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9532

텍스트 뒤집어읽기...욕쟁이 엄마 前漢 말기 유향劉向이 편집한 역대 여성 열전인 《열녀전列女傳》은 은상殷商 왕조 실질의 개창주인 문왕文王을 낳은 어미 태임太任이 문왕을 임신했을 적에 태교를 다음과 같이 했다고 적었다. 及其有娠,目不視惡色,耳不聽淫聲,口不出敖言,能以胎教。 "(아들 문왕을) 임신하자 눈으로는 나쁜 색을 보지 않았고, 귀로는 음란한 소리를 듣지 않았으며, 입으로는 방자한 말을 뱉지 않았으니 이런 방식으로 태교를 했다." 텍스트는 뒤집어 읽어야 한다. 임신하고서야 이러 했다는 말은 임신하지 않았을 적에는 "눈으로 보는 것이라곤 나쁜 색 일색이요, 귀로 듣는 소리라곤 야동 소리 뿐이었으며, 입만 열었다 하면 욕찌거리였다." (2014. 7. 11) 2020. 7. 11.
극악무도한 계모신화의 창조주들 콩쥐팥쥐장화홍련신데렐라동서양 계모는 극악무도하다는 이미지를 심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이것이 맞는지 틀리는지, 요새도 계모에 의한 패륜적인 살인 행각은 끊이지 않는다.한데 말이다.계부의 압제, 폭력, 살인을 주제로 하는 작품은 왜 없지?(2014. 7. 11) *** 이거 이상하지 않은가? 이것도 해명하거나 뭔가 궁구할 문제 아닌가 싶기도 하다. 하긴 뭐 남자는 싸돌아 다녀서 집안에서 자식들 구박할 일은 상대적으로 드물고 그네들 구박이 엄마의 그것에 견주어 재미 없는 것도 일정 부문 사실이니깐... 2020. 7. 11.
문화재 변모한 독일 에센공업지구 나는 구닥다리 세대라 인문지린지 뭔지 배우는 와중에 잊지 못할 이름이 독일 에센 공업지구다. 내 세대 혹은 나보다 조금 앞선 세대는 이 말이 익숙하다. 저 공업지구가 1970년대까지만 해도 한국사회 지상명령인 공업화의 상징과도 같아 아마도 저것이 모델이 되어 포철이 등장하지 않았나 한다. 지금 에센은 인구 오십만 전형의 독일 중소도시라 과거의 면모는 편린이나 흔적으로 남아 있다. 에센을 포함한 광역지구를 루어ruhr 라 하는 모양인데 이 루어엔 한때 육백개소에 달하는 석탄 광산이 있었다 하고 개중 260개소 정도가 에센에 있었다 한다. 이곳이 독일 산업혁명 중심인 셈인데 1950년대까지만 해도 매연에 일조량 70프로가 차단되어 대낮에도 가로등을 켰다 하며 하루에도 거리 청소를 서너번 했다 한다. 이곳 석.. 2020. 7. 11.
Stained Glass at Cologne Cathedral, Germany 쾰른대성당 스테인드 글라스... 황홀하더만... 이 글라스에 얼이 빠져 첨답 오를 시간이 없었다. (2015. 7. 11) 2020. 7. 11.
이슬람 기독교건축개론 이슬람 문화권이나 기독교 문화권 방문에는 그 사원 건축 개설서 지참이 필수다. 하지만 내가 보고 들은 것이 짧아서인지 모르나 이를 충족할 만한 책자를 만나지 못했다. 이런 책자는 첫째, 도판이 풍부해야 하고 둘째, 건축 부재에 대한 설명과 정의가 명확해야 하며 셋째, 건축 공간의 기능에 대한 설명 역시 적확해야 하며 넷째, 판형은 포켓판이거나 무겁지 않아야 한다. 내가 이런 유형으로 발견한 국내 책자는 없고, 런던 브리티시 뮤지엄 근처 책방에서 하나 발견한 영문 책자가 있다. 혹여 내가 모르는 이를 충족할 괜찮은 국내 책자 있거들랑 소개해 주기 바란다. 무슨 대학교재 같은 것도 일단은 환영이다. 이화여대 건축학과 임석재 교수 책은 부피가 너무 부담을 주며, 이 양반이 600쪽짜리 책을 무슨 자판기 찍어내.. 2020. 7. 11.
