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인더스문명56

때깔을 입힌 모헨조다로 사제왕 인더스문명 중심 중 하나인 모헨조다로Mohenjo-daro에서 발견된 소위 사제왕상Priest-King을 실물 토대로 복제하면서 고고학 분석에 기초한 색상을 가미해 본 것이라 한다. 오른쪽이 출토 실물이다. 인더스문명 아이콘 중 한 분인 이 털보님은 일전에 소개한 적이 있다. 인더스문명의 아이콘 Priest-King, 결론은 nothing 허망하게 저 분이 무슨 일을 하시던 분이며 저런 조각을 왜 만들었는지는 단 하나도 명쾌히 밝혀내지 못했지만 저 강렬한 인상은 인더스문명을 각인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수천년이 흘러 채색은 바랬지만 저 분이 무채색일 리는 없을 테고 비주얼 살려 봤더니 저렇댄다. 때깔이라는 말이 있다. 굶어죽어도 때깔이 고와야 한다 할 때 그 때깔이다. 그 때깔이 있냐 없냐에 따라 같은 분.. 2024. 7. 10.
인더스문명 최초의 부부합장묘와 Archaeology Magazine - A Plot of Their Own - Archaeology Magazine - July/August 2019At a 4,500-year-old necropolis in northern India, archaeologists discovered a grave containing the remains of […]archaeology.org 인도 데칸대학 신데Shinde 교수와 함께 우리가 조사한 인더스 문명 무덤인데 Archaeology Magazine에 나간 사실조차 모르고 있었다. 늦긴 했지만 블로그에 스크랩 해둔다. 믿거나 말거나 이 무덤이 지금까지 인더스문명 무덤에서 발견된 최초의 부부합장묘였다. 관련 논문은: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61.. 2024. 7. 4.
뿔난 토끼? 덴마크 켈틱? 아래 김단장께서 올리신 글을 보니, 문득 옛날 인도에서 작업할 때 줏어 들은 이야기가 있어 간단히 써둔다.   인더스 문명의 인장 (Seal)에 묘사되어 있는 사람이다. 인도 고고학에서는 이를 요기Yogi 혹은 프로토시바 Proto-Shiva 라고 부른다. 뿔이 나 있고 결가부좌를 틀고 있다.   인도에서는 이를 시바신 원초적 형태로 보아인더스문명 시기부터 이미 시바신 숭배가 있었다는 증거로 본다. 인도-유럽어족이 공통의 뿌리에서 갈려 나온 것을 보면, 아마 이 둘은 모종의 연관이 있는지도 모른다.  *** related article ***  켈트 신은 뿔이 난 띨빵 토끼? 2024. 6. 14.
뿔난 인더스 신, 그 정체는? 기원전 2350-2000년경 모헨조다로Mohenjo-Daro 인더스 계곡 Indus Valley 고고학 유적 발굴 과정에서 발견된 파슈파티 인장 Pashupati seal 이다. 발견번호 420이라는 명패가 주어진 이 깨진 도장은 뿔이 나거나 뿔이 달린 머리장식 horned headdress 착용 커다란 중앙 인물을 표현한다. 아마도 삼두엽 tricephalic 뿐만 아니라 이두엽 ithyphallic 을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코끼리, 호랑이, 물소, 코뿔소 네 마리 야생동물에 둘러싸여 있는 요기 로터스 Yogic Lotus 를 연상케 하는 자세로 앉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고고학자 마샬은 이 인물을 파슈파티 최고 동물신으로 결론짓고 힌두교신의 대명사이면서 루드라Rudra라고도 하는 파라메스와라 .. 2024. 6. 14.
주사위 놀이를 즐긴 인더스문명 파키스탄 고대 도시 인더스 밸리 문명 Indus Valley Civilization (기원전 2600-1800) 하라파 Harappa 출토 테라코타 주사위 Terracotta Dice 1995년과 2001년 사이에 하라파에서 발굴하는 동안 잔해에서 점 dots 이 1~6개인 입방형 주사위 cubical dice 가 발견되었다. 모헨조다로에서도 많은 주사위가 발견되었다. 존 마샬 John Marshall 은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그 주사위는 모헨조다로 Mohenjo-daro 에서 흔한 게임이었다. 발견된 조각 수로 증명된다. 모든 경우에 그것들은 흙을 구워 만들었고 일반적으로 크기가 1.2 x 1.2 x 1.2인치에서 1.5 x 1.5 x 15인치 사이인 입방체다." 저 주사위가 한국문화엔 언제쯤 발.. 2024. 5. 24.
인더스문명의 아이콘 Priest-King, 결론은 nothing 이에 대한 마뜩한 번역어가 아직 확실히 정착하지는 않은 듯하거니와, 이웃 일본에서는 신관왕神官王이라 하는 모양이다. 영 일본 색채 짙어 나는 피하고 싶거니와 나는 사제왕 정도가 어떨까 한다. 한국에서는 가운데 대시[-]를 좋아하지는 않으니 그냥 빼고 사제왕이 어떤지 모르겠다. 사실 그 명칭이 무엇이건 저 양반을 Priest-King 이라 하지만, 저런 명칭 자체 부여가 애매모호하기만 해서 Priest 이자 King이라는 의미인지 아니면 Priest or King인지도 아리까리하기만 하다. 저네들도 확실치 않으니 저런 식으로 구렁이 담 넘어가듯 하는 게 아니겠는가? 저 Priest-King은저 유명한 모헨조다로 Mohenjo-daro 출토라 white, low fired steatite 이며, 규격은 17.. 2024. 5.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