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023

여름의 전령 버들솜 지금은 버드나무 버들솜 날리는 시즌이다. 천지사방 목면 가루 휘날리는데 그 정체가 버들솜이다. 물가에서 자라는 속성 활엽수인 버드나무는 지금은 아무짝에도 쓸모없어 고작 이쑤시개 만드는 재료가 전부이나 예로부터 이별의 상징이었다. 버드나무 어디에 그런 맛이 있는지 알지 못하나 그에 해당하는 柳는 흔히 같은 발음인 留와 연동해서 떠나지 말고 머물러 달란 뜻으로 혼용하기도 하지만 별리別離없는 留가 가당키나 하겠는가? 그래서 떠나는 사람한텐 버드나무 가지를 꺾어 다시 만나잔 기약하곤 했다. 그걸 받은 사람이 그 버드나무 가지를 어찌 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이내 패대기치지 아니했겠는가? 혹 머리 갓끈에 꽂았을 수도 있으나 이내 버려지는 신세는 마찬가지다. 꽃다발도 이내 시들고 마는데 그 하늘하늘한 버들가지야 버들.. 2020. 5. 3.
여차하면 재털이 날릴 채비 김정은 두릅을 많이 무서 그런지 볼살은 더 뿔어서 조만간 터질 듯한 볼때기, 오동통하니 살이 잔뜩 오른 모습이지만, 어디 아팠던 듯한 흔적이라고는 눈 씻고 찾아볼 수도 없다. 저 친구 무슨 담배를 피우는지, 한대 농가주 봐라. 담배는 열라 피우는구만. 자넨 좋겠다. 담배 끊어라는 마누라 혹은 주변 사람 없을 테니 말이다. 전자 담배로 안바꾸나? 2020. 5. 2.
한국 미라 연구의 2막이 열립니다.. 제 연구실에서 저와함께 우리나라 미라 연구의 첫장을 열기 위해 부지런히 뛰었던 오창석 군이 박사학위를 받고 나서 마침내 을지대학교에 교수로 자리를 잡았습니다. 다행스러운것은 오 교수가 을지대학교에서 계속 해서 조선시대 미라 연구를 이어갈수 있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새로 근무하는 학교에서 미라에 대한 과학적 조사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여건이 준비 되어 정말 다행입니다. 오 교수가 조선시대 미라 연구를 독자 수행할수 있게 됨으로써 우리나라 미라 연구는 이제 2막이 열리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발굴현장에서 새로이 발굴되는 조선시대 미라는 을지대학교 오창석 교수에게 연락을 주시기 바랍니다. 오창석 교수 연락처는: 010-4148-0395 입니다. 이메일 주소는: oxman@eulji.ac.kr 입니다. 2.. 2020. 5. 2.
혼자서 비단 자른 김정은 죽었네 살았네 식물인간이네 어쩌네 저쩌네 하다가 20일만에 뿅 하고 나타나서는 니들 놀랐제? 를 외친 김정은이가 그 두문불출 끝내고 대외에 공식 공개한 첫 행사가 이것이다. 조선중앙통신에 의하멘 정은이는 노동절인 5월 1일 순천인비료공장 준공식에 참석했다면서 이러고로 테이프커팅을 했다면서 컬러사진 잔뜩 배포했다. 나는 언제나 이런 이벤트에 드러나는 의식 ritual 을 주목하거니와, 그 리추얼만큼 그 사회 혹은 행사가 지닌 상징을 잘 드러내주는 일이 없다고 보는 까닭이다. 북한은 최고지도자가 참석하는 테이프커팅이 언제나 이런 양식인데 무엇인가? 오직 최고지도자 혼차만 가시개질을 한다는 점이다. 가시개질을 혼차 하느냐 아니면 그에 관련되는 주요한 인사들이 함께하느냐 아니냐 여부에 따라 그 사회가 독재주의 .. 2020. 5. 2.
당분간 휴재합니다 김기자님 블로그에 연재 해오던 내용이 있었는데 다 마무리 하지 못하고 잠시 휴재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일단 코로나 바이러스 관계로 미루어 오던 대면강의가 5월 초부터 의학 실습 위주로 재개 되어 새로운 스케줄 덕에 제가 학기말까지 연재에 신경을 쓸 상황이 아니라는점과, 더구나 지금 올해 말까지 반드시 마무리 지어야 할 해외 단행본 편집 건이 있어 김기자님 블로그에 연재해 오던 글을 주기적으로 올리기 곤란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다시 글을 쓸수 있는 여유가 올때까지 언제가 될지 모르겠습니다만, 휴재를 하고자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제가 걸어온 연구 작업을 정리하는 의미에서 나름 의미가 큰 연재였기 때문에 상황이 정리되면 반드시 돌아와 계속 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면 금명간 다시 뵐때까지 건강들 하시길 빕니다. 2020. 5. 2.
안나푸르나에 잠든 산악인 박영석 [순간포착] 무한도전 산악인 박영석 "도전하는 자가 세상의 주인!" | 연합뉴스 [순간포착] 무한도전 산악인 박영석 "도전하는 자가 세상의 주인!", 임동근기자, 스포츠뉴스 (송고시간 2020-05-02 07:00) www.yna.co.kr 내 세대가 기억하는 산악인 국민영웅은 고상돈이다. 그가 1977년 9월 15일,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에베레스트 산 등반에 성공했다는 소식은 당시에는 전기도 들어오지 않은 상태에서 오로지 트랜지스터 라디오로 외부 소식을 의지하던 내 고향까지 들썩이게 했으니 그래서 그는 언제나 내가 아는 당대의 첫 국민영웅이다. 그런 그가 2년 뒤인 1979년, 알래스카 디날리 산(6194m)인가를 등반하다 추락사했다는 소식이 믿기지 아니했다. 그때만 해도 해발 8천8848미터 지구상.. 2020. 5.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