2016 아프가니스탄 황금문화 특별전 국립중앙박물관이 목하 개최 중인 아프가니스탄 황금 특별전은 기원전후, 그러니깐 이 지역이 알렉산더 원정으로 그리스로마 문화가 이식하고서 본격적으로 뿌리내린 시기에 집중한다. 저 금관은 언제나 신라 금관을 논할 때면 그 원류 혹은 비교자료로써 빠지지 않는다. 이 아프간 고대문화는 우리로서는 아직 생소 혹은 이질이라는 말과 등가다. 한데 가만 보면 그 하나하나 기시감은 있어, 살피면 다 족보가 있다. 저 황금 문화 역시 가찹게는 현지 문화와 결합한 그리스로마문화와 결탁할 듯 하나 실은 그 면면한 전통 중 하나로 소위 켈트 문화도 간취할 수 있다고 본다. 암튼 이번 출품작은 일본을 거쳐 온 것으로 이미 왜국땅에서 그 선험을 경험한 이도 주변에 더러 있거니와, 아푸간 현지 사정이 개떡인 지금 그 문화 정수라 할.. 2020. 7. 11.
경주 황성동석실분 경주 구황동 석실분 발굴에 앞선 삽질이다. 사진 내장정보는 2005.3.10인데 맞는지 모르겠다 윤근일 선생이 당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장으로 오야붕이셨고, 윤형원은 저때 왜 찡깄지? 아....그러고 보니, 박물관에 연구소파가 몇몇 있는데, 당시 연구소-국박-민박 세 기관 학예직 교류 인사 차원에서 국박에서 파견되어 경주연구소 학예실장으로 근무할 때였구만. 꺾다리 이채경과 당시까지만 해도 정부미였던 차순철이 보인다. 이 석실분은 도굴은 명약관화했지만, 혹시 하는 기대가 없지는 않았다. 용강동 발굴 때문이었다. 하지만 도굴이 생각보다 더욱 철저해 실망한 기억이 있다. (2017. 7. 11) 이에 대한 당시 관련자들 증언 차순철...도굴이 심했지만 석실분의 출입시설이 변화된 모습이 확인되었고, 인화문토기의 .. 2020. 7. 11.
구의동보루 현장의 조사원들 앓던 이 뺐다. 1977년 구의동보루 발굴 때 찍힌 한 장면인데 이 주인공이 누군지 한참 궁금해하던 차에, 여자분은 숭실대 최은주 선생이라는 건 이전에 알았지만, 남자는 누군지 몰랐다. 아침에 구의동 보고서 보다가 이 생각이 퍼뜩 나서 고화질 사진을 원본보내기로 이 발굴에 관여한 윤덕향 선생한테 보내고는 여쭈었더니 단국대 박응재 선생이란다. 오잉? 그러면서 왈..."박경식 보다 선배인데, 이후 고고학을 그만뒀다"고 했다. 그래서 박응재 선생이 누구인가 뒷조사에 들어갔다. 박경식 선생한테 전화를 했더니, 전화벨 소리 수상타. 외국으로 튄 모양이다. 할 수 없이 박경식 후배인 서영일한테 전화했더니... "그래? 그 양반이 구의동에도 관여했어? 잘 알지. 대선배시고, 진선여교 교장하시다가 얼마 전에 퇴임했지... 2020. 7. 11.
모두의 유산에서 무슬림만의 사원으로 간 하기아 소피아 Hagia Sophia 이스탄불 성소피아, 85년만에 '박물관' 취소…모스크로 전환(종합2보) | 연합뉴스 이스탄불 성소피아, 85년만에 '박물관' 취소…모스크로 전환(종합2보), 김승욱기자, 국제뉴스 (송고시간 2020-07-11 00:26) www.yna.co.kr 지구촌은 또라이 지도자 시대라, 그에서 레제프 타이이브 에르도안 Recep Tayyip Erdogan 터키 대통령도 예외가 아니라 그가 이끄는 집권 정의개발당은 터키를 무슬림사회로 돌리고자 하는 각종 드라이브를 가하거니와, 이번 하기아 소피아를 박물관에서 무슬림 사원 모스크라는 선언 자체도 그 일환으로 봐야 한다. 이를 위해 터키 최고행정법원이 현지시간 10일 성소피아를 박물관으로 규정한 1934년 내각회의 결정을 취소하고 모스크라고 선언하자 기다렸다는 듯 에르.. 2020. 7. 11.
