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691

닥나무 오돌개 닥나무도 오돌개가 열린다. 다만 이 닥나무 오돌개를 먹은 기억은 없다 닥나무는 뽕과 여러모로 이란성 쌍둥이다. 뽕나무도 종이를 만들 법한데 그러는 일은 못봤다. 이문이 남지 않기 때문이리라. 2020. 5. 13.
어름꽃 어름이라는 넝쿨식물 꽃이다, 지금 지기 시작한다. 주로 다른 나무를 타고 기어오른다. 추석 무렵이면 이런 열매가 주렁주렁이라. 아가리가 벌어진 걸 따야지 그렇지 아니한 건 땡글땡글해서 그걸 딩겨 같은데 한동안 넣어뒀다가 말캉말캉해지면 까서 먹는다. 머루랑 다래랑 얼음이랑 이걸 동네마다 부르는 명칭이 제각각이라 내 고향 공천에선 얼음 혹은 어름이라 하거니와 엑센트는 ice랑 같다. 서울 사투리로는 으름 정도로 표기 혹은 발음인 듯 하거니와 요즘 이게 벌어지는 historylibrary.net 2020. 5. 13.
Stupa amid Peony Pandemic at Seoak-dong, Gyeongju    Three stone stupa Seoak-dong, Gyeongju 작약밭으로 변한 경주 서악동 삼층석탑 2020. 5. 13.
공고: "체질인류학에서 바라본 한일관계사-야요이시대의 개막과 전개" 일본 야요이시대 초창기-. 이른바 도래계 야요이인의 대표적 유적으로 꼽히는 도이가하마 유적에서 확인된 "화살을 수도 없이 맞아 전사한" 이의 유골-. 올해 (2020년) 대한해부학회의 "체질인류학 세션"에서는 아래 주제로 다섯개의 연제가 발표될 예정입니다. "체질인류학에서 바라본 한일관계사-야요이시대의 개막과 전개" 날짜: 2020년 10월 15일 (대한해부학회 대회 중 개최) 장소: 강릉 세인트존스 호텔 (대한해부학회 대회 개최장소) 좌장(Session Organizer): 신동훈 (Dong Hoon Shin); 후지타 히사시 (Hisashi Fujita) 야요이시대는 일본 역사에서 대륙으로 부터의 수도작과 금속기의 도입으로 상징되는 거대한 변화를 일으킨 시기입니다. 이 시기가 우리에게도 의미가 큰 것.. 2020. 5. 13.
박물관을 생각하시는 예비 관장님께 안녕하세요, 온양민속박물관 여송은입니다. 그날은 제가 경황이 없어 인사도 제대로 못드렸습니다. 잘 들어가셨는지요? 박물관을 만들어 우리 문화를 지키고, 잘 보존하여 널리 알리겠다는 선생님 이야기 잘들었습니다. 박물관까지 찾아오셨는데 도움이 되지 못해 죄송합니다. 제 영역 밖의 일이라 아무 말씀도 드릴 수 없었습니다. 그래도 나름 사립박물관에서 지냈다고, 조금은 보고 들은 것이 있어 선생님께 말씀드리고 싶은 것이 있다면... 박물관을 만드시려면 선생님이 생각하시는 것보다 더 많은 준비를 하셔야 한다는 사실입니다. 직접적으로 말씀드리면, 보이지 않는 부분에 대한 비용도 생각해주셔야 합니다. 보이지 않는 비용으로는 전시실 환경에 대한 비용, 유물 관리에 대한 비용(항온항습기, 유물훈증, 유물 보존 등에서부터 .. 2020. 5. 13.
줄줄이 유물 이야기-날렵, 대나무 파리채 길쭉하고, 날씬한 몸매를 자랑하는 이 물건은 어디에 사용하는 물건일까요? 바로, 모기나 파리 등 벌레를 잡거나 쫓는데 사용하였던 채입니다! 일명 대나무 파리채라고 하지요!!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알록달록 플라스틱 파리채하고는 재질도, 형태도, 그래서 물건이 주는 느낌도 다릅니다. 직접 사용해 보지 않아 모르겠지만, 생긴 모양으로 보아서는 썩 파리를 잘 잡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의외로 또 이렇게 생긴 아이들이 목표물을 정확하게 잡으려나요?? 그래서 제 생각에는 직접 벌레를 잡을 수도 있었겠지만, 주로 벌레를 쫓는데 사용하지 않았을 까 싶습니다. 윙윙~~~귀찮은 벌레들이 보여들면 훠이훠이~~~하고 쫓는 용도로 말이죠. 벌레를 쫓는 데 사용하였다고 하니, 이와 전혀 상관 없지만 김득신이 그린 그림 .. 2020. 5.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