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探古의 일필휘지491

[서예가 이완용] (8) 사진이 부른 법첩의 혁명 이번에 쓰는 글은, 이완용뿐만이 아니라 근대에 글씨 좀 썼다 하는 사람 모두에게 해당될 지점을 건드려보고자 한다. 이른바 '근대'의 역설이랄까. '근대'란 '전근대'를 마냥 부정하며 일어섰으며, 특히 동아시아의 경우 더 그랬다고 볼 사람이 있을지 모른다. 물론 일본 메이지 시대의 폐불훼석廢佛毁釋이라든지, 중국 민국시대 잡지가 주도한 신문화운동이라든지 보면 그런 면이 분명 있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전통 예술이나 사상, 문화가 '서양 기술의 등에 업혀서' 더 빠르게 사회 저변에 보급되고 파고들 수 있었다는 점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라고 본다. 그렇다면 근대가 전근대를 부정했다고만 볼 수 있을까? 외려 근대가 전통을 더 조장했다고 할 수도 있지 않을까? 이를 보여주는 것 중 하나가 법첩法帖이다. 역대 .. 2024. 8. 4.
Made in Japan을 쓰시던 동래부사 부산은 일본과 가깝다. 그러므로, 당연히 예부터 어떤 식으로든 일본과 영향을 주고받을 수밖에 없었다. 임진왜란 시작이 부산진 전투였던 것만 봐도 알 만하지 않은가.임진왜란으로부터 200여 년 뒤, 다산 정약용(1762-1836)은 아버지 친구인 참판 윤필병(1730-1810)에게 시를 한 수 지어 바친다. 윤필병은 동래부사를 지낸 인물이었던지라 동래부사로서의 모습을 형상화하는데...붉은 줄 그어진 미농지에다 시를 베끼고  詩寫米農紅搨紙에도의 녹자 술잔에다 술을 따라주누나  酒傳江戶綠瓷杯- 권3, 시, 시를 적는 '미농지'가 뭔가 하면 (아마 써보신 분이 있지 싶은데) 먹지를 대고 뭔가를 베끼거나 문을 바르는 데 쓰는 꽤 두꺼운 종이다. 그런데 이것은 일본 기후현岐阜縣 미노美濃 지방 특산물이라 '미농지'.. 2024. 8. 3.
걱정할 거 없다고 큰소리 뻥뻥 쳤던 추사 선생 추사 김정희(1786-1856)가 제주에 유배 생활하던 1840~1849년은 동북아시아에 서쪽에서 부는 바람이 크게 불어닥치던 시절이었다.아편전쟁이 딱 1840년에 일어나고, 그 결과 청나라는 불평등조약을 맺고 항구를 여럿 열어 서양의 진출을 용인하게 된다. 조선도 그런 움직임을 어렴풋하게나마 전해듣고는 있었다. 그때 조선 최고의 중국통이라 할 추사의 반응은 이랬다. 제주에 오는 일본 표류민 때문에 골치가 아팠다는 제주목사 장인식(1802~?)에게 보낸 간찰 중 하나다....표류한 왜인에 대한 번뇌는 족히 신경쓸 게 못되오. 다른 나라 배의 경찰詗察에 이르러서는 격탁擊柝의 경계로 보아 확실히 깨우쳐 단속할 바이지만, 천 리 밖의 일이라 어찌 족히 이 땅의 소요야 되오리까. 중국의 오문(澳門, 마카오) 천.. 2024. 8. 3.
[서예가 이완용] (7) 신문 신년 휘호 지금이야 윤전기에서 갓 나와 따끈따끈한 신문지 뭉치를 포장용으로 수출하는 시대가 되었지만, 100여년 전만 하더라도 조선 땅에서 신문이란 참 대단하고 권위가 있는 매체였다. 그때 그 시절 신문사에서는 새해나 기념할 만한 날에 명사의 붓글씨나 그림을 받아 신문지상에 싣곤 하였는데, 이완용의 글씨도 제법 보인다. 첨부 사진들에 신문에 실린 이완용 '휘호'가 보인다.당연하게도(?) 이완용의 글씨는 총독부 기관지 나 일본어 신문 같은 데만 실렸고, 나 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차례대로 1916년 10월 3일자 , 1926년 1월 1일자(왼쪽 아래. 가운데 턱 하니 실린 것은 총독 사이토 마코토(1858~1936)의 휘호) ,   1918년 9월 30일자에 실린 이완용 글씨다. 완完의 마지막 획과 용用의 .. 2024. 8. 3.
[서예가 이완용] (6) 여유는 있었으나 절박함이 없던 삶 앞서 그가 추사체를 따르지 않은 점이 특이하다고 하긴 했지만, 기실 근대 한국의 다른 관료나 문인들 작품을 보아도 추사체보담은 안진경체, 조금 더 엄밀히는 안진경을 깊이 공부해 일가를 이루었던 청나라 말기 서가 하소기(何紹基, 1799~1873)의 글씨체(그림 1)를 따른 경우가 많았다. 그러니 이완용이 안진경체를 쓴 게 이상한 일은 아니다. 하지만 그들과 이완용이 구분되는 지점이 하나 있다. 위창葦滄 오세창(吳世昌, 1864~1953), 소호小湖 김응원(金應元, 1855~1921), 또 고균古筠 김옥균(金玉均, 1851~1894)이나 현현거사玄玄居士 박영효(朴泳孝, 1861~1939)처럼 당시 내로라하는 망명객亡命客들은 으레 생계를 위해 서화를 그려 팔곤 했다. 입에 풀칠하기 위해 쓰고. 도움에 보답하.. 2024. 8. 2.
[서예가 이완용] (5) 안진경을 흠모했지만... 그 주인 행적은 일단 젖혀두자. 철저하게 글씨만 놓고 보더라도 이완용 글씨가 ‘좋다’고 단언할 수 있을지는 약간 갸웃거려진다. 앞서 이완용이 ‘평상심시도’를 즐겨 썼다고 했는데, 남아있는 (사진 1)를 보면 바탕이 크건 작건, 글자 배치나 획 움직임이 거의 같다. 독창성이 별로 없는 셈이다. 또 백은의 글씨와는 달리 글자가 너무 매끄러워 보인다. 비백이 있음에도 거칠다기보다는 부드럽게 흘러가버린다고 해야 할까. 선승의 글씨를 흉내내긴 하였으나 그 내용이나 글씨체 의도에 제대로 맞게 쓴 것 같지는 않다. 는 상대적으로 좀 덜하지만, 이완용의 다른 글씨(사진 2)를 보면 획의 과장이 때로 심하게 느껴진다. 술을 좀 과하게 했던지, 아니면 자기 자랑하는 맛에 글씨를 썼기에 나타나는 현상일까. 애초에 기교가 승.. 2024. 8.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