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0096

동생한테 여러 물건을 사달라는 파피루스 쇼핑 리스트 편지 헤라클리데스Heraclides가 그의 형[동생일 수도] 페테코이스Petechois한테 쓴 이 파피루스 편지papyrus letter는 쇼핑 목록이다. 그는 형한테 다양한 가격으로 가금류poultry, 빵, 루핀lupines, 병아리콩chick peas, 강낭콩kidney beans, 그리고 호로파fenugreek를 사달라고 부탁한다. 그리스어로 쓰여 있고 서기 3세기 초 이집트에서 출토됐다. 자세히 보면 필기 자료를 만드는 겹친 파피루스 조각들을 볼 수 있다.이러한 문서는 로마 세계의 읽고 쓰는 능력 수준에 대한 중요한 증거를 제공하고 일반 사람들의 일상 생활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뉴욕 메트로폴리탄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Title: Papyrus letter in Greek Period: Lat.. 2024. 9. 29.
필자가 하는 이야기에 대하여 필자가 하는 이야기가 역사학, 고고학, 유전학을 넘나든다고 해서 이 이야기들이 역사학, 고고학, 유전학 범주에 있는 이야기라고 생각 말아주기를 바란다. 필자는 2000년대 초반부터 고고학 발굴현장에서 여러 가지 작업을 하고 많은 역사학자분과 교류하며 논문을 써왔지만 필자가 고고학자라던가 역사학자라는 생각은 단 한 번도 해본 적이 없다. 인간의 건강과 질병에 대해 답을 찾다 보니 자연스럽게 다른 분야에 넘어간 것이지필자의 이야기에 발굴 이야기, 문헌 이야기가 나온다고 해서 고고학? 역사학?필자는 그런 학제간 장벽의 존재에는 별로 관심이 없다. 이 블로그에 계속 쓰고 있듯이 필자가 그리고 있는 큰 주제가 있는데 이 주제를 파고 들어가기 위해 펼쳐 놓는 그물 안에 고고학 비스무리한 것, 역사학 비스무리한 것,.. 2024. 9. 28.
아프로디테는 패총이 좋아? 조개구이집 딸? 이런 소재 그림이나 조각으로 가장 저명한 것이 보티첼리 비너스의 탄생이리라. 피렌체 우피치미술관 소장품 말이다. 저 양반 벌개벗은 모습은 이해가 간다. 태어날 때 옷 입은 사람 없으니깐 말이다. 한데 태어날 때 이미 성장 농염녀다. 더 요상한 점은 로마신화에서는 비너스Venus[실은 베누스로 읽어야 한다]인 이 아프로디테Aphrodite는 불알에서 태어났다. 하긴 뭐 불알에서 태어나지 아니한 사람 있을까? 그리스 신화에 의하면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Aphrodite는 키프로스Cyprus 주변 물에서 벌거벗은 채 탄생한다. 크로노스Cronus가 그의 아버지 우라노스Uranus를 거세하고castrating 그의 성기genitals를 물에 던지면서 발생한 바다 거품에서 탄생한 이가 아프로디테다. 아프로디테(비너.. 2024. 9. 28.
국경을 탈출한 최몽룡의 남경 식탁 한 시간 장광설 이 양반이 고고학 현장에서 무수하게 남긴 일화야 두 말 해서 무엇하랴만, 개중 최몽룡표 전매특허가 장광설이라 이 양반은 국적 불문, 전공 불문 가리지 아니하고선 각종 회의 석상 같은 데서 일대 장광설을 펼치기로 유명한데, 문제는 이게 국경을 넘어서도 그랬다는 데 심각성이 있었다. 국내야 그런갑다 하고 말지만(난 이골이 나서 저 양반 마이크 잡는 순간 딴데로 틘다.) 국경을 탈출해서도 이런 모습이 펼쳐지는데 당혹스럽기 짝이 없었다. 대략 20년 전쯤, 선생을 모시고 남경 일대를 간 적 있다. 내가 자주 소개한 남경 손오대묘孫吳大墓가 발굴된 직후였으니, 그 현장도 돌아보고 했다. 당시 어떤 인연이었는지 모르겠지만, 통역 겸해서 중국통 미술사학도(본래는 고고학도다) 양은경 부산대 교수가 동행했으니, 북경대 고.. 2024. 9. 28.
