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0095

[파적破寂] 어느 백수의 어느 하루 축구광인 이 백수는 이 날을 넘길 수는 없다. 더구나 아스널 광팬 gooner임에랴. 오늘 새벽 네 시, EPL 선두권을 달리는 런던 기반 아스널이 파리를 절대 본거로 삼는 프랑스 명문구단 PSG 파리생제르맹을 홈으로 불러들여 24-25 시즌 챔스 2라운드 경기를 치를 예정이었거니와 저번 오프닝 라운드에서는 아틀란타 이태리 원정에서 다비드 라야 눈부신 PK 선방쇼에 힘입어 0-0으로 비겨 승점 1점을 획득한 데 지나지 아니해서 런던 에미리츠 스타디움에서 벌어지는 이번 라운드는 기필코 승점 3점을 챙겨야 하는 경기였다. 아스널은 주장 마틴 외데고르가 노르웨이 국대 경기에서 발목을 다치는 바람에 결장이 얼마나 길어질지 장담할 수 없는 노릇. 그에 적응하고자 무던히도 아르테타는 여러 실험을 가동하고 있거니와 .. 2024. 10. 2.
[독설고고학] 토기 타령 집터 타령 도토리 타령, 타령타령타령만 일삼은 암사동 유적 한국고고학사전(2001)암사동 유적(서울 岩寺洞 遺蹟)설명 서울특별시 강동구 암사동에 있는 선사시대의 마을유적으로 사적 제267호이다. 유적은 한강 아래쪽의 하안단구에 위치하며 강 건너에는 아차산성이 마주한다. 1925년의 대홍수로 유물 포함층이 드러나면서 널리 알려졌고, 이때 橫山將三郞나 藤田亮策 등 일인학자들이 엄청난 양의 토기·석기를 채집하였다고 한다.광복 후에도 여러 차례 조사가 이루어졌으나 1966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조사단에 의해 정식 발굴되었다. 이때에는 원형 움집 2기와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 돌도끼(石斧), 그물추(漁網錘), 간돌화살촉(磨製石鏃) 등이 출토되었다.1967년에는 서울대학교를 비롯한 각 대학박물관의 연합발굴이 있었으며 1971 ~1975년 사이에 국립중앙박물관 조사단이 4.. 2024. 10. 2.
심상하게 봐서 안되는 마한의 왕밤 삼국지 동이전에는 마한의 밤이 엄청커서 배 만하다는 말이 있다. 이 이야기를 쉽게 넘겨서는 안 되는 것이. 동이전이 쓰여진 시대는 서기 3세기인데 이미 이때에 굉장히 큰 밤이 있었다면, 이렇게 큰 밤을 키워내기 위해서는 밤나무의 선별 재배가 얼마나 오래 전부터 시작되었다고 보는지? 이렇게 큰 밤 이야기는 이보다 시대가 좀 떨어지기는 하지만 신라에도 있었다는 것을 보면한반도 남부에 상당히 큰 밤이 꽤 여러 군데 존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큰 밤의 선별 재배가 언제부터였다고 보는가?  참고로 일본은앞에서도 언급했듯이 팥을 재배한 것이 세계 최초로 일본열도에서 이루어졌는데 그 시기는 조몬시기라고 본다는 말이다. 이유는? 한반도와 중국에서 발견된 팥보다 그 크기가 크기 때문에-. 삼한시대에 있었다는 .. 2024. 10. 2.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밤[栗] 언젠가 여기 한 번 썼던 것 같은데, 우리가 주목해야 할 작물의 하나로 밤이 있다. 역사기록을 보면 한국땅의 밤은 크다고 소문이 나 있으며크다는 것은 결국 오랫동안 사람 손을 탔다는 이야기가 되겠다. 밤나무를 관리하고 보다 큰 밤을 얻기 위한 노력을아주 긴 시간 동안 해온 증거라는 말이다. 최근 일본은 팥이 일본땅에서 처음 작물화했다는 소리를 하는데그 근거를 보면 딴 거 없다. 조몬시대에 나는 팥이 중국이나 한국보다 더 크다. 딱 한가지 이유다. 뒤집어서 생각해 보면한반도에 났다는 큰 밤. 이걸 우리는 심상하게 보아서는 안될 것 같다. 흔히 신석기시대 하면도토리만 줄창 이야기하는데 왜 밤 이야기는 많이 안 나오는지 모르겠다. 한국 고대 기록에 밤 크기가 상당했다는 기록이 나오는 것을 보면밤은 이미 신석기.. 2024. 10. 2.