그때는 이명박시대라서, 지금은 문재인시대라서 홀대하는 경부고속도로 [순간포착] 반백살 경부고속도로, 한산했던 50년 전 풍경 | 연합뉴스 [순간포착] 반백살 경부고속도로, 한산했던 50년 전 풍경, 임동근기자, 사회뉴스 (송고시간 2020-07-11 07:00) www.yna.co.kr 올해가 경부고속도로 개통 50주년이니 당연히 10년전인 2010년은 그 40주년이었다. 몇주년이니 하는 이른바 캘린더성 기념을 떠들썩하게 해야 하느냐 하는 논란도 없진 않거니와 그래도 이런 기회를 빌려 그 의미를 새기는 일이 썩 의미가 없지는 않다고 본다. 그런 점에서 이 경부고속도로 개통은 참말로 그에 대한 대접에 견주어 조촐하기 짝이 없는 생일상을 받곤 했으니 10년전엔 그 주역이 대통령이라 해서, 10년이 지난 지금은 그 반대편으로 간주하는 정치권력이 주류가 되는 바람에 빚어진 현.. 2020. 7. 11.
용산시대? 난 용산구민이다. 그런 용산이 개발 편차가 심해 이곳은 마천루 천지인 용산역 근처라 단군조선 이래 최대 역사가 펼쳐졌다는 그곳이자. 마천루가 꼭 개발의 첨단을 말해주는 증좌겠는가? 마는 저 쭛볏쭛볏은 가우디도 통곡할 만하다 하겠으니 지금 보니 참 크고 높다. 2020. 7. 10.
죄송한 이유가 없는 박원순 유서 경황이 없어 그랬겠지 하겠거니와, 덧붙여 자살을 생각한 사람한테서 무슨 논리성과 납득을 기대하리오만 암튼 드라마틱이라 해야 할 방법으로 이 세상과 이별한 박원순 서울시장의 유서라 부를 만한 글을 서울시에서 10일 공개했으니 만년필 자필 유서 혹은 유언장에서 그는 이렇게 적었다. 모든 분에게 죄송하다 내 삶에서 함께 해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드린다 오직 고통밖에 주지 못한 가족에게 내내 미안하다 화장해서 부모님 산소에 뿌려달라 모두 안녕 불특정 다수를 겨냥해 죄송하다 했지만, 그리고 고통밖에 가족에게 준 것밖에 없다 했지만 죄송한 이유와 가족한테 준 고통이 무엇인지 그는 밝히지 아니했다. 따라서 그가 느닷없는 저런 선택을 한 이유는 비교적 객관할 만한 자료로 증명 입증 추론할 수밖에 없거니와 대권까지 꿈꾼.. 2020. 7. 10.
박원순을 어찌 기록할 것인가? 어쩌다 퇴근이 좀 늦어졌으니 저녁 약속 때문이었다. 공장을 나서려는데 서울시장 박원순이 블리블라 실종됐다는 속보가 날아든다. 한류기획단은 공장 8층 구석데기에 부서가 있다. 신설부서가 감내해야 하는 핸디캡이다. 이곳엔 편집국 중에서도 세계뉴스를 취급하는 국제부랑 국내 뉴스를 영어를 필두로 하는 각종 외국어로 서비스하는 외국어뉴스가 정좌한다. 여타 국내 취재를 전담하는 각종 부서는 비러 아래 7층에 칩거한다. 퇴근길에 여차저차하는 궁금증이 일어 두 층 사이에 난 계단길을 내려 사회부로 간다. 요샌 주52시간 시스템도 있고 어차피 외근이 많아 저녁 7시가 되면 편집국에도 사람이 없다. 이 사건 담당 사회부는 부장이 남았고 그와 직간접으로 이 사건으로 연동하는 간부 기자 몇 마리만 테레비 틀어놓고 돌아가는 상.. 2020. 7. 10.
