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국 초기 농경사에서 쌀 농사와 잡곡 농경 (millet)의 분포도. 
쌀 농경의 북쪽 경계가 산동반도와 요동까지 뻗어 있다. 
바로 이 루트를 통해서 한반도로 쌀 농사가 넘어 들어왔을 것이다. 
발해만의 북쪽에서는 쌀농사가 확인된 바 없다. 
따라서 요서지역에서 남만주로 확산한 비파형동검문화는 본질적으로 잡곡농경이다. 
요동반도로 건너온 쌀농사는 남하하여 평양인근에서 기존의 잡곡농경과 결합한 후 
한반도 남부지역으로 남하했을 것이라 본다.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잡곡농경(x) 서곡농경(o) (4) | 2024.06.08 | 
|---|---|
| 잡곡 농경의 기원지로 주목받는 요하 유역 (4) | 2024.06.08 | 
| Millet의 영양가 : 잡곡 농경의 경쟁력 (5) | 2024.06.08 | 
| 돼지 사육은 왜 잡곡농경지대에서 더 우세했나 (4) | 2024.06.07 | 
| 투탄카멘 복원과 이집트의 자존심 (3) | 2024.06.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