기장을 주식으로 삼고 동물을 사육한 4천년 전 오르도스 신석기인들 사일탑날 유적沙日塔拉遗址는 중국 내몽고자치구 오르도스시于鄂尔多斯市 이진홀로기伊金霍洛旗 이진홀로진伊金霍洛镇 사지타라촌沙日塔拉村 동쪽 언덕 지대 약 30만㎡에 걸치는 대략 4천 년 전 신석기시대 말기 취락 유적이다. 도랑 건설로 파괴되면서 2021년 이래 현재까지 내몽고자치구문물연구원内蒙古自治区文物考古研究院이 관련 현지 기관들과 협력해 발굴 조사를 벌인 결과 이곳은 집터, 매장지, 도기 가마를 통합한 대규모 집합체이며, 주개구 유적朱开沟遗址과 백오포유적白敖包遗址에 이은 오르도스 지역의 용산문화龙山文化 후기부터 상나라 초기에 해당하는 중요 유적임이 드러났다. 이 시대 중원에서는 청동기가 등장하기 시작했을 무렵이겠지만, 이쪽은 아직 신석기시대라, 청동기시대 개막 직전 혹은 등장 무렵이라 봐야 할 것이다. 202.. 2024. 9. 28.
이사벨라 버드가 온돌에서 죽다 살아난 까닭 이사벨라 버드의 글을 읽어보면 재미있는 이야기 중 하나가 뜨거운 온돌방이 인상적이었던 모양으로, 견딜 수 없을 정도로 방을 달구는 여관집들이 아마도 이해가 안 갔던 모양이다. 그래서 이 꼼꼼한 할머니는 온돌방에 앉아 방 온도까지 재서 그것을 기록해 놓았는데 한번은 39도까지 올라갔다고 한다. 그래서 너무 더워 방문을 좀 열고자 하면 호랑이 들어온다고 방문 닫으라고 한 모양이다. 꼼짝없이 매일 밤마다 35를 넘나드는 온돌방에 앉아 도대체 왜 이렇게 죽도록 방에 불을 때나 이해가 안 간 모양이다. 오늘 김단장 쓰신 글을 보니 여관집은 아마도 쇠죽 쑤는 김에 온돌방도 같이 달구었음이 틀림없다. 그 사실을 알았다면 현대 인류학적 시각을 100년도 전에 이미 가지고 세상을 바라봤던 이 똑똑한 할매는 아 그래서 그.. 2024. 9. 28.
이사벨라 버드의 한국 기행 한 가지 놀라운 것은 이 분이 1831년 생인데 한국 여행을 1878년 (47세)에 처음하고 두번째 방문을 무려 1897년 (66세)에 한 다음 1898년 (67세)에 저 유명한 한국에 관한 여행기를 썼다는 점이다. 이 양반의 기행문을 보면 알겠지만그냥 유람하는 정도가 아니고 배를 타고 단양, 영월, 금강산에 원산까지 누볐다. 이걸 무려 할 매 혼자 돌아다녔다는 점이 놀라울 뿐이다. 그냥 안 가보고 대충 적은 거 아닌가 싶다가도 그 묘사의 디테일, 관찰의 정확성을 보면안 가보고는 도저히 적을 수 없는-.  21세기에 인도에 가서 땅을 파도 덥고 힘들어 죽네 사네 하는 판에 놀라울 뿐이며 나이 60대에 이런 업적을 남길 수 있는 것을 보면 나 같은 사람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사벨라 버드가 전하는 .. 2024. 9. 28.
장사 마왕퇴 한묘漢墓와 최몽룡 중국 호남성 장사 마왕퇴 3호 한묘 中國 湖南省 長沙 馬王堆 3號 漢墓 현장이다. 2006년 9월 14일이다.바로 이곳에서 저 유명한 백서帛書 문헌이 무더기로 출토됐다.당시만 해도 현장은 슬레이트인가 양철 지붕만 씌워놓고 저런 상태였는데 지금은 많이 바뀌어 곱게 단장했다고 들었다. 저곳을 찾을 날이 최몽룡 선생 회갑 때인가였다. 그 회갑 잔치 해준다며 주류성 최병식 사장이 선생을 모시고 장가게 일대를 돌았는데, 귀국하는 일정에 잠깐 짬을 내어 택시 대절해 급히 다녀온 곳이 저곳이다. 몽룡 선생은 한사코 예정에 없던 코스를 선택해서는 안 된다고, 그래서 안가겠다 버텼지만 막상 현장에 모셔다 놓으니 날아다녔으며 이후 주구장창 저 자료를 써먹더라. 사람 맘 갈대야. 저 양반 마왕퇴 현장은 첨으로 본 순간이었다. 2024. 9. 28.