Newgrange Megalithic Passage Tomb, 아일랜드 대따시 선사문화 "고대 아일랜드 상류층 근친상간"…지배층 권력 강화 수단 | 연합뉴스 "고대 아일랜드 상류층 근친상간"…지배층 권력 강화 수단, 김유아기자, 국제뉴스 (송고시간 2020-06-18 11:40) www.yna.co.kr 최근 국내에 제법 흥미로운 아일랜드 선사시대 관련 새로운 연구성과가 전해졌으니, 추리건대 아일랜드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 연구진이 아일랜드 동부 미스 카운티에 소재하는 뉴그레인지 신석기무덤에서 발견된 한 남성 인골을 유전자 분석을 한 결과 근친상간이 빈번했음을 보여주는 증좌를 발견했다는 것이다. 이는 무엇보다 이 남성이 어머니와 아버지한테서 물려받은 각각의 유전자가 서로 비슷하다는 데 근거를 둔다. 이는 이 남성의 부모가 남매이거나 부모 자식임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지금의 기준으로 콩가루처.. 2020. 7. 9.
21세기 농촌의 새참광주리 vs. 5세기 신라 토기반유개고배土器盤有蓋高杯 럭키 세븐? 황남대총이 품은 굽다리접시 7개 Earthenware Plate and Mounted Dishes with Cover Excavated from North Mound of Hwnangnamdaechong, The Great Tombs in Hwangnam Siila dynasty, 5th century Housed at National Museum of Gyeongju buk 352.. historylibrary.net 일전에 소개한 적 있다. 경주 대릉원 황남대총皇南大塚 북분北墳 출토 이른바 토기반과 뚜껑굽다리접시[土器盤有蓋高杯] 라 Earthenware Plate and Mounted Dishes with Cover Excavated from North Mound of Hwnangnamd.. 2020. 7. 9.
비실비실해서 더 중요한 할미산성 고구려를 흔히 산성의 나라라 하지만 신라 역시 그에는 못지 아니해서 신라산성이라 할 때 특유한 이미지가 있으니 이 친구들 열라 산성쌓기 선수들이라 본래 남은 신라시대 성곽 흔적을 보면 기똥차다. 그에 견주어 용인 할미산성은 대단히 독특한 신라산성인데 비실비실함이 완연해서 전연 신라산성 같지가 않다. 우선 이 할미산성은 성벽을 물론이요 내부 건물이 있었을 만한 곳은 대략으로 거의 다 판 셈인데 첫째 성벽이 비실비실하고 둘째 내부서 팔각형 건물지 서너동인가까지 흔적이 발견되기는 했지만 기와가 거의 발견되지 아니해서 이른바 위세와 권위를 뿜을 만한 흔적은 없었지 않느냐 한다. 초창기 발굴부터 죽 살폈으니 올해까지 7차에 걸친 발굴성과를 봐도 비실비실은 변함이 없다. 그래서 내심 첨에는 만들다 만 산성 혹은 아.. 2020. 7. 8.
처인성 어슬렁이는 털보관장 본 일 있는가? 할미산성 등정을 끝내곤 다음 목적지 처인성으로 향했다. 도착 직전 첩보 하나가 날아든다. 털보가 나타나 처인성 주변을 얼쩡거린단다. 무슨 일? 하며 현장을 숨어들었다. 위수지역 이탈한 털보를 조우한다. What a coincidence? 요새 전곡이 장사 안 된단 소문 돌더니 사실이었다. 내친 김에 붇잡고 처인성이나 한 바쿠 돌자해서 돈다. 이곳이 김윤후가 목탁 대신 총칼 들고는 열받아 몽고군 사령관 살리타이 모가지 떨어뜨렸다는 그 처인성인지는 논란이 좀 있거니와 그 정체가 무엇이건 우리 역사 한켠을 켜켜이 온축한 역사의 현장임은 분명하거니와 돌아보니 사방 평야 충적지대인데 둔덕에 가까운 작은 야산이 막 내림하는 그런 곳이라 볼짝없이 홍수를 피하는 최적지라 선택한 토성이라 눈대중으론 방형 아닌가 했더만 .. 2020. 7. 8.