포토 바이 오가 포착한 경주 흥륜사 경내 영묘사지 가을 발굴현장 근자 경주 땅 흥륜사 경내 추청 영묘사 터 중 금당터 발굴이 있었거니와 그 소식은 비교적 상세히 전했으니 경주 지역을 기반으로 삼지만 행동 구역은 전국구인 문화재 전문 사진작가 오세윤 형(포토 바이 오)이 저 발굴현장을 찾아서 드론 촬영을 감행했으니 사진은 그에서 포착한 흥륜사 일대 풍광 중 한 장면이다. 홀라당 표피를 걷어낸 지점이 금당터라 해서 조사단인 서라벌문화유산연구원이 발표한 데라 한 눈에 봐도 적지 않은 규모를 자랑하는 건물터 초석렬이 감지된다. 오른쪽으로 달리는 도로가 보이는데 저 도로 주변 지점 배수관 공사인가를 하는 과정에서 작년 고려시대 불교공양구가 잔뜩 쏟아지는 바람에 이번 본격 발굴이 있게 되었다. 부디 이번 발굴이 저와 같은 화상 영상 자료로도 풍부히, 그리고 아주 잘 남아 후세를.. 2024. 10. 2.
세르비아 신석기인은 ET? 의인화한anthropomorphic 피규어의 머리 재료: 광택이 나는 구운 점토 신석기시대Neolithic (younger Stone Age) 용기vessel기원전 5000-4500경 빈차 문화Vinča culture 세르비아 남동부 프로쿠플레Prokuplje 근처 고고학 유적 플로치니크Pločnik 출토. 이 얼굴은 눈이 크고 코가 두드러진 반듯하고 삼각형 모양 가면 형태로 제작되었며 입은 보이지 않는다.굽기 전 신선한 점토로 자른 선형 장식을 갖춘 머리와 얼굴 전체를 표현했다.베오그라드 세르비아 국립박물관 소장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in Belgrade.© ArchaeoSerbiaCredit: Dr. M.F. Khan금속기 시작 기원전 5천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나? 2024. 10. 2.
이토록 아름다운가? 사진빨 사기다. 코르도바Córdoba 이 로마 다리는 원래 과달키비르Guadalquivir 강을 가로질러 기원전 1세기 초에 건설된 구조를 근간으로 삼는다. 이후 줄기찬 개보수를 거쳐 오늘에 이른다. 스페인 남부 안달루시아 코르도바 역사 센터에 있는 이 다리. 속지 마라. 사진에 속지 마라. 갖은 포토샵으로 그려낸 환영이다. 조작이 판치는 시대. 저런 식으로 개사기쳐서 사람들을 불러모은다. 춘배는 못 가봐서 사긴 줄 모르나 난 가 봐서 사긴 줄 안다. 2024. 10. 1.
여름철 방목하는 돼지 북위 말 내지는 동위東魏시대 고양高陽 태수太守를 역임한 가사협賈思勰이 찬撰한 종합 농서農書 제민요술齊民要術 권 제6 제58은 제목이 당장 양저養豬라, 간단히 돼지 기르는 방법을 정리한 대목이다. 이에는 돼지 기르는 방법으로 다음을 설파한다. 春夏草生,隨時放牧。糟糠之屬,當日別與。〈糟糠經夏輒敗,不中停故。〉八、九、十月,放而不飼。所有糟糠,則蓄待窮冬春初。〈豬性甚便水生之草,杷耬水藻等令近岸,豬則食之,皆肥。〉 初產者,宜煮穀飼之。 봄과 여름 풀이 나기 시작하면 수시로 방목放牧한다. 지게미[糟]나 겨[糠] 같은 종류는 당일 나누어 준다. 〈지게미와 겨는 여름을 지나면 갑자기 부패하니 오래 두지 않는다〉 8월과 9월과 10월에는 방목하고 사료를 따로 주지 않는다. 지게미나 겨 같은 종류는 비축해 두었다가 궁한 겨울이나 초봄.. 2024. 10. 1.
헌책방 vs. 중고서점, 그 앰비규어티의 문제 무심히 저 말들을 쓰지만 살피면 둘 다 앰비규어티가 너무나 심하다. 먼저 헌책방. 물론 우리가 일상에서 보통 쓰는 의미는 헌책之房이라 헌책을 취급하는 서점이다. 하지만 저 말이 헌한 책방, 곧 책방 자체가 헐었다는 뜻이 되지 말란 법 없다. 이 경우 어찌 표현할 것인가? 역시 헌 책방이다. 이때는 뛰어쓰기를 하는 편이 좋다. 다음 중고서점. 이 역시 헌책방과 같은 의미로 쓰나 서점 자체가 중고라는 의미도 얼마든 가능하다. 중고책을 취급하는 서점이라 할 때는 중고서之점이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하지만 모두가 중고/서점이라 분절해서 이해하거나 읽는다. 이는 분명 의도와는 달리 서점 자체가 중고하다는 뜻이다. 중고한 서적을 취급하는 책방은 중고서/점이라 분절해야 한다. 2024. 10. 1.
