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92

일본인 3중 구조론 보유補遺 일본인 3중 구조론 도출에서 사용된 데이터 시료를 보면: 야요이인과 같다는 "동북아시아인": 요하 서쪽 청동기시대. 일본의 고분인 샘플: 서기 5-6세기 사람. "한족"과 같다는데 그 한족이 누군가가 문제. 한국사와 관련하여 폭발성이 매우 강한 주장이다. 2023. 4. 7.
학술발표: 최근 제기된 일본인 기원의 3중 구조론에 대해 토요일에 아래와 같이 학술발표를 합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한일관계사학회 제206회 월례발표회(2023.04.08) : 월례발표회 및 학술대회 - 한일관계사학회 (hanilhis.or.kr) 한일관계사학회 제206회 월례발표회(2023.04.08) : 월례발표회 및 학술대회 - 한일관계사학회 【한일관계사학회 제206회 월례발표회】 ■ 일시 : 2023년 4월 8일(토) 오후 2시 ~ 오후 6시 ■ 장소 : 한성백제박물관 B2 세미나실 ■ 사회 : 이훈(한림대) ■ 제1주제 : 최근 제기된 일본 hanilhis.or.kr *** Editor's note *** 2023. 4. 7.
남자가 나이 들어 드라마가 좋아진다? 남자 중심이기는 하지만, 흔히 그네가 나이 들어가는 증상으로 꽃에 혹닉하며, 드라마를 보기 시작하는 현상을 들거니와, 그래 결과로만 보면 나 역시 그런 세대라 저에서 한 치 어긋남이 없으니 맞는 말인갑다 절감한다. 그래 꽃이 좋아라 희희낙락하는 사람들을 보며 얼이 빠졌다 핀잔한 때가 있기는 했으니, 과히 틀린 말은 아니로대, 그렇다 해서 그런 꽃에 무심했는가 하면, 꼭 그런 것은 아닌 듯하니, 지금보다 젊은 시절에도 꽃이 좋기는 했다. 다만 표시를 안 내거나 덜 냈을 뿐이다. 물론 나이 들어가면 살아온 날보다 살 날이 적어지는 조금함도 없지는 않겠으며, 그런 조급함에서 어쩌면 힘찬 탄생을 알리는 그런 화려찬란이 더 대비되어 상실의 두려움에 대한 보복심리가 일정하게 작동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해 본다.. 2023. 4. 7.
창산 김정기, 박정희가 사랑한 건축학도 창산 김정기 박사가 생전에 자주 하던 말이 있다. "나는 건축쟁이다. 이런 사람이 남의 무덤이나 팠으니 영 께름칙했다." 그는 원래 일본으로 밀항해서 거기서 고건축을 전공했다. 오사카 시텐노지四天王寺 발굴에 참여했고 이런 경험들이 나중에 국내에서는 그의 이름을 고건축보다는 고고학에서 이름을 아로새기게 한다. 이런 고고학도가 귀국해서는 천마총 파고 황남대총 팠으니 심정이 어떻겠는가? 그가 국내에 발탁된 데는 황수영 박사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1958년인가? 당시 한일국교 정상화 회담이 진행 중이었고 이 와중에 문화재 반환 분야에서 일한 황 박사가 일본에 갔다가 김정기 박사를 발탁해 국립박물관 고고과장인가로 스카우트한다. 이후 그는 1968년인가 국립문화재연구소 전신인 문화재연구실 초대 실장으로 초빙되는.. 2023. 4. 7.
안중근 눈썹 고공 낙하와 이재명 부친 묘소 흑주술 내막 모르고 달라들었다가 낭패 보는 일이 어디 내가 있고 너가 따로 있던가? 나 또한 그럴 수밖에 없고 당장 기억에는 나지 아니하나 그런 일로 내가 머쓱해진 일 한두 번이 아니다. 서울 남산 자락 안중근기념관에서 근자 이런 비스무리한 일이 있었댄다. 이곳 학예연구사 이주화 군 전언에 의하면, 이번 만우절이 낀 주말을 보내고 아침에 출근하니 전시관이 난리가 난 모양이라, 안 의사가 뤼순 법원에서 재판받는 상황을 재현한 공간에 세운 안 의사 밀랍 인형이 머리털, 눈썹, 수염이 뽑혔다 해서였더랜다. 자초지종 듣자니 토요일 오후에 초등생 하나가 법정 안으로 들어갔다 해서 이 초등생을 범인으로 내심 지목하고는 부리나케 CCTV에 담긴 그 장면을 돌려보았더니, 그 아이는 기특하게도 이미 떨어진 머리칼을 수습해 모으.. 2023. 4. 7.
포폄 없는 라이벌, 나폴레옹과 샤토브리앙 이 책 완독을 앞둔 상태인데, 이 친구 열라 잘 썼다. 약력 보니 좀 이상한데, 변호사라, 그러면서도 대학에 출강도 하는 모양이라, 역사를 이렇게 쓰니, 우리가 당할 재간이 있겠나? 이 시리즈는 보니, 굳이 한국식으로 하면 '프랑스의 역사상 라이벌' 이런 진부한 형식인데, 그 내용을 보면 하나도 진부하지 않으니, 모르는 자들도 그렇고, 역사를 직업적 학문으로 삼는 자들도 이런 책 앞에선 부끄러워 고갤 들지 못하리라? 왜 그러한가? 이쪽 혹은 우리네 전통은 근대 근대를 외치면서도 실상 그 구축하는 역사는 포폄이라는 전통시대 잣대에서 하나도 어긋남이 없이 평전이라 하지만, 그 속내는 뜯어보면 모두가 메시아가 되어, 혹은 클리오가 되어, 지가 역사의 심판자가 된양 하늘에서 역사를, 그리고 인물을 내려다 보면서.. 2023. 4.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