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探古의 일필휘지515

개화기의 잉글리쉬 스터디 1880년대, 영어를 가르치는 교육기관 육영공원育英公院이 이 땅에 처음 만들어진다.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당시엔 교사가 흑판에 글씨를 쓰면 해설자가 그 뜻을 우리말로 풀어 얘기하고, 학생들은 붓으로 그걸 옮겨적었다고 한다. 2022. 1. 16.
수연壽硯 박일헌朴逸憲의 난초 부채 연구자가 자기 연구대상에 알게 모르게 애정을 갖게 되는 건 인지상정일까?  물론 그것이 지나쳐 연구대상을 무조건 숭배한다거나 흠을 덮어둔다거나 하는 일은 경계해야겠지만, 연구자도 사람인 이상 대상을 알아갈수록 정을 쌓게 되는 부분은 있는 것 같다. 왜 "사랑하면 알게 되고, 알면 보이나니, 그때 보이는 것은 전과 같지 않으리라"는 말도 있지 않는가 말이다. 만약 나에게 그런 대상이 있는가 물으면, 고민하다가 "최근 이 작가에게 관심이 생겼습니다."라고 할 것 같다.  수연壽硯 박일헌(朴逸憲, 1860-1934. 을 토대로 생년을 1861년에서 1860년으로 수정한다). 아들 호운湖雲 박주항朴疇恒과 함께 당대엔 난초로 이름깨나 날렸지만, 최근까지 알려진 사실이 별로 없던 근대 서화가다(올해 이 사람을 다룬.. 2022. 1. 16.
일타강사 장지연 선생 일타강사 장지연 선생 다시 또 약간의 짬이 나서 를 뒤적거리던 중, 재밌는 광고를 하나 발견했다. 일요일 빼고 매일 저녁 8시부터 10시까지 지리, 한문 두 과목을 강연하고 토론하려 하니 중등학교 이상, 뜻있는 학생들은 왼쪽의 주소로 찾아오라는 내용. 근데 그렇게 학생을 모으는 분이 '장지연'이다. "시일야방성대곡"으로 낙양의 종이값을 올렸던 위암 선생이 그로부터 4년 뒤, 1909년 무렵엔 이런 일을 하고 계셨던가 보다. 하기야 같은 교과서도 만들었던 분이니 강의는 퍽 들을 만 했으리라. 2021. 12. 3.
여기서 시를 지어서 현판을 안 만들면 무슨 벌을 내리는가? 일 때문에 옛날 현판을 들여다보다 보니 현판과 관련된 옛 글들도 꽤나 접하게 된다. 그 중 가장 재미있었던 글 한 토막. --- 내 생각에 누대樓臺 현판은 모조리 케케묵은 시들이라, 비록 청신한 구절이 있다 하더라도 가려내기 쉽지 않으니, 지을 필요가 없다. 임자순(林子順, 백호白湖 임제(林悌, 1549-1587))이 언젠가 가학루駕鶴樓를 지나갔는데, 판시板詩가 많아 만여 개나 되므로, 그 되먹지 않은 잡소리를 싫어하여 관리(館吏, 객사의 아전)를 불러 말하기를, “저 현판들은 관명官命으로 만든 것이더냐? 아니면 안 만들면 벌을 주기라도 했느냐?” 하니, 그의 말이, “만들고 싶으면 만들고 말고 싶으면 안 만들지요. 어찌 관명이나 처벌이 있겠습니까요.” 라고 하자, 자순이, “그렇다면 난 짓지 않겠노라... 2021. 11. 14.
궁기시정宮崎市定 《과거科擧》 이보다 더 '과거', 그것도 청대淸代의 과거시험이란 주제를 잘 드러내는 디자인이 있을지 모르겠다. - 미야자키 이치사다, (1946)의 표지 *** 미야자키 이치사다는 아래를 참조하라 宮崎市定 - Wikipedia ja.wikipedia.org 2021. 11. 11.
세계 최대 사막 사하라 세계의 최대 사막은 아프리카에 사하라 사막이니 2021. 11.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