폐기도서의 책생유전冊生流傳 1910년, 일본 도쿄에서 마쓰이 자작과 마에다 법학박사가 함께 란 책을 낸다. 나오고 바로 이 책은 현해탄을 건넌다. 대한제국 관립한성외국어학교에서 구매했기 때문에. 얼마 뒤 대한제국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학교도 문을 닫는다. 그 장서를 인수한 곳이 경성고등보통학교. 대한제국 관립한성중학교 맥을 잇는 곳이었다. 거기서 이 책은 법法 16호란 분류기호를 얻는다. 1938년, 학교 이름이 바뀌어 경기중학교가 된다. 하지만 자리는 지금 정독도서관 자리인 거기 그대로였다. 이 책은 계속 거기 있었던 모양이다. 중학생이 읽기엔 뭐가 뭔지 모를 내용이었을텐데. 그래서인지 대출카드가 깨ㅡ끗하다. 경기중에서 경기고가 분리되고, 다시 경기중이 폐교되고, 종로 한복판에서 강남 봉은사 맞은편으로 옮겨가는 과정 어드메.. 2024. 10. 1.
[그리스 고고학] 톨로스 무덤 Tholos Tomb 그리스 고고학을 마주할 때 저 말을 심심찮게 역시 마주치는데 대체 어떤 무덤을 톨로스라 할까? 저 톨로스 무덤을 설명할 때 언제나 빠지지 않는 대목이 있으니, 그리스에 대체로 국한하고, 특히 미케네인들이 청동기 시대에 지은 둥근 벌집 모양 구조물을 말한다는 사실이다. 물론 저런 무덤을 평민들이 쓸 수는 없는 일이고, 왕가를 비롯한 최고 지배계층만 썼을 것이다. 이를 위해 대체로 언덕을 절단해 편평하게 만든 다음 돌로 원뿔형 구조를 만들고, 드로모스dromos라 일컫는 넓은 입구를 별도로 구축했다. 어떤 면에서는 이런 형식은 한국고고학에서는 흔하게 이야기하는 이른바 횡혈식 석실분이다. 다만 그 석실 부분을 원뿔로 쌓아올린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이다. 이런 무덤은 위압성이 있다. 눈에 잘 띄기 때문이다. 이.. 2024. 10. 1.
조선시대 미라에 대한 마지막 책: 대중서로 가는 징검다리 조선시대 미라에 대해서는 그 동안 논문도 많이 냈고 단행본 챕터로도 발표한 게 많아 사실 이제는 쓸 만큼 썼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최근에 조선시대 미라만 다룬 단행본을 하나 써달라는 청이 있어 해외 출판사와 구두계약을 한 상태다. 이 책 집필 약속을 하고 나니 고민인 것이 조선시대 미라에 대해서는 이것저것 논문 단행본 챕터로 쓴 것이 많아 쓸 만큼 쓴 상태인데 막상 보니 또 조선시대 미라 자체에 대한 책은 하나도 나온 게 없어 이런 책이 필요하다는 출판사 이야기도 틀린 이야기는 아니다. 따라서 쓰는 게 맞기는 맞겠는데 그냥 쓰자니 또 이미 발표한 내용의 반복이 될것 같아 고민이었는데, 이에 대한 생각을 마침내 정리했다. 책의 내용은 흥미진진하게, 학술서적이라기 보다는 학술서적과 대중서 딱 중간 정도의 .. 2024. 10. 1.
[잡곡재배 이야기] 수수 수확 by 신소희 어제 드디어 수수를 베었다.기계가 모든 것을 다 하니 사람은 이삭  줍기랑, 간간히 일어나는  콤바인 흡입, 퇴출구 줄기 끼임  문제만 해결하면 된다.콤바인 작업해 주시는 아버님 말씀으론 수수대가 올해 다른농가 대비 최고로 딴딴하다고 하신다.수수 베고 마늘이 먹을 미생물이랑,  석회랑, 기본 거름을 수수심기 전에 넉넉히 넣고 수수를 심으니.. 수수가  신나게 자란 듯.   생강도 그렇고 수수도 그렇고 양파도 그렇고 마늘에 쏟는 정성 반만 쏟아도 어디가서 빠지지 않는 농사 결과가 나온다. 아무리 생각해도 마늘은 요물이다.그럼에도 마늘을 내가 키우는  작물 중 최고라고 생각하고 버리지 못하는 내마음....마늘들이 알아줄까?아무리 봐도 나의 외사랑이다.아무튼 이 수수대가 마늘밭에 들어가면 마늘들이 남다르게 자.. 2024. 10. 1.
