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08

주마간산 서원 간평 내가 다녀본 서원 중에 주변 풍광과 건물배치가 압도하기로는 소수서원을 꼽을지니 이유는 이곳이 원래는 숙수사라는 절이 있던 곳이기 때문이다. 대찰의 풍모를 답습했다. 광산 월봉서원은 이십세기 복원이지만 그로 향하는 골목길이 임푸레씨브하다. 병산서원은 보니 만대루 하나가 모든 걸 커버한다. 기타 서원도 나름 특장이 있다. (2014. 5. 24) 2023. 5. 24.
약사불藥師佛과 약사藥師, 그리고 여러 의사醫師 부처 중 치병이 전공인 약사불(약사여래)은 인기가 특히 높았던 부처라. 요새의 관념으로 약사불의 약사는 의사에 해당한다. 나아가 의사라는 말이 그때도 있었음에도 굳이 약사라는 말을 썼으니 이는 아마도 약사라는 말이 주는 친근성이 더 컸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더불어 전근대에 요즘의 의약 분업과 같은 나와바리 관념이 분명한 것도 아니었으니 둘이 착종하는 가운데 아마도 약사가 더 쓰임이 크지 않았나 상상한다. 주례周禮 천관총재天官冢宰에는 요즘의 수상이나 국무총리 정도에 해당하는 관직인 천관총재가 관장하는 산하 관직을 나열하면서 다음과 같은 구절이 보이니, 이에서 보듯이 의사라는 말은 우리 생각보다 연원이 대단히 깊다. 醫師:上士二人,下士四人;府二人,史二人,徒二十人。 食醫:中士二人。 疾醫:中士八人。 瘍醫.. 2023. 5. 24.
담양 어느 초등학교 교정은 대따시 느티나무 전남 담양 한재초등학교 교정을 정좌定座한 초대형 느티나무다. 이 느티가 여즉 천연기념물 지정이 되지 아니한 이유를 모르겠다. 2017년 모습이라 혹 그새 지정이 되었는지는 모르겠다. *** 내가 헷갈렸다. 1982년인가 이미 지정됐단다. 쏴리. 내 총기가 다했다. 은퇴해야겠다. 2023. 5. 24.
왜 도교가 동굴인가? 울진 성류굴이 말한다 석회암 동굴 중에서 울진 성류굴처럼 신라시대 문자 자료가 잔뜩 나올 가장 가능성이 큰 곳은 단양이다!!!!!왜인가?이 단양을 진흥왕 시대에 이르기를 적성赤城이라 했다. 赤城이란 무엇인가?찾아봐 적성이 뭔지.솔까 왜 丹陽이겠는가?단양과 적성 같은 말이다. 丹을 아십니까?***울진 성류굴과 그에 앞선 제천 점말동굴 각자刻字는 화랑이 아니라 도교로 접근해야 한다.***동해안 석회암 동굴은 쏵 조사해야 한다. 장담하지만 울진~삼척-강릉 일대 석회암 동굴로 사람이 들락거릴 만한 데는 모조리 울진 성류굴 같다. 왜 그런가?진흥왕 시대 도교를 알면 그래!도교 모르니 뭔 동굴신앙 어떻고 떠들고 하지 않겠나?왜 종유석인지, 그건 도교 의학책 조금만 쳐다봐도 금방 안다!김태식, , > 13,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3(.. 2023. 5. 24.
문방도 4폭 병풍 [文房圖四幅屛] 문방도 4폭 병풍 19세기 후반 ~ 20세기 초 전체 모양은 요런데 조선후기 근대 초기 비교적 자주 보는 책가도 소재 병풍으로 지금 국립고궁박물관에 걸려 있다. 이런 양태가 현실의 반영이라 생각해서는 매우 곤란하다. 이렇게 꾸며놓고 사는 사람이 없지는 않겠지만 이상향이라 그때라고 북카페 열망이 없었겠는가? 북카페 얘기 나온 김에 이런 카페가 외국서는 사정이 어떤지 모르겠지만 우리가 유난히 이 모티브에 혹닉하는 심성이 나는 우연은 아니라고 본다. 곧 근자의 북카페는 책가도의 부활이라는 측면도 있다고 본다. 세부로 살피면 연필통을 비롯한 그릇이 모조리 중국 수입산이며 또 저 정도 책은 인쇄본이라 저만한 책을 갖출 사람은 저 시대 왕실을 비롯해 몇 집 되지도 않는다. 이 또한 다른 책가도 문방도랑 마찬가지로 .. 2023. 5. 24.
대중강연 둘 항상 느끼는 것이지만, 대중강연이 정말 어렵다. https://www.yna.co.kr/2023-site/traveler03 K컬처 아카데미 여행자 학교 3기 | 연합뉴스K컬처 아카데미 여행자 학교 3기 | 연합뉴스www.yna.co.kr 어제 했던 강연. 오늘 해야 할 강연. https://museum.kangwon.ac.kr/index.php?mp=6_1&BID=46&cmd=view 강원대학교 중앙박물관강원대학교 중앙박물관에서는 제2기 박물관대학 수강생을 다음과 같이 모집합니다. 이번 박물관대학의 주제는 ‘문명의 태동과 교섭Ⅰ’입니다. 올해는 인도를 시작으로 서역과 중국, 동남museum.kangwon.ac.kr 내용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데 오늘 조금 더 다듬어 강단에 서얄 듯. 2023. 5.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