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흔히 비단옷이 가지고 있는 선입견 때문에
양잠과 비단은 농업사회로 진입한 후에도
상당히 늦게 도입되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런데-.
양잠하고 비단은 생각보다 상당히 일찍
한국과 일본에 도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삼국지 동이전을 보면 일본에는 말과 소는 없는데,
양잠은 했다. 비단옷은 입었다.
이미 서기 3세기에.
이 말은 무슨 말인가 하면,
말과 소가 도입되기 이전에 이미 양잠은 먼저 그 도작사회에 전해졌다는 것으로
한국도 이 상황을 그대로 도입한다면
말과 소가 한반도 남부에 들어온 것을 점토대토기 단계라고 본다면,
양잠은 그 이전에 이미 들어왔을 가능성이 있고,
이것은 무슨 말인고 하면,
송국리 단계에 이미 비단옷을 입고 다녔을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양잠은 본격적인 가축사육이 전해지기 전에
먼저 도입된다.
왜냐. 입고 먹는 것이 가축사육보다도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농경사회를 이루는 여러 가지 요소는
한반도와 일본 열도의 경우
도입되는 시기가 요소요소마다 다른데,
양잠은 그 도입 시점이 상당히 빠를 가능성이 있다.
이 말 뜻은 우리나라 청동기시대에는 이미 비단옷 입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설마? 하겠지만
중국의 경우 양잠하고 비단옷 입었으리라 보는 시점이 8000년전 신석기시대까지 올라가며
일본도 서기 3세기에는 이미 비단옷 지어 입고 있었다.
중국 앙소문화 이른바 잠용蚕蛹에 대한 출토 상황 정리는 아래 글을 참조하라.
https://mp.weixin.qq.com/mp/wappoc_appmsgcaptcha?poc_token=HFmKj2ijwCtlgVwbCvQoVChBE8G994Q1og2Gb72D&target_url=https%3A%2F%2Fmp.weixin.qq.com%2Fs%3F__biz%3DMjM5MjE2ODU2OQ%253D%253D%26chksm%3Dbf4fb9d906e0e5b638dd637e29614e23efc484618c8922918a5e356f16180c177744b63efa42%26idx%3D1%26mid%3D2650268999%26scene%3D27%26sn%3D5dc9fca09e3cc503fdf242281edbc7f7
环境异常 当前环境异常,完成验证后即可继续访问。
mp.weixin.qq.com
'고고과학 A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기서 처음 본 누에번데기 사진 (0) | 2025.08.04 |
---|---|
이 블로그 최근 포스팅에 대해 (1) | 2025.08.03 |
에트러스칸, 외치, 그리고 유럽 초기 농경민 (1) | 2025.07.23 |
일부에만 허용되었던 지구적 규모의 연구 (0) | 2025.05.04 |
"구석기 초기 인류 도토리 먹었다" 한국 도토리학이 만세 부를 연구 (1) | 2025.04.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