신라금 공개하는 2024년 정창원전 일본국 나라국립박물관이 연례로 가을마다 개최하는 궁내청 소장 고대 일본황실 정창원正倉院展 보물전 2024년 제76회 전시가 올해는 10월 26일(토) 개막해 다음달 11월 11일(월)까지 이 박물관 동신관 서신관에서 열린다. 고도古都 나라의 가을 축제를 상징하는 이 전시는 1946년 팡파르를 알린 이래 처음 전시회의 문을 연 이래로 76회를 맞이하는 이번 대회는 "귀족들의 생활을 떠올릴 수 있는 가구류 등의 공예품, 의복 및 장신구, 불교 도구, 문서 등 쇼소인 보물의 전체상을 느낄 수 있는 보물을 회장에서 만나보실 수 있다."라고 박물관은 선전한다. 그렇담 어떤 유물이 구체로 선보이는가? 비단 장식이 아름다운 「자색 바탕 봉황 장식 무릎 베개」(북창 47)는 쇼무 텐노가 실제로 사용한 유물로 각별한 의.. 2024. 10. 1.
부여 고구려의 가축사육: 유목의 흔적이 아니다 삼국지 동이전에 나오는 부여 고구려-. 삼한이라는 남쪽 사회와 비교해 보면가축의 사육이 두드러진다. 한반도 청동기 문화의 영향권 안에 있던 야요이시대 일본이곳까지 삼한과 같은 계열로 넣고 본다면, 남쪽으로 내려 올수록 가축의 사육이 미흡하여서기원년까지도 일본의 경우 개 돼지 외에는 사육되는 가축의 종류가 뚜렷하지 않았다. 반면에 부여 고구려로 올라가면 각종 가축이 다양하고 풍부하게 사육되고 있었던 것 같다. 이를 우리는 북방사회의 유목의 흔적이라고 보는 것 같다. 그러나 필자가 보기엔이건 유목의 흔적이 아니라  잡곡사회의 흔적이다. 중국도 황하유역 잡곡사회가 남방 양자강 유역보다 가축사육이 훨씬 흥성했다. 같은 현상이 요하 이동에서도 펼쳐진 것이다. 북쪽에서 남쪽으로 내려올수록 도작이 강화되고 가축사육이.. 2024. 10. 1.
부여 고구려는 유목민이 아니다 그리고 원래 유목민이었다가 어영부영 농경문화에 들어온 그런 사람들도 아니다. 부여 고구려는 농경민, 그 중에서도 잡곡을 바탕한 잡곡농경민이다.원래 잡곡농경민이 각종 가축사육이 많다. 황하유역도 용산문화 시기에 이미 우리가 생각하는 농경사회에서 사육하는 거의 대부분의 가축 사육이 완성되었다. 부여 고구려는 삼국지 동이전 보면 없는 가축이 없다. 이 사람들이 유목민이라 그런 것이 아니다. 잡곡농경민이기 때문이다. 잡곡농경민은 원래 가축 사육을 끼고 살았다. 이 부여 고구려 유목민설에 기마민족론을 희안하게 결합하여 탄생한 것이 한국인의 조상이 원래 말타면서 유목했을거라는 건데한국문화는 유목문화에 기원한 적도 없고 유목민이 주류였던 적도 없다. 잡곡농경이냐 도작농경이냐그 차이만 있을 뿐. 중국에서 황하문명이냐 .. 2024. 10. 1.
새마을운동 이전의 농촌이 조선시대 농촌이 아니다 새마을운동은 우리나라 농촌을 엄청나게 바꾸었다. 경지정리부터 주택개량, 도로포장, 종자개량 등등 가난에 찌든 농촌의 모습을 바꾸었다.그런데-.우리는 이 새마을운동 이전의 농촌을 수천년간 이어져 온 한국의 전통적 농촌이라 생각한다.쉽게 말해서 새마을운동 이전의 농촌이 조선시대 농촌의 모습이라 생각한다는 말이다.그런데,새마을운동 이전의 농촌은 조선시대 농촌과 같은 것이 아니다.조선시대 농촌과 새마을 운동 이전의 농촌도 사실 알고 보면 다른 것이다.우리가 지지리도 못 살았다고 생각하는 새마을 운동 이전의 농촌.그런데 그 지지리도 못살았던 그 농촌보다 더 못 살았던 것이 조선시대 농촌이다.한국인이 닭고기를 제대로 먹게 된 건 70년대 전기통닭집부터다.돼지고기는 요즘 소고기보다 싸고 하니 옛날에는 많이 먹었을 것.. 2024. 10. 1.
