所を再建して成立した藩校である。ここでは主に江戸時代のことについて記載する。 創立・再建 1697年(元禄10年)6月15日に上杉綱憲が以前から孔子を祀る行事である釈奠を行っていた儒臣矢尾板三印の邸宅に学問所を設置、同年11月29日には同じ邸内に釈奠の会場となる聖堂.. 2023. 8. 11.
[국내 박물관 현황과 연혁] 예산 추사고택과 추사기념관 ➀ 추사고택 현황 ❍ 위 치 : 예산군 신암면 추사고택로 261 ❍ 면 적 : 토지(75필지, 137,969㎡) 건물(12동, 2,209㎡) ㆍ군유 22,541㎡(33필지)/국․도유 15,003㎡(21필지)/사유 100,425㎡(21필지) ㆍ고택(문간채, 사랑채, 안채, 사당), 추사기념관, 추사체험관, 화순옹주홍문, 관리사, 안내소, 창고, 화장실 2개소 ❏ 추사고택 연혁 - 1976. 3. 29. : 추사고택 정화사업 지시 - 1976. 4. 9. : 추사고택 매수 - 1976. 9. 4. : 추사고택 정화사업 착공 - 1977. 6. 27. : 추사고택 정화사업 준공 - 1977. 9. 22. : 충청남도 추사고택관리사무소 설치 - 1980. 1. 1. : 예산군 이관 및 추사고택관리사무소 설치 변.. 2023. 8. 11.
맨홀과 맨홀 따까리는 구별해야 남들은 전연 그리 여기지 않는데 혹 나만 혹 그런가 해서 못내 쪽팔리기는 하다만, 암튼 맨홀이라고 하면 대뜸 우리는 구멍이 아니라 따까리를 떠올리는데 혹 나 같은 사람 더 있을까 싶어 새삼하게 이 문제를 끌어낸다. 맨홀이란 manhole 이라, 그를 지칭하는 용어로 영어에서는 utility hole 이라든가 maintenance hole, 혹은 sewer hole 같은 유사 표현들이 있나 본데, 그 어떤 경우건 모두가 hole이지, 여기에는 그 따까리 뚜껑에 대한 개념이 없다. 나아가 그것을 수식하는 말에 따라 적절히 씀을 보는데, 유틸러티야 말할 것도 없이 그렇게 마련한 구녕이 다기능임을 말해서 하수구 구멍도 되고 통신케이블 구멍도 된다 해서 쓸 것이요 maintenance야 주로 통신설비를 염두에 둔.. 2023. 8. 11.
우즈벡 답사기: 에필로그 약 일주일 정도 짧은 여행이었지만, 유적 답사 외에 우즈베키스탄에 도착해서 느낀 단상을 몇 가지 정리해보려 한다. 먼저, 첫 느낌은 거리가 너무 깨끗하다는 거였다. 도로며, 인도며 쓰레기가 거의 보이지 않았고, 공원이나 유적지에는 환경정화하는 사람이 많았다. 특히, 무엇보다 꽃과 나무 키우는데 진심이었다. 우리나라로 치면 공공근로자로 보이는 사람들이 길거리 화단에서 잡초를 뽑는 모습을 심심치 않게 본다. 샤흐리시압즈 공원에서 가로수로 뽕나무가 무척 많았다. 실크로드 도시들이라서 그렇다는 말이 있던데, 사실인지는 잘 모르겠다. 그게 아니더라도 개인 집앞 화단이나 가로수들은 대부분 깔끔하게 관리되고 있었다. 더욱이 이 무더운 날씨에 화단마다 물을 그득그득 흘러 넘치게 주고 있는 점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그리.. 2023. 8. 11.
일본 근대적 교육기관의 기원 앞에서 이야기했듯이 일본의 메이지 이전 교육기관의 상당수는 근대적 교육기관으로 넘어왔는데 이는 일본전통의 보호 같은 한가한 이유 때문이 아니라는 점을 밝혔다. 일본은 한국과 같은 "학교" 전통이 약하다. 에도시대 이전 제대로 된 "학교"가 없었다. 헤이안시대에 우리의 국학에 해당하는 것이 잠깐 나타났다가 사라지고 고대의 학문전통은 중세시기에 사찰의 승려와 귀족들을 통해 전수되었다. 이러한 상황이 바뀐 것은 에도시대부터였다. 막부는 막부학문소 (지금의 유가와세이토: 탕도성당), 각 번은 번교를 만들고 그 아래에는 데라코야가 있어 한국의 성균관-서원(향교)-서당과 유사한 형태의 전근대적 교육제도가 완성되었다. 이 때문에 일본의 경우 "교육의 기원"은 막부학문소, 혹은 번교로 보는 시각이 매우 강하다. 한국은.. 2023. 8.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