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SAYS & MISCELLANIES

[시건방한 한국문화재를 진단한다] (1) 속도전을 일등이라 착각하는 고고학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5. 5.
반응형

국내 발굴현장 사례를 들 수 없어 중국 발굴현장을 엎어왔다.

 
문화재 업계 종사자들을 보면 자존심이라 할까 이렇게 보아도 좋기는 하겠지만 시건방이 언제나 하늘을 찔러

如컨대 고고학 발굴을 보면 세계시장이 어찌 돌아가는지 그 사정도 제대로 모르면서 그냥 발굴만큼은 한국이 최고라는 자부심이 이 업계 종사자들 사이에서는 하늘을 찌른다.

하도 지난 30년간 대규모 국토개발에 따른 속도전 발굴에 이골이 난 덕분이라 하겠지만

이런 속도전에 혈안이 된 우리네 고고학도가 보기에 조막디만한 트렌치 발굴에 몇 년이나 매달리고 발굴장비 분석장비 연구실이라 해봐야 형편없이 보이는 저들이 솔까 얼마나 우습게 보이겠는가?

마을 유적을 통째로 판 데가 도대체 몇 군데이며 천 기 안팎을 헤아리는 무덤이 밀집한 공동묘지로 아예 전체를 통째로 까발린 데는 도대체 몇 군데인지 이제는 숫자조차 헤아릴 수 없이 많다.

이런 대규모 속도전 발굴에 이골이 났으니 그래 적어도 발굴만큼은 한국이 세계 최고다 하는 자부심이 하늘을 찌른다고 쳐주자.

한데 어찌하여 그렇게 파제끼고도 세계고고학 시장 판도 하나 바꾸는 연구성과 하나 못 나오는가?

웃기지 않은가?

저들은 고작 두어 평 트렌치 발굴하고서도 하루가 멀게 고고학 시장을 흔드는 파격하는 주장 쏟아내는데

그토록 자랑하는 한국고고학이 세계고고학 시장을 향해 이것이 고고학이라고 발신한 연구 단 한 편도 없다.

단 한 편도 없단 말이다. 

이 시점에서 냉혹해져야 한다.

적어도 발굴만큼은 한국이 세계 제일이라는 주장은 원천에서 틀려먹는 개사기다.

방법도 수준도 연구도 세계 최하등이다.

알고 보니 이건 발굴이 아니라 수거였다. 쓰레기 분리 수거,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다. 

속도전에 얻은 것은 속도요 잃은 것은 學이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