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장적문서에는 이렇게 되었다고 한다.
이 고을 사해점촌을 조사하니, 마을 크기가 5,725보이다. 공연수(호수)는 합하여 11호가 된다. 마을의 모든 사람의 숫자를 합하면 147명이고, 그 가운데 전부터 계속 살아온 사람과 3년 사이에 태어난 자를 합하면 145명이 된다. 정이 29명(노비 1명 포함), 조자가 7명(노비 1명 포함), 추자가 12명, 소자가 10명, 3년간 태어난 소자가 5인, 제공은 1명이다. 여자의 경우 정녀 42명(노비 5명 포함), 조녀자 9인, 소녀자 8인, 3년간 태어난 소녀자 8명(노비 1명 포함), 제모 2명, 노모 1명이다. 3년간 다른 마을에서 이사온 사람은 2명이다. 가축으로는 말이 25마리가 있고 그 가운데 전부터 있던 것이 22마리, 3년 사이에 보충된 말이 3마리이다. 소는 22마리가 있고 그 가운데 전부터 있던 것이 17마리, 3년 동안 늘어난 소는 5마리이다. 논은 102결 2부 4속이며 관모전이 4결, 내시령답이 4결, 연수유답이 94결 2부 4속이며 이 가운데 촌주가 그 직위로써 받은 논 19결 70부가 포함되어 있다. 밭은 62결 10부 5속이 있다. 뽕나무는 모두 1,004그루였으며 3년간 심은 것이 90그루, 그 전부터 있던 것이 914그루이다. 잣나무는 모두 120그루였으며 3년간 심은 것이 34그루, 그 전부터 있던 것이 86그루이다. 호두나무는 모두 112그루였으며, 3년간 심은 것이 38그루 그 전부터 있던 것이 74그루이다
이를 보면, 뽕나무 잣나무, 호두나무는 체계적으로 조사하여 관리하였는데
새로 심은 것과 원래 있는 것까지 구분하여 기록하고 있다.
무슨 말인고 하면,
양잠이 시작되고 비단을 짜기 시작하면 뽕잎이 필요해지는데
이것이 그냥 주변에 있는 나무에서 따오기만 하면 되는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위에 기록에서 보듯이 뽕나무는 체계적으로 심으면서 관리했는데
뽕나무, 잣나무, 호두나무 등은 인위적으로 식재하고 관리되는 대상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양잠과 비단짜기가 삼국지 위지 동이전의 시대,
더 거슬러 올라가서 만약 청동기시대까지 간다면,
그 시대의 뽕나무는 관리되지 않았을까?
그 시대도 뽕잎이 필요해지면 체계적으로 심었을 것이다.
조몬인은 농사를 짓던 이들도 아닌데
밤나무를 체계적으로 관리해서 그 열매를 수집했다는 주장을 받아들일 수 있다면,
당연히 우리의 경우도 양잠과 비단짜기가 시작된다면
뽕나무의 체계적 관리가 시작되지 않았겠는가?
견직물 실물이 발굴에서 확인된다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다해도 뽕나무의 체계적 관리 증거를 잡을 수 있다면
그 시대가 곧 양잠과 비단을 짜기 시작한 시대가 될 것이다.
일본에서 조몬시대 밤나무 관리 증거를 잡았다면
한국에서도 청동기시대 뽕나무 관리 증거를 왜 잡지 못하겠는가?
'고고과학 A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에 의해 통제되기 전에 건너 온 양잠 (1) | 2025.08.04 |
---|---|
누에와 양잠은 언제 도입되었을까? (0) | 2025.08.04 |
여기서 처음 본 누에번데기 사진 (1) | 2025.08.04 |
이 블로그 최근 포스팅에 대해 (1) | 2025.08.03 |
에트러스칸, 외치, 그리고 유럽 초기 농경민 (1) | 2025.07.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