할미산성, 종잡을 수 없는 돌무지와 등산로 국가 사적은 되지 못하고 경기도기념물인 용인 할미산성이 올해 제7차 발굴조사 중이다. 조사단은 한국문화유산연구원(원장 현남주), 용인시 의뢰다. 올해는 발굴규모가 작다. 예산도 1억5천 만원 정도 책정됐다고 들은 듯하다. 한데 막상 발굴현장 보니 조사단이 좀 밑지는 장사가 아닌가 해서 슬쩍 물었더니, 현지조사를 감독하는 이상국 조사연구부장이 씩 웃으면서 울트라갑 조사 의뢰처인 용인시청 하계사 이서현 눈치를 실실 본다. 우선 조사지점을 보면 이렇다. 7차 조사라 쓴 지점이니, 산성 중턱 동쪽으로 약간 치우친 지점이다. 대체로 할미산성은 급경사인데, 그래서 큰 건물이 들어갈 만한 대지가 크게 눈에 띠지 아니해서 중간중간 턱을 지어 단을 만들었다. 할미산성은 나랑 특수한 관계라, 이번 조사도 그냥 넘길 수는 .. 2020. 7. 8.
고무보트에서 낳았다 해서 수생水生, 하백의 자손 중국 홍수로 물에 띄운 비상용 타이어 위에서 아이 출산 | 연합뉴스 중국 홍수로 물에 띄운 비상용 타이어 위에서 아이 출산, 김윤구기자, 국제뉴스 (송고시간 2020-07-07 11:42) www.yna.co.kr 먼 시절 얘기도 아니다. 밭 매다가 애 낳았단 일화는 무수하다. 뽕 따다 애가 나오기도 했다. 송아지도 그랬다. 풀 뜯어먹으라 들에다 내놨는데 가서 보니 송아지 한 마리 늘었더라. 중국이니 뭔들 아니하겠으며, 무슨 일인들 없으리오? 기록적인 폭우 소식 전했거니와, 그에 얽힌 각종 일화를 써내려간다. 고무보트로 옮겨가던 임산부가 거기서 애를 놨단다. 우리네 익숙한 말로 쓰면 다라이다. 다라이에다가 애를 쑥! 낳은 것이다. 운남성雲南省 실화라는데, 운남이라면 요리로 대박 친 그 젊은 여식 있는 곳.. 2020. 7. 8.
Viking Village in Dublin, 아일랜드에 남은 바이킹마을 피셤블 거리 Fishamble Street는 아일랜드 수도 더블린 구심에 위치한다. 이미 14세기 기록에 Vicus Piscariorum 과 Fish Street 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1577년 Stanihurst 가 세인트 존 거리 St John's Street라고 명명했으며, 1610년 몇몇 지도에서 Fish Shambles라 부르기 시작했다. 17세기까지 이곳은 공식 어물전이었다. 이후 시장통이 북쪽 리피 the Liffey 강변으로 옮겨가면서 변했다. "Shambles"이란 고기를 파는 시장이며 야외 도살장 구역을 의미했다. 이런 이름이 몇몇 영국이나 아일랜드 거리 이름에 보이는데 York 지역 The Shambles가 대표적이다. Fishamble Street은 19세기 아일랜드 시인 Jam.. 2020. 7. 8.
멀어져간 책과 책들 김영문 옹이 옮긴 신간이다. 내가 존경하는 지인인 까닭에 이런 분들 책은 되도록이면 소개를 해야 한다는 강박이 있다. 언제까지는 부족하나마 그리 했다. 내가 보고서 인상 깊은 책, 내가 이렇게나마 그 지음으로 갈음하고 싶은 책은 부족하나마 얼추 이런저런 방식으로 소개하곤 했다. 그게 어느 정도는 가능했던 까닭은 내가 지독한 책벌레였기 때문이다. 나한테 책은 하루도 아니요, 한 시간도 떼어놓을 수 없는 마약이었다. 하지만 언젠가부턴 전연 이런 데서 내가 손을 떼고 말았으니 대략 오십줄에 들어설 무렵이 아닌가 한다. 심각해진 노안 탓도 있고, 그와 동반한 급격한 체력 저하 등등으로 더는 오래도록 책을 붙들 수 없었으니, 그 무렵부터 책이 자동 수면제라, 펴서 보기 시작한지 30분이 채 되지 아니해서 스르르 .. 2020. 7.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