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59

[2022 베를린 풍경(6) 베를린 자유대학] by 장남원 이번 여름 독일 방문은 Freie Universität Berlin의 미술사 전공 초청 덕분이었다. 은퇴하셨지만 여전히 활동하고 계신 이정희 교수님과 새로 부임한 중국미술사 전공 Juliane Noth 선생의 배려가 깊었다. 전공생들을 위한 ‘물질문화 관점으로 본 고려청자' 특강이 있었다. (이 주제는 그쪽에서 요청한 것) 특강에서 여러 학생과 큐레이터들을 만나기도 했다. 특강 안내문을 보고 학부 때 내 동양미술의 이해 수업을 들었다던 유학생이 찾아와 너무 반가웠다. 또 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에서 교환으로 온 중국인 학생과도 반가운 시간이 되었다. 베를린에 머무는 동안 종종 회식과 미팅을 통해 인연이 만들어졌다. 달렘 수장고를 수십년 담당했던 선생님..훔볼트 포룸 관계자..특히 자가 격리중에 호텔 근처에 .. 2022. 8. 15.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의 친필(?) 국사편찬위원회에 유리건판으로 남아있는 자료 중 하나다. 거기 붙은 설명은 다음과 같다. "秀才 朱澤民이 見示한 美人 병풍의 시에 대하여 益齋 李齊賢(1287∼1367)이 次韻한 4수." 에서는 이 시를 확인하지 못했다. 다만 주택민이라는 이는 에 딱 한 번 등장하는데, 고소姑蘇 사람이고 익재를 위해서 연산효설도燕山曉雪圖를 그려주었다고 한다. 그나저나 익재가 썼다는 글씨를 처음 본다. 1930년대에는 그 유명한 나진옥(羅振玉, 1866~1940)이 갖고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어디에서 누가 아껴주고 있을는지? 2022. 8. 15.
[2022 베를린 풍경(5) 훔볼트포룸 Humboldt Forum] by 장남원 훔볼트포룸은 베를린 궁을 리뉴얼한 복합문화광장이다. 이를 위해 각 대륙 지역문화를 전시, 휴식, 체험 등의 공간으로 구성해 보여주고자 한다. 이 도시 문화중심지라 할 베를린 돔 광장에 인접해 자리했는데, 입장료가 없어서인지 인근 다른 박물관들에 비해 관객은 많았다. 내가 찾은 지난달 현재 훔볼트포룸은 아직 부분 개관 상태다. 그리고 여기저기 하자보수도 이루어지고 있었다. 다음달(9월) 전면 개관한다는데 이를 기대한다. https://www.humboldtforum.org/de/?fbclid=IwAR27SseXLvkb602_L898XWfJIwc0j7M2I59xpLFlzO38Y-shvngKWE8RrIk Humboldt Forum Ein neues Stück Berlin – Das Humboldt Forum .. 2022. 8. 15.
해적판 "대망" 이야기 대망이라는 해적판계에서는 전설에 가까운 책이 있다. 제목은 대망이지만 이 책을 본 사람은 다들 알다시피 단일한 저작이 아니다. 심지어는 작자도 山岡荘八와 司馬遼太郎로 다르며 이 작가들 여러 베스트셀러 작품을 하나의 전집으로 묶어 "대망"이라는 정체불명의 이름으로 펴낸것이다. "대망"의 첫머리에 소개된 야마오카의 "德川家康"은 사실상 이 전집을 통해서 국내에 본격적으로 소개되었다고 보아도 좋다. 필자도 司馬遼太郎의 작품을 이 동서문화사판 해적 전집을 통해서 처음 접했다. 지금도 이 해적판은 우습게 볼만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 그 번역의 수준이 매우 높았다. 해적판 시대가 가고 제대로 된 저작권을 지불한 시대가 도래하여 이 전집에 실린 소설은 몇 번인가 정식 번역이 시도 되었지만 모조리 실패한 이유의 첫번째.. 2022. 8. 14.
[2022 베를린 풍경(4) Pergamonmuseum] by 장남원 베를린은 뮤지엄의 도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만 구 박물관 Altes Museum 신 박물관 Neues Museum 페르가몬 Pergamon Museum 보데미술관 Bode Museum 등이 들어선 뮤지엄 섬과 뮤지엄 섬 외곽으로 독일역사박물관이나 바스티안 하우스 BASTIAN HAUS, 고리키 극장, 훔볼트대학 등이 촘촘히 들어선 일대는 그냥 걷기만 해도 좋다. 뮤지엄 섬 안에서 최근 가장 관심을 받고 있는 곳은 페르가몬이다. 최근 공사를 마치고 입구를 개방한 시몬갤러리(Simon Gallery)가 정연한 석주들과 계단으로 아름다웠다. 신 박물관의 로마, 폼페이, 이집트 등 유적과 유물 전시관은 수년 전 멋지게 리뉴얼해서 페르가몬의 중동, 서아시아, 이슬람 갤러리쪽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시몬갤러리 부분이.. 2022. 8. 14.
[2022 베를린 풍경(3) 여름] by 장남원 여름은 젊다. 베를린의 여름은 더 젊다. 숙소가 있던 프리드리히 슈트라세의 슈프레 강변 근처로는 훔볼트 대학 의학도서관과 생물바이오학부 등이 있었다. 아침부터 밤까지 젊은이들로 넘쳐났다. 그들 나름 고뇌가 있겠으나 정말 오랜만에 여름 햇살처럼 빛나는 젊은 얼굴들을 보았다. 다소 순진해보이고 장난스러운,,,하지만 이글거리는 눈을 가진 여름 같은 얼굴이다. 베를린에 머물던 한 달 동안 아침기온은 대체로 12도에서 17도, 낮이면 가끔 39도까지 올라갔다. 그래도 습도가 낮아 땀으로 얼룩지지 않는다. 그늘은 바람이 불면 시원하다. 틈만 나면 야외로 나와 햋빛을 흡수하는 사람들...태양을 피해 도망가는 나.... 길을 걷다 보면 어디선가 부드럽고 잔잔한 꽃냄새가 났다. 린덴바움(보리수?)의 무성한 나뭇가지마다 .. 2022. 8.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