[독설고고학] 가축 사육, 특히 여물의 문제 소나 말은 되새김 동물이라, 요새는 사료를 드시지만, 몇십년 전으로로만 거슬러 올라가도 사료? 그 딴 게 어딨어? 다 여물로 때웠다. 여물이란 무엇인가? 간단히 말해 풀이다. 하나 조심할 점은 소나 말도 사람과 마찬가지라 먹는 풀과 먹지 않는 풀로 나뉘어 있어 같은 되새김 동물이지만 염소랑은 또 왕청나게 달라서, 이 염소의 경우가 식성이 가장 잡식성이라 쳐먹는 꼴을 보면 거의 멧돼지의 그것을 방불한다. 달력까지 찢어드신다.예서 문제가 겨울과 초봄이다. 새순이 올라오기 전 그 시즌 말이다. 한반도는 저주 받은 땅이라 제주 같은 극히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선 겨울에 풀 구경을 할 수는 없다. 염소의 경우는 소나무 이파리는 물론이고 그 껍데기까지 벗겨 먹는 바람에 염소야 정말 먹일 게 없을 때는 이파리가 달린 .. 2024. 9. 28.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 열하일기 친필 초고본 공개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이 연암 박지원 열하일기 친필 초고본을 공개하는 행사를 한댄다. 기간이 10월 8일부터 12월20까지라니 기간이 좀 짧다. 저 친필초고본 출처가 어딘지 모르겠지만, 아마 연민 이가원 선생 컬렉션 아닐까 한다. 연민문고가 거의 몽창 단국대로 기증되었는데, 기증 이후 좀 소란이 있었다. 그것이 나중에 정리되었다는 말은 들리던데 자세한 내막은 모르겠다. 열하일기 친필 초고본이라면, 연암 박지원이 저걸 직접 쓴 첫 원고라는 뜻이다. 저것이 훗날 어떤 형태로 재가공되어 식민지시대에 공간이 되는 것으로 기억하는데, 이 역시 하도 손을 놓은지 오래라 가물가물하다. 관심 있는 분들 참고 바란다. 2024. 9. 28.
이사벨라 버드가 전하는 흡혈귀 이야기 필자가 최근 읽고 있는 구한말 외국인의 한국기행문 중에는이사벨라 버드의 저작 이상이 없다. 그녀의 날카로운 관찰력, 그리고 대상에 대한 기본적 애정은 필자가 부끄러울 지경이다. 이 양반은 지금 태어났다고 해도 세계적인 인문학자로 대성했을 것이다. 물론 한국에서 태어난다면 어렵겠지만. 이사벨라 버드의 책을 보면, 흡혈귀 이야기가 나온다. 그녀의 이야기에 의하면 조선에 사는 이 흡혈귀는 바로 "양반"이다. 아무것도 안 하는 이들이 농민의 피를 빤다는 것이다. 이 점에서 이사벨라 버드가 주목한 것은 "농민의 피를 빠는"데 있지 않았을 것이라 본다. 굳이 자본론을 들먹이지 않더라도 이 세상에는 싫던 좋건 그렇게 지배자와 피지배자가 오랫동안 역사를 만들어 왔기 때문이다. 지배자라고 해서 유럽에 없었겠는가?미국에 .. 2024. 9. 28.
왜 폼나는 말은 유지하기 어려운가 구한말 외국인의 눈에 비친 한반도의 말은 대부분 조랑말인데 이에 대한 평가는 이원적이다. 부정적 측면은 체고가 낮고 성질이 좋지 않아 마부들이 통제하기 어렵고심지어는 자기들끼리도 싸우는 판이라 말로 부리기가 어렵다는 기술이 있는 반면긍정적 측면을 보면 적게 먹고 아무거나 먹고 크기는 작은데 끈기가 있어서 먹은데 비하면 엄청나게 멀리 간다는 것이다. 이를 간추려보면 결국 한반도에서 조랑말이 살아 남은 건 쉬는 장소에 풀어만 놔도 아무거나 잘 먹어서 마초가 필요없다는 점이 매우 크게 작용했다 할 수 있겠다. 군마로 쓸 만한 품종-. 우리 역사에서도 외부로부터 어느 시점인가는 들어왔을 수도 있겠다고 보는데 이런 말들은 전쟁이 조금만 뜸해지면 한반도에서 곧 도태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이 바로 이 사육의 어려움이.. 2024. 9. 28.