대따시 폼 나는 괴베클리 테페 뭐 볼짝없이 튀르키예 괴베클리테페 Göbekli Tepe인데 사진이 좋아 뽑아다 소개한다. 입 아프게 소개했듯이 이곳은 11,000년을 거슬러올라가는 초초기 신석기 거석기념물. 현재까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사원으로 통용한다. 이 고고학적 경이로움은 조직된 도시가 존재하기 훨씬 전에 발전된 영성spirituality을 보여주며 초기 인류 사회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다시 쓰게 했다. 2024. 10. 1.
나한테 복만 준다면야, 이시스와 아프로디테가 결합한 새로운 여신 이른바 문화융합 혹은 문화교섭은 시간과 공간을 막론한다. 나한테 복을 내려준다는데 그 귀신이 서양귀신이건 무슨 귀신이건 무엇이 문제겠는가?이시스-아프로디테 Isis-Aphrodite. 이시스는 이집트 기반이요 아프로디테는 그리스 기반이다. 둘 사이에는 이렇다 할 공통분모가 크지는 않지만, 이걸 받아들이는 쪽에서는 둘을 착종해서 새로운 신 하나를 만들어냈다. 미와 사랑의 여신 아프로디테에다가 다산을 앞세운 이시스를 붙이면? 이시스는 결혼과 출산과 관련하며 환생 또한 연동한다. 누이 좋고 매부 좋고.원반과 뿔로 머리를 장식한 이집트 그리스-로마 신.  이런 짬뽕 양태 여신은 가정집과 무덤에서 모두 발견된다. 이미 기원전 3~2세기에는 저런 짬뽕이 인기를 끌었으며 로마시대가 완전히 개막한 이후에도 인기는 더해.. 2024. 10. 1.
사슴이 사라져갈 때: 왜 소가 소비되었을까 꿩과 닭이 가진 대체재적 성격을 여기 여러 차례 써 보았지만, 이런 대체제 성격을 지닌 또 다른 예가 사슴과 돼지다. 이 둘도 하나가 많으면 다른 하나가 적다. 예를 들어 사슴뼈가 많이 나오는 곳은 돼지뼈가 적다. 사습뼈가 줄면 돼지뼈가 늘어난다. 이 둘은 대체재 성격이 있는 셈이다. 이건 세계적 현상이다. 우리도 발굴현장에서 사슴뼈가 많이 나온다. 사습뼈가 많이 나오는 곳은 단백질 공급을 사슴고기로 하고 있었다고 생각하면 된다. 재미있는 것은 우리나라는 사슴고기 소비가 줄어들면서 돼지 소비가 늘어난 것이 아니고 조선시대에는 소를 잡아 먹었다는 사실이다. 정부에서는 잡아 먹으면 안된다, 농사를 지어야 하니까 라고 했는데 그래도 잡아 먹었다. 소를.이유는? 돼지가 크기도 작고, 성장도 느려서 육고기 공급을.. 2024. 10. 1.
황남대총 앵무조개와 강소성 앵무조개 연전에 국립중앙박물관 쪽에서 경주 황남대총 남분에서 출토된 앵무배 한 쌍에 대한 보전처리 성과를 발표한 적이 있었다. 사진 위 두 장은 출토된 상태 것이고 아래는 그것을 토대로 원형을 추정한 형태다. 이런 연구성과는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실 김종우 학예연구사 이름으로 그네들 잡지 '보존과학' 제22집(2019)에 게재한 '경주 황남대총 출토 신라 앵무새'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발표되었거니와 그에서 김종우는 "1973~75년 조사된 황남대총 남분에서 출토된 금동제 조개 유물을 분석한 결과 앵무조개 금제와 금동제잔 1쌍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했다. 그에 의하면 종래 그 보고서에서는 금동제 패각 장식구편金銅製貝殼裝飾具片이라고 등록된 한 쌍 조개 유물을 분석한 결과 이 조개장식은 앵무조개과로 확인됐고 금동제와.. 2024. 10.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