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97

시공간 개무시 최치원뎐 옛날 신라 때 최충이 새로 문창령에 제수되었는데 베게에 엎드리고 밥도 먹지 않으니 그 아내가 물어 말하기를, "이렇게 좋은 관직을 얻었는데 어찌 이에 이르도록 걱정하십니까?"라 하였다. 충이 말하기를, "내가 옛 이야기를 듣건대 문창령의 아내를 귀신이 빼앗아간 바가 몇십명이나 된다고 하오. 내가 이런 이유로 근심하는게요."라 하니... 고려의 해동공자 최충이 신라 최치원의 아버지로 나오는 것이나, 최치원의 시호 문창후를 살짝 비틀어 관직명으로 만든 건 그렇다치고, 하여간 재미는 있어보인다. 순한문에 구결을 단 것도 흥미롭고...국문학 쪽에서 좀 관심을 가질는지? *** Editor's Note *** 저에 대한 기호철 선생 평이 재미진다. "춘향이가 인당수에 다이빙 하니 이몽룡이 눈을 떴다는 말이군요" 2023. 4. 22.
신라밀교승 혜초와 혜일 이야기 재미있는 점은-. 밀교 고승들 이야기다. 이들의 행적이 완전히 밝혀졌다고 하기는 어렵지만, 신라의 경우 밀교가 중국에 전해지던 초창부터 이에 참여하여 경전의 한역과 밀교의 중국 토착화에 기여한 정황이 매우 확실하다. 일본에서 밀교진언종이 전하는 진언종의 내력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마지막에 홍법대사弘法大師 공해空海[구카이]가 있다. 구카이의 스승인 혜과惠果가 바로 앞에 있다. 혜과가 구카이에게 밀교 불법을 전하고 그것을 받아 구카이는 일본에 진언종을 만들었다 그 이야기다. (뭐 일본에서 보는 해법이니 이를 시비할 생각은 없다) 혜과 앞에 여섯 명이 더 있다. 가장 앞의 용맹은 대승불교 용수와 같은 사람이다. 밀교도 시조는 용수이다. 그 다음 용지까지는 인도에서 살던 사람들이다. 금강지와 불공이 인도에서 .. 2023. 4. 22.
일본서기 독법을 엎어버린 모리 히로미치 [삼박달森博達, mori hiromichi] もり ひろみち. 1949年 교토산업대학京都産業大学 교수. 주된 관심 분야는 일중어문日中語文交 교섭사. 효고현兵庫県 출신이며 오사카외국어대학을 졸업했다. 저서 《古代の音韻と日本書紀の成立(고대 음운과 일본서기 성립》으로 제20회 금전일경조 박사 기념상 金田一京助博士記念賞(긴다이 이치쿄스케 하쿠시키 키넨쇼, きんだいちきょうすけはくしきねんしょう, 1992)을 수상하고, 《日本書紀の謎を解く(일본서기의 비밀을 풀다》(中公新書, 1999)로 제54회 마이니치 출판대상毎日出版文化賞(2000)을 수상했다. 이들 저서를 통해 모리는 일본서기 전체 30권에 쓰인 한문 용법을 알파군[α群, 巻14~21, 24~27)과 베타군[β群, 巻1~13, 22․23, 28~29)의 두 계통으로 구분하면서, 이 중 α群은 대체로 정확한 .. 2023. 4. 22.
종묘 대신 중국으로 가 버린 제주 청귤 택배 배송사고 예조에서 아뢰기를, "제주목에서 봉진하는 종묘에 천신(薦新, 햇과일이 나왔음을 조상에게 알리는 일)할 청귤靑橘은 곧 3월에 해야 하는데, 이를 영솔하여 오던 교리校吏가 표류되어 소주蘇州에 이르렀다가 이제야 비로소 와서 바쳤습니다. 그러나 이미 모두 썩고 마르고 하여 천진薦進하기에 합당하지 않으니 천진하지 말라고 명하소서." 라고 하였다. - 1778년(정조 2) 8월 5일 기사 1) 표류라는 절체절명의 순간에도 임금님께 바칠 귤상자는 어떻게 잃어버리지 않을 수 있었던가 보다. 그런데 그러면 뭘하나. 이미 몇 달이나 지났는걸... 2) 그나저나 그 제주목 포교와 서리는 천당 아래 소항이라는 그 소주 구경은 좀 했을지? *** previous or related article *** 진상한 귤 썩었다고 파직.. 2023. 4. 22.
수원 실명의용촌비 失明義勇村碑 1955년 7월 27일 휴전 2주년을 맞아 대통령 이승만이 서울 (당시 성북구) 우이동 '실명의용촌'에 세운 비석. 앞뒷면 글씨는 이승만 친필인데 워낙 가는 글씨로 얕게 새긴 탓에 뒷면은 마멸되어 육안으로 알아보기가 힘들다. 현장에서 한 시간 정도 시간이 있다면 읽을 수는 있지만 나를 비롯해 어느 누구도 그런 정성을 들인 사람은 없다. 정확한 비문 내용을 알려면 탁본을 해야겠지만 탁본을 뜨는 순간 비문은 더욱 마멸될 가능성이 크다. 55년에 있었다던 우이동 실명의용촌은 1960년 4.19 이후 '사회적 분위기'에 따라 4.19 묘역이 우이동에 조성됨에 따라 축소되었고 1963년 수원에 중앙원호원이 설립됨에 따라 수원으로 이전 되었다. 현재 이 비는 수원 보훈교육연구원(창훈대) 경내에 위치한다. 이 비는 .. 2023. 4. 22.
재불 서지학자 박병선 박사 공적 (2011 문화체육관광부 자료) Editor's Note : 이하는 문화체육관광부 2011년 11월 23일자 보도자료 '외규장각 의궤·직지에 평생을 바친 박병선 박사, 국립묘지 안장 추진'에 문체부가 첨부한 문서다. 근자 그의 행적에 대한 재평가 움직임, 특히 그가 직지의 최초 발견자인가 아닌가 하는 논란이 조선일보 보도를 통해 불거졌으므로, 그가 사망한 저 무렵 그를 향한 평가가 어떠한지를 가늠하기에는 좋은 자료라는 점에서 소개한다. ****** 박병선 박사 공적 □ 프랑스국립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던 직지심체요절과 외규장각의궤를 최초로 발견하여 세상에 알리는 데에 결정적인 공헌 ㅇ 박병선 박사는 우리나라 여성유학비자 1호로 프랑스로 유학하여 역사학 박사(프랑스 파리제7대) 취득 및 1967~1980년까지 프랑스 국립도서관 직원으로 근무.. 2023. 4.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