황하 홍수가 덮친 산동 제남 송금宋金 무덤들 중국 고고학도들이 근자 산동성山东省 제남시济南市 청녕촌 묘지青宁村墓葬라는 데를 발굴조한 모양이라, 그 성과 일단이 공개되었으니 이 무덤 떼는 제남시济阳区 최채가도崔寨街道 청녕촌 옛 지점에서 서쪽으로 약 500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2023년 5월 이래 동년 12월까지 제남시고고연구원济南市考古研究院이 공사판이 벌어지는 이곳에 대한 발굴조사를 시행했다.  발굴 면적 5천400㎡인 이곳에서 송나라에서 청나라 시대까지 걸치는 총 255개 무덤이 조사완료됐다. 구체로 보면 송금宋金시대 17기, 원元나라 19기, 명明 133기, 청淸 55기, 시대 불명 31기로 구성된다. 무덤 대부분은 손상이 극심하지만 각종 도자기와 동경, 동전을 포함한 각종 유물 700여 점(세트)이 출토되었다.송금宋金시대 무덤 17기는 모두.. 2024. 9. 28.
호박으로 만든 머리 핀 2020년 프랑스 도시 오툉Autun이라는 데 있는 로마시대 묘지 석관에서 그 묻힌 사람 발밑에서 발견되었다는 서기 4세기 무렵 호박으로 만든 핀[amber pins]이란다. 어디다 썼느냐가 문제가 되겠는데 일단은 머리 핀 hair pin으로 보는 모양이다. 비녀 비스무리할까? 다만 핀 기능이 다양하므로 꼭 어느 한 곳으로 고정하기는 힘들지 않을까 한다. 이 지역 발굴에 대해서는 따로 심층하는 글이 있어 추후 그것을 소개할까 한다. 2024. 9. 28.
마침내 모습을 드러낸 남해 서북륙파南海西北陆坡 수중 발굴품들 앞서 남해 서북륙파南海西北陆坡 1, 2호 침몰선 수중발굴 성과를 소개하는 특별전이 9월 27일, 중국 해남 남해박물관中国(海南)南海博物馆에서 개막한다는 소식을 전했거니와 이번 특별전 “심해유진深海遗珍”, 곧 깊은 바다에 남은 보물들을 주제로 하는 특별전이 마침내 오늘 개막했다. 저네들 보도에 의하면 이번 특별전에는 500년 넘게 심해에 잠들어 있다가 깨어난 유물 408점(세트)을 비롯해 다른 지역 수중 발굴품을 아울러 전시하기로 했다 했거니와 이번 개막을 보도하는 신화사 보도를 보면 진짜로 바글바글하니 내어놓은 듯하다. 이 보도에는 동영상도 첨부되어 있으니 참고 바란다. http://www.xinhuanet.com/photo/20240927/d3c2796d65d742ba8d2ef2a7d62673cd/c... 2024. 9. 27.
삼국지 동이전의 말....한반도에는 조랑말 뿐? 박물관에 가면 신라나 가야의 무사를 복원해 놓은 모형이 있는데 말을 탄 기마무사도 있다. 이 기마무사들은 모두 20세기 서러브렛Thoroughbred 같은 체고體高가 높은 말들이다. 마갑을 입은 말들도 모두 체고가 높은 우람한 말들 뿐이다. 그런데-. 비교적 문헌 자료가 많은 조선시대 기록을 보면 한반도 말들은 근세에도 그렇게 우람한 말들은 별로 없었다. 조선시대 기록을 보면 기병들의 열병을 하는데, 왕이 갑옷을 입히고 열병을 하자 하니, 대신들이 반대한다. 왜? 갑옷을 입고 말을 타면 말이 자빠진다는 것이다. 한반도의 19세기 말 기록을 보면 외국인들의 눈에 비친 한반도 말들은 모두 조랑말이다. 그리고 이 조랑말은 근성이 있고 적게 먹고도 멀리 가지만 성질이 나빠 조랑말끼리도 틈만 나면 싸우고 마부가 .. 2024. 9. 27.
망사 팬티보다 더 촘촘한 로마제국 도로망 Map Of The Roads Of The Roman Empire in 200AD 곧, 로마제국 한창 흥성기인 서기 200년 무렵 그 제국 내 로마제국 도로망 사정이 이렇다고 소개하는 지도다. 하나 조심할 점은 저런 도로망 전부를 로마제국이 닦았을 리는 없다는 사실이다. 기존 도로망을 이용한 경우도 물론 많다. 말 그대로 거미줄마냥 전 국토를 연결했다. 것도 더 놀라운 점은 저런 길 대다수가 포장도로였다는 사실이다. 나아가 실상을 아주 정확히 반영하는가? 하는 논란이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얼추 저 비슷했다 보아 대과가 없다. 저 도로망이 무엇을 말해주는가? 국가통치? 도로 없이 무슨 통치란 말인가? 저걸 전근대 한반도로 가져다 놓으면 한심하기 짝이 없어, 길이라 하지만 길다운 길이 어디 있었겠는가? .. 2024. 9. 27.
