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10

너무 잘난 형을 둔 흠순欽純 (6) 블루칩을 투자하는 수망택주水望宅主 염장廉長은 같은 가야 혈통이기는 하지만 금관가야 계통인 김유신-김흠순 형제와는 달리 지금의 경북 고령에 기반을 둔 대가야 계통이다. 그럼에도 묘하게도 가야라는 동질 의식을 공유했으니, 이 점이 실로 묘하다. 김유신만 해도 훗날 일통삼한을 달성한 뒤에는 대가야 혈통인 문노文弩를 추앙해 그의 화상을 포석사에 모시기도 했으니, 군사 분야에서 혁혁한 전과를 냈다는 그것 말고도 짙은 가야 동질 혈통 의식이 작동했다. 염장은 595년생인 김유신보다 아홉살이나 많은 586년생이라, 그럼에도 모든 면에서 유신에 밀렸다. 그가 뛰어넘기에는 유신은 너무나도 백그라운드가 막강했다. 그래서 화랑도 유신이 먼저 했다. 하지만 유신한테 뒤졌지 당대 신라를 통털어 염장 역시 막강한 후광을 등에 엎은 금수저 출신이었다. 또 다른 여.. 2023. 6. 19.
왼쪽 겨드랑이 안쪽에 청동칼을 지팡이처럼 찡군 전사의 시체 독일 남부지방에서 삼천사백년 전, 구체로는 기원전 14세기 말 무렵에 만든 중기 청동기시대 무덤에서 단면 팔각 구조인 자루 갖춤 청동검 발굴소식이 타전된 일을 앞서 정리했거니와 성인 남녀 각 한 명과 아이 한 명까지 총 셋을 동시기에 묻은 이 무덤 발굴 정보가 빈약하기 짝이 없는데 이를 발굴하고 이를 허가한 데서 이걸로 계속 장사를 해먹을 요량인지 모르겠으니 무엇보다 유구 전체 양상을 보여주는 사진 한 장도 없고 그 전체 양상에 대해선 셋을 묻었다는 그 달랑한 기술 말고는 전연 없어 그 꼴을 보면 북한 당국 고고학 성과 공개와 진배 없다. 하다 못해 그 칼 규모가 어떤지 길이 하나 공개하지도 않았으니 그렇다고 그런 간단한 보도자료를 접한 기자들도 보니 현장을 가 본 놈은 없고 모조리 보도자료 베끼느라 정.. 2023. 6. 18.
이른바 식민지의료, 일제시대 연구 무엇이 문제인가? 현행 일제시대 연구의 구조에 대해 조금 써보겠다. 지금까지 일제시대 연구는 일단 결론을 내고 시작한다. 일제시대는 무조건 문제다. 조선은 무조건 선이다 라고. 이렇게 설정하고 그러면 왜 문제인가를 바닥부터 규명하면 좋은데 그건 또 많이 미흡하다. 이러다 보니 욕으로 시작해서 욕으로 끝나는 논문이 나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억지도 나오게 된다. 예를 들어보자. 일제시대 의료를 어떻게 볼 것인가. 이 시대 의료를 "식민지의료"라고 정의하고 서술하는 경우를 본다. 필자도 일제시대 의료가 정상적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일제시대 교육이 정상이 아니었듯이. 그런데 문제는 이 "식민지의료"가 왜 "식민지의료"인지 정확히 규명된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이 과정에서 나온 부산물이 전통의료, 국치 때까지 주류를 차지하.. 2023. 6. 18.
일제시대의 지식인: 스핀오프 (1): 가와바타 야스나리 이제 일제시대의 교육제도에 대해 어느 정도 이해하게 되었으니 노벨상 수상자 가와바타 야스나리川端康成(かわばた やすなり, 1899~1972)의 프로필을 보자. 三島郡豊川尋常高等小学校(1906-1912) -- 茨木中学校 (1912-1917) -- 第一高等学校文科第一部乙類 (1917-1920) -- 東京帝国大学文学部 (1920-1924) 아주 심플하다. 가와바타 야스나리는 필자가 리뷰한 조선인들보다 시기가 약간 빨리 교육받은 사람인데도 소학교 (6년) - 중학교 (5년) - 고등학교 (3년) - 제국대학 (4년)의 기간이 잘 맞는 시계처럼 이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아마도 조선의 송몽규 같은 이가 일본에서 태어났다면 이런 프로필을 갖게 되었을 것이다. 식민지 조선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그는 연전을 거쳐 쿄토제대.. 2023. 6. 18.
일제시대의 지식인: [32] 유치진 극작가 유치진 선생의 프로필이다. 통영공립보통학교 (1914-1918)--- 도쿄 토요야마(豊山)중학교에 편입 (1921-1925)--- 릿쿄대 예과 (1926-1927) ---- 릿쿄대 영문과 (1927-1931) 프로필을 보면, 선생의 보통학교가 4년인것은 이때까지도 조선의 보통학교가 4년제였기 때문이다. 조선의 보통학교가 6년제가 되는 것은 1922년 부터이다. 중학교때 이미 일본 유학을 했는데 당시로서는 드문 프로필이다. 선생의 집안이 여유가 있었다는 의미이기도 할 것 같다. 중학은 4년만에 졸업했는데 이 당시 중학은 5년제였다. 단, 학생이 우수한 경우 4년만에 졸업이 가능하기도 했는데, 이 부분은 확인이 필요할 것 같다. 릿쿄대 예과를 1년 다닌것으로 되어 있는데 중학을 졸업했으니 고등학교 과.. 2023. 6. 18.
고려의 교육열을 증언하는 고려도경의 구절들 백성[民庶] 신(臣)이 듣기에, 고려는 영토[地封]가 넓지 않으나 백성은 매우 많다. 사민(四民)의 업(業) 중에 선비[儒者]를 귀하게 여기므로, 고려에서는 글을 알지 못하는 것을 부끄럽게 여긴다. 산림은 매우 많고 땅은 평탄한 데가 적기 때문에, 경작하는 농민은 장인[工技]에 미치지 못한다. 주군(州郡)의 토산물[土産]은 모두 관아[公上]에 들어가므로, 상인[商賈]들은 멀리 돌아다니지 않는다. 다만 대낮에 시장[都市]에 가서 각각 자기에게 있는 것으로써 없는 것을 서로 바꾸는 정도에 만족한다. 그러나 고려 사람들은 은혜를 베푸는 일이 적고 여색[色]을 좋아하며, 쉽게 사랑하고[泛愛] 재물을 중히 여긴다. 남녀간의 혼인에서도도 가볍게 합치고 쉽게 헤어져註 001 전례(典禮)를 본받지 않으니 참으로 웃을 .. 2023. 6.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