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探古의 일필휘지515

김규진이 다시 건 평양 부벽루 편액 1915년 8월 3일자 는 큼지막한 사진 하나를 싣는다. 강산여화江山如畫라는 눌인訥人 조광진曺匡振(1785-1840)의 글씨 편액이다. 그런데 편액에는 그 넉 자만 붙은 게 아니었다. 거기에 덧붙은 글이며, 양 옆에 "부벽루浮碧樓에 게揭할 편액扁額"이란 제목으로 실린 신문기사를 살펴보면 저 편액이 만들어지기까지의 내력이 나온다. 평양의 부벽루라면 고려의 문인 김황원金黃元(1045-1117)이 올라 서경西京을 내려다보며 "긴 성벽 한쪽 면엔 늠실늠실 강물이요, 큰 들판 동쪽 머리엔 띄엄띄엄 산들일세 長城一面溶溶水 大野東頭點點山"라는 구절을 짓고 더 이상 시상이 떠오르지 않아 통곡했다던 명소가 아니던가. 거기에 평양이 낳은 기인奇人 명필 눌인의 "강산이 그림 같구나!"란 지두서(指頭書, 손가락으로 쓴 글씨).. 2021. 9. 13.
옛날 백과사전에 나오는 모란 1. 고궁박물관 전시가 열리기 전도 모란이고 열린 뒤도 모란이다. 내년 봄을 기다릴 모란도 모란이고 낡은 책 속 모란도 모란이다. 그럼 글자로 된 모란을 만나보자. 2. 는 송나라 때 축목祝穆 등이 편찬하고 원나라 부대용富大用, 축연祝淵 등이 보완한 총 236권짜리 유서(類書, 전통시대의 백과사전)다. 역사서술의 강목체처럼 부部 아래 목目을 두고 목마다 군서요어群書要語, 고금사실古今事實, 고금문집古今文集 3항項을 두어 각각 고서 속의 관련 문구, 역대의 고사故事, 여러 문집에 실린 관련 시문을 상세히 인용하고 있다. 하늘, 땅, 사람부터 초목, 버러지와 물고기, 예악문물, 역대의 제도, 관직, 심지어는 음식이나 그릇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를 다루고 있으므로, 이 책만 보면 거의 모든 전고를 알 수 있어.. 2021. 9. 7.
청나라가 본 병자호란 청나라 강희제 때 나온 의 명 말 부분. 병자호란 얘기가 나오는데 딱 다섯 줄이요, 그나마도 청나라를 띄우느라 여러 자 건너뛴 결과다. "2월에 우리 대청이 군사를 조선에 내었다. 우리 대청의 군사가 왕경을 이기고 남한산성에 있는 국왕 이종을 에워쌌다. 이미 다시 강화도를 깨뜨리니 이종이 표문을 받들고 나와 항복하며 명과 관계를 끊었다." 2021. 9. 7.
1933년, 보통문普通門 현판 도난사건 서울에는 숭례문과 흥인지문이 있듯이, 평양에는 대동문과 보통문이 있다. 그 둘은 고구려 시절부터 있었다고 하지만, 당연히(?) 기단 위에 선 건물은 조선시대 것이다. 그 중 평양성의 서문 격인 보통문은 정면 3칸(14.8m), 측면 3칸(9.15m)의 중층 합각지붕건물로, 6세기 중엽에 처음 세워졌으며, 현재의 건물은 여러 차례 보수해오다가 1473년(성종 4)에 새로 지은 것이라고 한다( 참고). 임진왜란 때도 불타지 않고, 뒷날 6.25 전쟁 때도 다치지 않아 신문神門이라고 불렸다는 이 보통문에 1933년 어느 날 밤, 시커먼 속내를 품은 이들이 들이닥쳤다. 그들은 보통문 1층에 걸려있던 '우양관又陽關'이란 현판을 노렸다. 누가 탐을 냈는지는 몰라도, 돈을 꽤나 집어주고 명했을 테니 저 커다란 현판을.. 2021. 9. 5.
선조 계비 인목왕후의 글씨 금강산 유점사에 있었다는데 선조의 계비 인목왕후가 썼다는 이다. 천계天啓 원년 신유辛酉에 썼으니 1621년, 인조반정 2년 전이다. 이런 말을 하면 어떻게 느껴질지 모르지만, 고려나 조선 초 사경에 비하기 미안한 글씨다. 애초 이 분이 작은 글씨에 아주 능하지는 못했던 듯 한데, 그래도 울분을 꾹꾹 눌러 담았을 것을 생각하면 오히려 단정하게 썼다고 해야 맞겠다. 아들의 극락왕생을 바라는 마음이 오죽 컸을까. 2021. 9. 5.
1937년, 천하제일관 현판이 추락하다 1937년 9월 6일, 는 중국발 기사 하나를 싣는다. 장성長城의 관문 현판이 썩어서 떨어졌노라고. 문제는 그 관문이 천하제일관天下第一關이라 중국 사람들이 자부하던 산해관山海關이요, 현판은 바로 그 '천하제일관'이었다는 것이다. 때는 바야흐로 만주사변, 중일전쟁 등으로 전운이 뭉게뭉게 일어나면서 그 일대를 뒤덮던 시기, 기자는 동네 주민의 전언이라며 이런 말로 끝을 맺었다."이에 대하야 그 지방의 중국인들은 일지日支(주: 일본과 지나支那, 곧 중국) 사변이 일어나 일본군이 연전연승하여, 이 편액이 떨어진 것은 [천하제일관]이 남쪽으로 옮겨질....전조라고 수군대고 있다 한다."물론 산해관의 '천하제일관' 편액이 진시황 때 이사李斯의 필적이란 건 엉터리 이야기고, 실제로는 명나라 때 진사 소현蕭顯이란 이.. 2021. 8. 31.
반응형