달밤에 매화 등걸, 추자도 출신 화가 원용식 달밤에 매화 등걸, 추자도 출신 화가 원용식제주이기도 했고 영암이기도 했던 섬 추자도. 그 추자도에서 태어나 서화로 입신立身한 해주海洲 원용식元容植이란 이가 있었다. 생몰년도는 분명치 않지만, 1900년대 초~중반을 살았던 건 확실하고 난초에 능했다고 전한다. 상당히 부유하게 살았고 곳곳을 유람하며 작품활동을 제법 많이 했다 전하나, 남은 작품이 썩 흔치는 않다. 그가 남긴 이 매화 그림은 줄기를 친 솜씨나 달빛으로 분위기를 우린 품으로 보나, 그의 실력이 하수는 아니었음을 보여준다. 허공을 엷은 먹으로 처리하고 매화를 부조처럼 띄웠다. 좀처럼 보기 어려운 방법인데 설중매雪中梅를 의도한 걸까. 하지만 수묵의 농담으로 매화 둥치의 입체감을 살린 점이나 달을 가린 구름이나, 화제의 서풍書風 등을 보면 아무래.. 2024. 9. 27.
저 광활한 몽골제국, 꿈은 무엇이었을까? 이 지도를 볼 적에 한국독자들이 불편할 수도 있는 대목이 있다. 저 몽골제국 판도에 고려 왕조가 그대로 들어가 있다. 한국사에서야 당연히 거부하지만, 냉혹히 말하면 당시 고려왕조는 몽고제국 부용국이었다는 점에서 불합리하다고는 할 수 없다. 몽골제국은 그 광활한 영토를 대칸이라 부른 황제가 다 직접 통치할 수는 없어, 붕건제후국처럼 분할하는데, 중국을 기반으로 삼는 원제국을 종주국으로 삼아 나머지 땅은 킵차크 칸국, 우구데이 칸국, 일 칸국, 차가타이 칸국으로 분할하니, 저 지도를 보면 그 칸국 중 하나가 보이지 아니한다. 저 네 개 칸국을 Khanates of the Mongol Empire라는 식으로 영어로 표현하곤 하는데, 볼수록 저 몽고제국 꿈이 무엇이었을까 궁금하기 짝이 없다. 저런 영토 확장을 .. 2024. 9. 27.
얼굴을 복원해본 중국 신석기인 요새 고고학에서 얼굴 복원 facial reconstructions 이 광풍이다. 왜? 뼈다구나 껍대기로만 만족하지 못하는 인간 심리 때문이다. 우리도 더러 시도한다. 송현이가 대표적이다. 중국 고고학자들이 신석기 시대 중국 문명의 요람 황하 인근에 살았던 신석기시대 두 남성 얼굴 재구성해 공개했다. 양사오[앙소] 문화 시절 약 5,600년 전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한 남성은 약 40세였고 다른 남자는 약 4,000년 전 룽산[용산龍山] 문화권 시대 사람으로 약 50세다. 이 초상들은 허난성 문물고고연구원이 최근 공개했다. 재건된 화상은 최근 발굴 과정에서 발굴된 두개골을 기반으로 한 것이다. #중국신석기 #앙소문화 #용산문화 2024. 9. 27.
장발이어야 통치자가 될 수 있었던 메로빙거 왕족 메로빙거 왕조 최대 판도를 보여주는 이 지도를 보면 그네들이 절정에 이르렀을 때는 지금의 프랑스 땅은 물론이고 독일 땅도 거의 다 먹었으며, 그 외곽에는 부용국을 거느린 대제국이었음을 본다. 이 메로빙거 왕조The Merovingian dynasty는 5세기 중반부터 751년까지 프랑크족 the Franks 을 지배한 가문이었다. 그들은 갈리아 북부 로마 군대에서 "프랑크족의 왕Kings of the Franks"으로 처음 등장했다.509년까지 그들은 모든 프랑크인과 북부 갈리아-로마인 Gallo-Romans 을 그들의 통치하에 통합했다. 그들은 갈리아 대부분을 정복하고 서고트족Visigoths(507년)과 부르고뉴족Burgundians(534년)을 격파했으며, 또한 라이티아Raetia(537년)까지 통.. 2024. 9.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